View : 1494 Download: 0

국회의원 비서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이 직무만족·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국회의원 비서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이 직무만족·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National Assemblymen Secretaries up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uthors
이인숙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정보과학대학원 비서정보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공공조직은 사기업과 조직문화가 다르고 커뮤니케이션의 전달경로가 다르다. 공직비서로서 국회의원 비서는 국회의원을 포함한 상급자에게 항상 지시를 받고 보고를 하며, 조직 내·외부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업무를 처리한다. 즉, 국회의원 비서의 기본적인 업무수행이 커뮤니케이션이며, 이러한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역할은 국회의원 비서에게 요구되는 다른 어떤 자질보다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조직내 개인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쳐 조직성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조직행위적 변수이다. 본 논문은 국회의원 비서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⑴국회의원 비서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을 파악하여 ⑵국회의원 비서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국회의원 비서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회의원 비서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성별, 연령, 학력, 직급, 근무경력)에 따라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국회의원 비서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국회의원 비서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해 국회의원 비서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230부(회수율 65.7%)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2.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를 대상으로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여 커뮤니케이션 분위기, 상급비서와의 커뮤니케이션, 국회의원과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질, 조직적 통합이라는 5가지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5가지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하여 국회의원 비서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국회의원 비서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또한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이 직무만족·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직급별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나머지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영향력이 있음이 나타났다.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 중 미디어의 질, 조직적 통합, 상급비서와의 커뮤니케이션, 국회의원과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순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영향력이 있음이 나타났다.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 중 국회의원과의 커뮤니케이션, 상급비서와의 커뮤니케이션, 조직적 통합, 미디어의 질에 대한 만족의 순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회의원 비서의 직급에 따라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차이가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분위기를 제외한 4가지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들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무만족에 대하여 영향력이 높은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요인들이 역순으로 조직몰입에 대하여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커뮤니케이션 분위기를 제외한 4가지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의 향상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향상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회의원 비서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도를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Communication is essential to succeed any type of organization, and it is obvious that a good communication skil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qualities for National Assemblymen secretaries. Also many researchers has assumed that ‘organization-behavioral’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have high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s with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analysing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up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o find out how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National Assemblymen secretaries can be enhanced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t to analyse: First, Are there difference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gender, age, education, job class, career)? Second, Are the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upon job satisfaction? Third, Are the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upon organization commitment? A questionnaire was adopted to collect the data and the questionnaire sheets were distributed to 350 National Assemblymen secretaries. 230 samples were gathered and finally used for valid statistical analysi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12.0 program. Independent-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tes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Five factor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communication climate, communication with senior secretary, communication with National Assemblyman, media qualities, organizational integration) were extract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up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e finding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v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National Assemblymen secretaries' job class among five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it is proved that there a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upon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effectiveness complies with media qualities, organizational integration, communication with senior secretary and communication with National Assemblyman, in order. Third, it is proved that there a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up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level of effectiveness complies with communication with National Assemblyman, communication with senior secretary, organizational integration and media qualities, in order. As reviewed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it is important to enhance four communication satisfaction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with National Assemblyman, communication with senior secretary, organizational integration and media qualities. In sum, this study empirically proves that it is required to enhance communication satisfaction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비서정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