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정크 아트(Junk Art)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Title
정크 아트(Junk Art)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ress Design Ba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Junk Art Focused on the expression method of junk art
Authors
정한나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e contemporary world of industrial and mechanical civilization, human ideas have been uniformed and we are facing the flood of industrial wastes. Accordingly, there are growing social interests not only in political and economical solutions for problems in the byproducts of industrial civilization but also in participation and recreation from artistic and cultural aspects. Junk art, which emerged from the scientific civilization and changing value systems, is presenting new values by adopting wastes thrown away from contemporary urban civilization since the 1950s. Likewise, byproducts from the late industrial society are bringing environmental problems to contemporary people and today's fashion is emphasizing the expression of fresh idea that recognizes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industrial society and looks for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nd reusing junks. The introduction of junks in the style of dresses raises new interests by producing rich effects and adding new formative beauties. Dress design is breaking away from the concept of nature and artificiality, denying the boundary between arts and realities and making artistic works to be friendly with the consumption life in popular culture. Like junk artists created a new ground for art to keep step with the public through sublimate social issues in art, wastes, new materials and junk art images adopted by dress designers send environmental, social and humorous messag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formative beauties of junk art observed in contemporary fashions in terms of junk art materials and junk art expression techniques, focused on art to wear since 1995 and fashion works since 2000, using 100 artistic works created by six junk artists. In addition, we designed eight woman's dress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chniques and materials. From th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junk artists' works were analyzed by technique, and the results showed the elements of junk art such as ideas expressed by the artists, expression media, techniques and colors. Second, from the examination of junk artists'works were derived junk fashion techniques largely divided into collage expression, aggregation and accumulation, compression and assembly, etc. In these techniques, artists or designers can express their intentions with junk art elements using materials. Third, like fine art uses objects of relief images by attaching various materials on the canvas based on such elements of junk fashion, it was found from studying artistic dresses and latest fashions that dress design uses natural materials, daily goods and industrial wastes such as paper, metal and feathers in addition to textile to express formative beauties in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collage, assemblage and patchwork. Fourth, this study shows that it is more efficient to utilize techniques of expressing junk images and junk art expression methods in dress design rather than to apply junk objects directly.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we created eight works. From the process of creating the works were derive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xpression techniques, junk artists' expression techniques in their actual works attached objects directly to dresses or copied digitalized junk images on dress materials using DTP (digital textile printing). The latter can express three-dimensional formative beauties and apply various junk art techniques without the heavy feeling of junks through graphic work. Second, when comparing the formative beauties of junk art and those of junk art expressed in fashion, a common point is that wastes and junks can be reused and appreciated as artistic works in combination with other objects, displaying social realities in those days. Another common point is that paintings and fashion works express nature surrounding today's civilization, exposing passive environmentalism. In addition, a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dresses do not transform materials as in other artistic works and produce junk images intentionally only in techniques. In this viewpoint, the present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at junk fashion, different from the antagonistic and negative features of many fashion styles in the subculture of the late contemporary society, adopted daily features of today's urban culture in a fresh way and expressed them with artistic materials and that junk artists accepted the environment surrounded by industrial wastes as new nature and expressed it from a positive perspective.;현대 산업문명, 기계문명의 세계 속에서 인간의 사고와 사상은 획일화 되어 왔으며 산업폐기물의 홍수시대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산업문명이 남겨놓은 부산물에 대한 문제점 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정치, 경제적 해결 방안뿐만 아니라 예술 문화적 측면에서의 참여 및 재창조를 위한 사회적 관심이 두드러지게 표출 되고 있다. 이렇게 과학문명의 발전과 가치관의 변화를 배경으로 부상하게 된 정크 아트(Junk Art)는 1950년대 이후 현대 도시문명으로부터 버려진 폐물을 예술작품의 표현매체로 선택하여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였다. 마찬가지로 후기 산업사회의 부산물들이 21세기를 맞으며 심각한 환경문제를 가져옴으로써 현대패션에 있어서도 산업사회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폐물소재의 응용 및 재활용의 가능성을 가지고 이것을 참신하게 조형화 시키는 신선한 아이디어가 이목을 끌고 있다. 정크를 이용한 작품은 자연물이든 인공물이든 무엇이든지 일상생활 주변에 흔히 널려있는 하찮은 사물들이 응용되어 새로운 예술로 표출되고 있다. 우리는 일상성을 겉보기에 반복적이고 사소한 것들로 지나쳐 버리기 쉽지만 우리의 모든 실존적 모습과 행동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바로 일상에 내재되어 있다. 이에 의상에 있어서도 정크 아트의 영향으로 산업적 부산물인 기계패물, 금속, 유리, 플라스틱, 종이, 비닐 등의 폐품류를 이용한 오브제도입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합성수지,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들이 본래의 본성을 떠나 새로운 이미지로 과거의 것을 부정하고 새로운 미적 관심을 창출시켰다. 정크 아트에 관한 선행연구와 정크 패션에 관한 연구가 있었으나 현대 패션을 통해서 그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이 어떻게 정크 패션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정크의 어떤 요소들이 실제 의상의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지 고찰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Junk Art 의 표현 유형을 분석하여 정크의 표현 기법을 의상디자인에 접목, DTP, 패치워크, 아플리케등의 소재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Junk의 이미지와 개념을 도입하되 ‘버려지고 쓸모없는 것’라는 일반적인 통념에서 탈피시켜 새로운 미적 표현의 대상으로서 재발견하고, Junk art를 다각적 디자인의 영감으로 제시, 의상 디자인에 있어서 무한한 디자인의 원천으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unk Art 작가 6명의 100여점의 작품세계를 통해 고찰해본 Junk Art의 특성연구를 바탕으로 Junk Art가 현대 패션 작품에 나타난 Junk Art의 조형미를 Junk Art적 소재와 Junk Art의 표현 기법을 으로 구분해 최근 발표된 패션작품들을 위주로 살펴보고 그 기법과 소재연구를 바탕으로 8벌의 여성복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 이론연구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정크 패션의 요소를 바탕으로 패션에서의 정크적요소로 쓰이는 소재를 미술에서 다양한 재료를 화면에 부착하여 부조적인 이미지의 오브제를 사용하였듯이, 의상에서도 조형성을 표현하기 위해 직물 이외에 종이, 금속, 깃털과 같은 자연물과 일상용품과 산업 폐기물까지도 의상의 재료로 사용되어 꼴라주, 아쌍블라주, 패치워크 등의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둘째, 정크를 표현하는 방법은 정크 오브제를 직접 사용하는 방법 외에도 정크 아트를 이루는 일상적 이미지와 해학적 이미지, 낡고 오래된 이미지, 폐기물을 이용한 이미지를 의상에 표현함으로서 의상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컴바인 페이팅, 집합, 집적 그리고 압축과 조립의 정크 아트 작가들의 작품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의상에 표현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8벌의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정크 아트를 의상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접 오브제를 의상에 부착하는 방법과 디지털화된 정크 이미지를 DTP(Digital Textile Printing)방식으로 의상 소재에 전사는 방법으로 작품을 제작한 결과 실제 정크 오브제의 중량감 없이 표현해 낼 수 있었다. 둘째, 직접 오브제를 의상에 도입하는 방법과는 달리 정크의 이미지를 DTP하여 Junk Art에서의 3차원적인 앗상블라쥬 기법을 차용하기위해 패치워크를 통한 이미지의 입체적인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정크의 이미지의 한 요소인 오브제를 낡고 오래되게 보이게 하는 시간이라는 무형의 대상을 디지털 사진에 담아 그 유형의 이미지로 사용함으로써 이제 원래의 기능을 잃어버린 도시의 흉물스런 산업 쓰레기가 되어버린 정크를 거부감 없이 다시 의상 디자인에 도입하여 과거 오브제에 담겨있는 시적 감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정크 아트의 조형적 특징을 이용한 의상 디자인은 동시대 후기 현대산업 사회의 하위문화 집단의 정체성을 드러내려고 표현된 많은 패션 양식에 내제된 반미학적이고 기존의 가치에 대항하는 반사회적인 이미지와는 다른 일상적이고 하찮은 것들에 관한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평범한 것에 대해 개성적이고 새로운 미적 가치를 부여 할 수 있는 의상디자인을 계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후기 현대사회의 하위문화에서 발생되고 있는 많은 패션양식의 반항적이고 부정적인 모습과는 달리 정크 패션은 도시의 일상적인 모습을 신선하게 받아들이고 예술작품의 재료로 표현 하였으며 산업화로 인한 폐기물로 둘러싸인 환경을 새로운 자연으로 받아들인 정크 아트 작가들의 긍정적인 시각을 패션 작품에서 재인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정크 아트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와 분석 또한 다른 예술 영역과 연계한 심도 있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의상 디자인에 적용 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창조적인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