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수영-
dc.creator윤수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0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0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0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초등학교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교감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라 교사가 느끼는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세운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은 어떠한가? 2.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어떠한가? 2-1. 교사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교사의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3-1. 관료적 운영 영역에서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3-2. 대인관계 영역에서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3-3. 업무부담 영역에서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3-4. 수업 및 학생지도 영역에서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3-5. 스트레스 전체 영역에서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한 결과 지원형이 제일 많았다. 지원형 다음으로는 감정형, 지휘형, 배려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변인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대인관계 요인, 수업 및 학생지도 요인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교사가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관료적 운영 영역과 스트레스 전체 영역에서 경력 5년미만의 교사가 가장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위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수업 및 학생지도 영역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관료적 운영’, ‘대인관계’, ‘스트레스 전체’ 영역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관료적 운영’요인에서는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을 지휘형으로 인식한 교사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감정형, 지원형, 배려형으로 인식한 교사집단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나타났다. ‘대인관계’요인에서는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을 감정형이라고 인식한 교사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지휘형으로 인식한 교사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지원형과 배려형으로 인식한 교사집단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같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전체’ 영역 점수에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면 감정형, 지휘형, 배려형, 지원형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은 지원형, 감정형, 지휘형, 배려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학교장의 의사소통 유형이 감정형이나 지휘형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과는 차이를 보이는 결과로서 대부분의 교감들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의사소통 유형으로 의사소통 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교감이라는 역할에 알맞은 의사소통 유형이 교장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성별, 경력,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대인관계 요인, 수업 및 학생지도 요인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 요인들에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다. 이것은 남교사의 비율이 낮아서 남교사는 경력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대체로 부장교사를 하게 되고, 많은 업무를 겸하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관료적 운영, 대인관계, 스트레스 전체 영역에서 경력 5년 이하의 교사가 가장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5년 이하의 교사는 교직사회에 대한 기대치가 매우 높으나 학교 현실과 자신의 이상의 차이에 맞부딪히기 때문이다. 교사의 직위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수업 및 학생지도 영역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부장으로서의 과도한 업무와 잦은 업무회의, 학년업무 등으로 인하여 담임업무에 충실할 수 없을 때가 많아서 부장교사가 평교사에 비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의 성별, 경력, 직위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학교 업무를 적절히 배정하여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관료적 운영’, ‘대인관계’, ‘스트레스 전체’ 영역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관료적 운영’요인에서는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을 지휘형으로 인식한 교사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지휘형은 지배성은 높고, 사교성은 낮은 유형이므로 업무처리에 있어서 남을 배려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처리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 ‘대인관계’요인에서는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을 감정형이라고 인식한 교사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감정형은 지배성과 사교성 수준이 모두 높은 유형으로 감정형의 과다구역에서는 매우 감정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기 때문에 교감을 감정형이라고 인식한 교사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매우 높아진다. ‘스트레스 전체’ 영역에서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감정형, 지휘형, 배려형, 지원형의 순으로 나타나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 조직은 교장, 교감의 힘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다. 믿음과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서로의 의견에 마음을 열고 의사소통을 할 때에 학교 조직의 목표인 교육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교육의 질은 교사에게 달려있다. 질 높은 교육을 이루기 위해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영향에 대해 주목하고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의 조절을 통해 이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있는 초등학교의 초등교사를 단순 무선 표집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표집된 교사들이 근무하고 있는 교감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한계를 갖고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초등학교에 대한 현상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후속 연구에서는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이 교사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교감 스스로가 지각하는 의사소통 유형은 어떠한지 비교분석할 것이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좀 더 객관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Given that a level of job stress is different depending on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in a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examined were what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there were and how much teachers felt job stress depending on their types. Accordingly, the followings are rais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1. What are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2. What is a level of job stress felt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2-1. Is there any difference by sex of teachers? 2-2. Is there any difference by career of teachers? 2-3. Is there any difference by position of teachers?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a level of job stress depending on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felt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3-1. Is there any difference in bureaucratic operation? 3-2. Is there any difference in personal relations? 3-3. Is there any difference in workload burden? 3-4.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ing and guiding students? 3-5. Is there any difference in hol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proceeding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felt by teachers based on a variable of a vice-principal, the most common communication type of a vice-principal was support type regardless of the variable of vice-principal. Second, the analysis of job stress level of teachers depending on a variable of teachers showed that male teachers were stressed a lot by personal relations, workload burden and teaching and guiding students. Depending on career of teachers, teachers with career less than 5 years stressed a lot in the factor of bureaucratic operation. Depending on position, stress level of common teachers was high in bureaucratic operation, while that of chief teachers was high in workload burden. Third, analyzed were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felt by teachers and job stress level of teachers.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job stress level of teachers showed wide difference in "bureaucratic operation" and "personal relations". That is, job stress level was high when communication type of a vice-principal was command-type in the factor of "bureaucratic operation", and when communication type of a vice-principal was emotion-type in the factor of "personal relations". By all factors, job stress level was high in order of emotion-type, command-type, support-type and consideration-type depending on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Based on this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 First, as for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teachers felt there were support-type, emotion-type, command-type, and consideration-type. On the one hand, different communication type was answered depending on career of a vice-principal and experience in professional job. That is, background of a vice-principal influences on communication type of a vice-principal.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job stress of teachers depending on sex, career, and position of teache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efforts to reduce job stress of teachers by considering sex, career, position, etc and assigning them school task adequately. Third,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felt by teachers and job stress level of teachers showed that there was wide difference in "bureaucratic operation" and "personal relations". The highest level of job stress lay in a group of teachers who felt a communication type of a vice-principal was command-type in the factor of "bureaucratic operation" and emotion-type in the factor of "personal relations". By all factors, teachers were stressed by communication of emotion-type, command-type, support-type and consideration-type in order of high level, As a result, since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felt by teachers affects factors of job stress that teachers feel, it is needed to deal with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importantly to reduce job stress of teachers. School organization is not maintained by the force of a principal and a vice-principal. When they and teachers open their mind to others' opinions and communicate based on faith and mutual respect, attained is education purpose which is an object of a school organization. Quality of education depends on teachers. To achieve good education in quality, a vice-principal must be able to control his/her communication type so that he/she reduce job stress of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viii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사직무스트레스 = 5 1. 스트레스의 개념 = 5 2. 교사직무스트레스의 개념 = 7 3. 교사 스트레스 발생 원인 = 13 B. 의사소통 = 19 1. 교감의 역할 및 특성 = 19 2. 의사소통의 개념 = 26 3. 의사소통의 유형 및 측정 준거 = 28 4. 행정가의 의사소통 유형에 관한 선행연구 = 38 Ⅲ. 연구 방법 = 41 A. 연구 대상 = 41 B. 연구 설계 = 42 C. 연구 도구 = 45 D. 자료 분석 = 48 Ⅳ. 연구 결과 = 50 A.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 분석 = 50 B.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 분석 = 51 C.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과 교사 직무스트레스 수준간의 관계 분석 = 54 Ⅴ. 결론 및 제언 = 58 A. 요약 및 결론 = 58 B. 제언 = 61 참고문헌 = 63 ABSTRACT = 68 부 록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429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교사 직무스트레스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ifference between Teachers' Job Stress Depending on Communication Types of a Vice-Principal Felt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dc.creator.othernameYoon, Soo-Young-
dc.format.pagevi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