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0 Download: 0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Care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Career Awaren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진혜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는 지식기반사회로 지식, 기술, 정보 등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고, 이에 따라 직업의 다양화 및 분화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7차 교육과정에서도 추구하는 인간상을 통하여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고 일 자체를 고귀한 것으로 여기며 일을 통하여 자아의 실현을 꾀하기 위한 진로 탐색과 개척 능력을 갖춘 인간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발달단계에서 진로인식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아동들에게 다양한 진로 관련 활동을 통하여 진로인식을 향상시키고자 하며, 더 나아가 이를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Posner & Rudnitsky(1980)의 교육과정 설계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 절차에 요구되는 합리적 근거를 현재 초등 진로교육에 대한 개선과 요구 내용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요구 조사 분석을 통하여 마련했으며, 의도한 학습 성과들(ILOs)을 분석하고, 진로교육의 내용영역인 자기 이해 영역, 일과 직업의 세계 이해 영역,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가치관 영역, 합리적인 진로 의사결정 영역을 각각의 단원으로 설정하여 내용을 조직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한 단원이 3~5차시로 구성되었으며,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을 위하여 문제파악, 문제탐구, 문제해결, 가치내면화의 학습 단계를 거치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학습 활동으로는 직업 말판게임, 토의, 브레인스토밍, TV 프로그램 시청, 비디오 시청, 인터넷 활용, 명함 책갈피 만들기, 자서전 만들기 등을 활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동의 진로인식에 영향을 주는 학부모들에게 진로교육 학부모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진로지도의 방향과 방법을 안내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서울시 동작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 4학년 35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17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평가는 진로인식 검사와 참여도에 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이후에 진로인식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는 SPSS/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종속)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의 흥미와 참여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관찰기록표(checklist)에 의한 교사의 관찰과 아동의 자기평가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프로그램 종결 후에 아동과 학부모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진로교육 학부모자료에 대한 참여도와 반응을 알아보았다.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사전, 사후 비교에 있어서 프로그램 실시 집단의 진로인식은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가치관 영역을 제외한 자기 이해 영역, 일과 직업의 세계 이해 영역, 합리적인 진로 의사결정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그리고 교사의 관찰과 아동의 자기 평가, 소감문, 프로그램 반응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아동의 진로인식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자신의 미래생활과 직업에 대하여 관심과 기대를 갖고 준비하려는 태도가 형성되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재구성하여 학부모에게 제공된 진로교육 학부모자료에 대한 학부모의 반응을 조사해본 결과, 많은 학부모들이 진로교육 학부모자료에 대하여 높은 참여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실제 자녀지도에 활용할 의사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살펴볼 때,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 향상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와 함께 학부모들에게 올바른 진로지도의 방향과 방법을 안내하기 위해 제공된 진로교육 학부모자료는 많은 학부모들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 모색과 프로그램 개발이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aims to develop career education program as a means of increasing career awaren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phase of career development toward the phase of career awareness, raise career awareness through experience of various career-related activities, and implement this program in the onsite school environment. This program complies with Posner's model of a course design (Posner & Rudnitsky, 1980), and forms reasoning for the program procedures based on the survey of requirements from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terms of improvement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This program analyzes ILOs(Intended Learning Objectives), and organizes course curriculum into the following sections: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jobs and work-world, positive job attitude and self job-value criteria, and sensible career decision-making. This program offers 3 ~ 5 class hours per one section, and these activities include occupation board game, discussion, brainstorming, TV and video watching, business card making, autography writing, and so on. They are devised to presen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career awareness, and to require to follow learning steps of problem identification, problem analysis, problem solving, and feedback in order. In addition, this program provides career decision-making information for parents who influence future career of their children, so that it will give them right guide to career advice for their own children. The developed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35 students of 4th grade in S elementary school, Dongjak-gu in Seoul for 17 class-hours. In order to improve the program and its feasibility, examination of career awareness is performed before and after onsite program test. SPSS/WIN is employed to produce t-verification analysis of the examination results. Additionally, teachers use checklists to obser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self-examination method by children is used for children to review by themselves education program satisfaction and their behavi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questionnaires are given participant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study the reaction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this program and the career education materials. The result of this onsite program test demonstrates that career awareness of testee population make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05) before and after the test in terms of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jobs and work-world, sensible career decision-making except positive job attitude and self job-value criteria.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observation by teachers, self-examination by children, testimonials, and program survey also supports the fact that this education program brings about positive change in career awareness of children, and that it provides them with attitude to have wish of and to prepare for their jobs and future. The survey of program materials for parents with some modification in this study shows that many parents answer in the affirmative about program materials, and they want to use program materials for teaching and advice. To sum up,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proves its worth by producing overall positive effects on career awarenes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suggests that career education materials to help parents give the right guide and advice to their children are useful for many parents. But following researches are also needed to improve the strategies and refine the program that can make up for ineffective parts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