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지윤-
dc.creator권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0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5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500-
dc.description.abstractThe concept of Islamic Jihad has become distorted and understood as a means of justification to the historical and tragic events generated by modern Islamic terrorism.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war on terrorism, there have been several instances of violent scenes such as suicidal-bomb attacks by Islamic terror groups. This is one of the reasons as to why the concept of Islamic Jihad is perverted as violent fighting. Modern Islamic Jihad is mostly accepted as a misunderstanding of the concept used for Islamic fundamental armed force in achieving a purpose in non-Muslim territories. In western countries, Islamic Jihad is translated as 'Holy War' so that western people are more likely to mis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oncept as conflict for Islamic subjugation. As a result, Jihad became the most substantial concept in order to explain a distorted image of Islam. There are significant internal and external reasons in the concept of modern religion to understand the term Jihad as a violent outbreak. The Palestine Resistance Protest which occurred as a function of the complications between Palestine and Islam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conflict of Muslim groups. As an external reason, armed Jihad is used in a way to justify its uncompromising and unlimited brute force with an aim for Islamic protection and revival within the modern Islamic terrorism structure. However, the Islamic Jihad concept is an existing witness of the Muslims, which interprets its life patterns and principles with its traditions and customs accompanied with the guidance of the Qur'an. In other words, Islamic Jihad expands its meaning: the value of existence of Muslims and the practice of the responsibility of religion. Individually, the Jihad concept contains the challenge to be a holy and moral Muslim person originally. The Jihad concept encourages Muslim people to give up personal weakness and try to remove the evil doer for the benefit of society. Studied more carefully, it is the attitude of Muslims who would like to have righteous behaviorisms consistently and has nothing to do with evil. This Jihad concept is an internal struggle for the truth and the concept is interpreted not only as nonviolent fighting with sacrifices of dar al-Islam, but also as a means to change society for the better through the use of justified fighting. Furthermore, it is embodied from a sacrificial fight for world peace in order to unify individuality into a union. Therefore, the fundamental meanings of Jihad based within the Qur'an are clearly understood as a fight for truth, justice, and peace. Modern Islamic terrorists interpret the meaning of Jihad differently from the tradition meaning of fighting for truth, justice and peace. Rather, its meaning has been distorted by modern Islamic terrorists who have interpreted the Qur'a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n the twenty first centur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slamic Jihad concept in the original interpretation due to the need for a solution to th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disarray between the religious and political understanding of Jihad concept. More importantly, the Christian mission for Muslims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purpose of truth, justice and peace due to the need for the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Jihad concept. Christians should join in the mission that has provided the opportunity to practice truth, justice and peace. Christians should als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reversal of violence and distortion, which cause several problems inside and outside of Islamic spheres of influence. As a result, there should be an establishment of justice and peace with Christian love. Instead there exists an armament in unjustified unions and society, violence and complexity. In the Christian Holy Spirit self emptiness is the only way for love and world peace to develop between Muslims and Christians in the name of Jesus. It has been told in the bible that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ly son Jesus, who displayed sacrifice and love for humankind.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s to follow these displays of affection set forth by Jesus: rejection of evil thoughts, application energy to embrace the world whilst loving one another and eventually, fellowships of God's greatest love. Above all, this is a just struggle for truth, justice and peace which are values embraced by Christianity and a paradigm of the Christian mission toward Muslims in the twenty-first century.;전쟁과 보복으로 얼룩진 이슬람과 서양의 갈등은 현대에 반복되는 자살 폭탄 테러와 팔레스타인 문제로 인해 그 심각성의 정도가 점점 극대화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 속에 이슬람 세계는 분명 서구와 다른 패러다임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서양에 종속된 패러다임과 그 잣대로 평가되어왔다. 특별히 이슬람의 테러리즘과 지하드의 수행은 서구 자유주의에 대한 이슬람 지역의 강력한 정치적 저항의 수단으로 이해되어왔다. 즉 이러한 일련의 ‘전쟁과 테러’라는 대결 구도 안에서 지하드 개념은 왜곡되어 정치적인 의미에서 폭력을 정당화 시키는 도구로 이해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현대의 급진 이슬람원리주의자들에 의해 왜곡되어진 지하드 개념은 ‘9.11’을 기점으로 하여 선언된 ‘대테러와의 전쟁’으로 미국을 비롯한 서양의 언론에 의해서 그 왜곡의 정도가 더욱 강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이러한 전쟁과 테러의 대결구도 안에서 무슬림들은 갈등의 역사가 이루어낸 테러의 최대 피해자이면서도 일부 급진과격단체와 같은 종교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가해자로 취급받고 고통당하고 있다는 점에 기인하여 본 논문은 현대 무슬림을 향한 기독교 선교를 위해 지하드 개념을 어떠한 방향에서 이해해야 하는가를 주요 문제로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지하드의 왜곡된 이미지와 상반되는 개념으로서 무슬림의 존재론적 증언으로 이해되는 지하드의 본질적 개념을 개인과 공동체를 포괄하는 정의와 진리와 평화를 위한 개념으로 꾸란의 차원에서 재해석해내는 과정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재해석 과정을 통하여 본 논문은 이슬람에서 지하드 개념은 무슬림들의 존재론적 증언으로 이해되는 무슬림 삶의 종교적 의무로서 진리와 정의와 평화를 목적으로 알라의 대의를 위한 투쟁이 되며 , 이러한 진리와 정의와 평화를 목적으로 하는 투쟁은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의 존재론적 증언을 가능하게 하는 개념으로서 무슬림 선교를 향한 실천원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려 하였다. 이를 통해 21세기 현대 무슬림을 향한 기독교 선교에서 요구되어지는 선교 패러다임으로서 진리와 정의와 평화를 위한 투쟁이 갖는 의미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전투적 지하드 개념은 현대의 이슬람 테러리즘 안에서 이슬람의 방어와 부흥을 목적으로 하는 소수의 현대 이슬람 급진원리주의자들에 의해 비타협적 비제한적 폭력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폭력으로 왜곡된 전투적 지하드는 무슬림 내외부적인 생성요인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즉 전투적 지하드 개념은 무슬림 내부적으로는 서구 제국주의와 그 여파로 탄생한 아랍의 세속민족주의 안에서 무슬림 내부의 정체성의 위기를 대변하고 있으며, 무슬림 외부적으로는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과 그 여파로 야기된 팔레스타인 민중저항운동을 배경으로 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현대의 이슬람 테러리즘 안에서 폭력적 전투로 왜곡되어진 이슬람의 지하드 개념은 꾸란과 이슬람의 전통 안에서 그 명백한 근거를 찾을 수 없으며, 꾸란에 근거한 지하드의 개념은 진리와 정의와 평화를 위한 투쟁으로서 일관성 있게 해석되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하드 개념이 꾸란 속에서 무슬림의 존재론적 가치를 입증하는 종교적 의무이며 그 의무의 실천은 알라의 길에서 의로운 행위를 요구한다는 관점에서 풀이된다고 할 때 그것은 개인을 위해서는 진리를 위한 투쟁이 되며, 공동체와 그 공동체가 이루어가는 세상을 향해서는 정의와 평화를 향한 투쟁으로서 중요한 개념임을 증명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논문을 통한 지하드 개념의 재해석을 통해 21세기 현대 무슬림의 삶속에 진정으로 필요한 진리와 정의와 평화의 지하드 개념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대 무슬림을 향한 선교는 진리와 정의와 평화를 목적으로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즉 진리와 정의와 평화는 그리스도의 사랑에 근거하여 무슬림과 기독교인들이 그들의 삶속에서 함께 투쟁하고 이루어가야 하는 개념으로서, 현대의 무슬림을 향한 기독교 선교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근거로 그들의 삶속에서 요구되어지는 진리와 정의와 평화를 실천해가야 하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의 사랑 안에서 진리와 정의와 평화는 무력이 아닌 사랑으로 이루어 가는 것임을 조명해 보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범위 = 4 Ⅱ. 현대의 이슬람 테러리즘 양태와 지하드 개념 = 7 A.현대 무슬림 내부의 전투적 지하드의 생성원인 = 7 1. 서구 식민 제국주의 영향과 전투적 지하드 = 9 2. 아랍의 세속 민족주의의 영향과 전투적 지하드 = 11 B.현대 무슬림 외부의 전투적 지하드의 생성원인 = 14 1.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분쟁구도와 전투적 지하드 = 15 2. 팔레스타인 민중저항운동의 영향과 전투적 지하드 = 17 C.현대의 이슬람 테러리즘 양태의 특징과 지하드 = 18 1. 비제한적 폭력성을 동반한 전투적 지하드 = 21 2. 비타협적 폭력성을 동반한 전투적 지하드 = 22 Ⅲ. 꾸란의 지하드 개념 = 24 A.무함마드 시대의 지하드 개념 = 24 1. 이슬람 안에서 아랍어 지하드의 개념 = 25 2. 헤지라 전 지하드의 개념: 메카 공동체에서 지하드의 역할 = 25 3. 헤지라 후 지하드의 개념: 메디나 공동체에서 지하드의 역할 = 29 B.성전으로서의 소 지하드의 개념과 특징 = 33 1. 호전적 전투로 왜곡된 소지하드의 개념 = 33 2. 방어적 전투로서 소지하드의 개념 : 정의와 진리와 평화를 위한 전투 = 36 C.정의와 진리와 평화를 위한 대 지하드의 개념과 특징 = 43 1. 진리를 위한 투쟁으로서 대 지하드의 개념 = 44 2. 정의를 위한 투쟁으로서 대 지하드의 개념 = 46 3. 평화를 위한 투쟁으로서 대 지하드의 개념 = 48 Ⅳ. 이슬람 급진원리주의의 지하드 개념 = 50 A. 이슬람 급진 원리주의의 성전으로서 지하드의 본질 = 50 1. 이슬람 급진 원리주의의 지하드에 대한 해석 = 50 2. 이슬람 급진 원리주의의 전투적 지하드 수행의 목적 = 53 B. 이슬람 급진 원리주의의 세계관과 지하드 개념 = 58 1.이슬람 급진 원리주의의 이분법적 세계관 = 59 2.이슬람 급진 원리주의의 이분법적 세계관과 전투적 지하드 = 61 C. 이슬람 급진 원리주의의 국가관과 지하드 개념 = 63 1. 이슬람 법 샤리아에 의해 통치되는 급진 원리주의의 국가관과 지하드 = 63 2. 이슬람 급진 원리주의자들의 지하드 개념 이해의 한계 = 66 Ⅴ. 이슬람의 지하드 개념에 관한 선교 신학적 이해 = 69 A. 지하드의 본질적 개념에 관한 선교 신학적 이해 = 69 1. 현대 무슬림을 향한 기독교 선교의 필요성 = 69 2. 왜곡된 지하드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 = 72 B. 무슬림을 향한 선교의 실천원리: 진리와 정의와 평화의 선교 = 75 1. 진리와 정의와 평화에 대한 무슬림의 이해 = 76 2. 진리와 정의와 평화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이해 = 79 C. 진리와 정의와 평화를 위한 무슬림 선교의 실천대안 = 86 1. 진리를 향한 투쟁으로의 선교 = 87 2. 정의와 평화를 향한 투쟁으로의 선교 = 90 Ⅵ. 결론 = 92 A. 요약 및 제언 = 92 참고문헌 = 96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29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c.title선교 신학적 관점에서 본 꾸란의 지하드 개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ncept of Islamic Jihad in the Point of Theological View-
dc.format.pageiv,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