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이현의-
dc.creator이현의-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9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1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16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acquisition of Korean suprasegment, especially in focused questions, which has been valued in Korean education but rarely handled in relevant studies. To the end, I chose Japanes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as objects of this research, to see their focused utterances and perception patterns in Korean question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To acquire focus is to learn how to distinguish meaning of each focus which is heard when perceiving utterances, and how to clearly make oneself understood when making utterances. In the sense, I compared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by conducting an auditory test and a utterance test. Besides, I carried out a perception test by getting the native speaker group to listen to focused utterances made by the learners in the utterance test and then choose right answers to them, to see whether the utterances have any problem in actual communication. The Chapter Ⅰ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then reviews previous relevant studies, especially on focus in Korean and focu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s a result, the previous studies turned out to mainly use focused sentences far from actual discourse, and fail to tell whether factors cited as features of focus were mechanical or perceptional differences due to absence of a perceptional test.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presents both focused sentences and the actual discourse circumstances in the auditory and utterance tests, and conducts a perception test as well, to see how the differences in utterance of native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ffect actual communication. In the Chapter Ⅱ, I define the controversial concept of 'focus', considering Lambrecht(1994)'s theory, and then examine rhythmical features of focus in Korean and Japanese. The Chapter Ⅲ explains methodology of the auditory test to see whether to distinguish meaning of each focus, and the results. The auditory test progressed as 25 people from each native group and learner group listened to 37 focused questions, along with the discourse circumstances, and then gave proper answers to them.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learners were less likely to pick up right answers than the native speakers, revealing the fact that learners cannot understand questions varying with focus as much as native speakers can. The Chapter Ⅳ describes methodology of the utterance test to compare the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in patterns of focused utterances, and the results. For the test, I picked the people used in the auditory test again, and gave them 17 cards where focused sentences were written along with the discourse circumstances, to have them utter as they understood. I compared their utterances centering on pitch range and dephrasing.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learners, compared to the native speakers, had narrower pitch range and more irregular dephrasing. The Chapter Ⅴ is about methodology of the perception test to see whether utterances made by the learners in the utterance test are proper to actual communication, and the results. I conducted the test by giving 20 native speakers, not the people used in the auditory or utterance test, learners' utterances made in the utterance test, and having them pick up proper answ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arners could understand utterances remarkably less than the native speakers could. To conclud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everal aspects as stated below. First,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fundamental data about education in Korean phonetics, by completing research on suprasegment which has been deemed as significant but hardly handl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this study figured out in experimental phonetic methodology that the native speakers understand, perceive and generate information structure during conversation, while the learners remarkably lack the competence, urging on systematic education in pronunciation hereafter. Given that this result was derived from advanced learners of Korean, it would be safe to say there might be problems with current education in Korean suprasegment.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howing proper ways to teach suprasegment in Korean education, by suggesting teaching suprasegment in Korean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or interaction, not of grammar or attitude.;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그 필요성은 끊임없이 제기되나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물이 적은 한국어 초분절음, 그 중에서도 의문문 초점의 습득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이며, 비교 집단으로 한국인 모어 화자를 설정하여 학습자 집단의 의문문 초점 발화와 지각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초점을 습득했다는 것은 발화 수용 면에서 청각적으로 돋들리는 초점의 의미를 변별할 수 있으며, 발화 생성 면에서 자신의 표현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청취 실험과 발화 실험을 시행하여 모어 화자와 학습자 집단을 비교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생성한 초점 발화가 실제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지 알아보기 위해, 발화 실험을 통해 수집한 초점 발화를 모어 화자에게 들려주고 알맞은 답을 고르게 하는 지각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기존의 실험 연구 중 한국어의 초점에 관한 연구와 제 2언어 습득 분야에서의 초점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초점 실험이 담화 상황과 동떨어진 문장만을 제시하여 진행된 경우가 많으며, 지각 실험이 동반되지 않아서 초점의 특성으로 언급된 요소들이 단지 기계적인 차이인지 사람이 인지되는 차이인지 알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청취 실험과 발화 실험에서 초점 문장과 함께 담화 상황을 함께 제시하고, 지각 실험을 실시해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초점 발화의 차이가 실제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Ⅱ장에서는 많은 논란이 있는 초점의 개념을 Lambrecht(1994)의 논의를 받아들여 정의하고자 했으며, 한국어와 일본어의 초점의 운율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초점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를 변별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청취 실험의 방법과 결과를 서술하였다. 청취 실험은 모어 화자와 학습자 각각 25명을 대상으로 하여, 37개의 초점이 있는 의문문을 담화 상황과 함께 들려주고 알맞은 답을 고르게 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자의 정답률이 모어 화자에 비해 현저히 낮아, 학습자는 초점에 따른 의문문의 의미 변화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초점 발화 양상을 비교하기 위한 발화 실험의 방법과 결과를 서술하였다. 발화 실험의 피험자는 청취 실험 피험자와 같으며, 실험은 담화 상황과 함께 초점 문장이 적혀있는 17개의 카드를 피험자들에게 제시하고 발화하게 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수집한 발화는 F0 상승폭(pitch range)과 음운구 해지(dephrasing)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는 모어 화자에 비해 F0 상승폭이 낮고 음운구 해지의 규칙성이 없어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Ⅴ장에서는 발화 실험을 통해 수집한 피험자들의 발화가 실제 의사소통을 할 때 문제가 없는지 알아보기 위한 지각 실험의 방법과 결과를 서술하였다. 실험은 발화 실험을 통해 수집한 발화를 청취ㆍ발화 실험 피험자와는 다른 모어 화자 집단 20명에게 들려주고 알맞은 답을 고르게 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모어 화자 발화에 대한 이해도에 비해 학습자의 발화에 대한 이해도는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모어 화자는 대화에서 정보 구조를 이해하여 수용하고 생성한다면 학습자는 그러한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사실을 실험음성학적인 방법을 통해 밝혀내 체계적인 발음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가 한국어 고급 학습자로부터 도출된 것임을 생각할 때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초분절음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어 교육에서 끊임없이 필요성은 제기되었으나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물은 매우 부족한 초분절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어 음성 교육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는 미약하나마 한국어 교육에서의 초분절음 교수가 문법적 혹은 태도적인 접근 방식이 아닌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적인 접근 방식으로 행해질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어 한국어 교육에서의 초분절음 교육 방법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4 Ⅱ. 이론적 배경 = 8 A. 초점의 정의 = 8 B. 한국어와 일본어 초점의 운율적 특성 = 13 Ⅲ. 청취 실험 = 17 A. 실험 방법 = 18 1. 피험자 선정 = 18 2. 자료 수집 절차 및 분석 방법 = 19 B. 실험 결과 = 23 1. 판정 의문문 = 23 2. 설명 의문문 = 28 Ⅳ. 발화 실험 = 32 A. 발화 실험 방법 = 32 1. 피험자 선정 = 32 2. 자료 수집 절차 및 분석 방법 = 32 B. 실험 결과 = 35 1. 판정 의문문 = 35 가. F0 상승폭 = 36 나. 음운구 형성 = 45 2. 설명 의문문 = 51 가. F0 상승폭 = 51 나. 음운구 형성 = 58 Ⅴ. 지각 실험 = 64 A. 실험 방법 = 64 1. 피험자 선정 = 64 2. 자료 수집 절차 및 분석 방법 = 64 B. 지각 실험 결과 = 66 1. 판정 의문문 = 66 2. 설명 의문문 = 68 Ⅵ. 결론 = 73 Ⅶ. 참고 문헌 = 76 부록1 청취 실험 시험지 = 81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85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 의문문의 초점 발화와 지각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ocused Utterances and Perception Patterns in Korean Questions for Advanced Japanese Korean Learners-
dc.creator.othernameLee, Hyun Eui-
dc.format.pageⅶ,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