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식품지원 프로그램 효과

Title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식품지원 프로그램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ogram for Low Income, Living Alone Aged People
Authors
임보경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저소득층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영양섭취 실태와 건강상태를 살펴보고, 식품지원이 이들의 영양상태 개선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부천시 오정구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독거노인 중 65세 이상의 여성 57명의 사회경제적 사항, 건강상태, 신체계측, 식행동, 식품구매 및 조리실태, 영양상태, 혈액성분을 조사하고 6개월간 1일 1끼 분량의 식품지원을 실시하여 식품 지원 전과 후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식품지원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대상자들은 교육수준이 낮고 대부분이 생활보호대상자로 등록되어 구청에서 생계비를 지원받아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저소득층에 속했으며 질병 보유율이 높고 특히 치아상실과 위장관 문제에 따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계측치 조사 결과 대상자 중 73.7%가 BMI 23kg/㎡이상으로 나타나 비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압측정 결과에서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의 평균은 각각 146.1mmHg와 82.6mmHg로써 평균 수축기 혈압은 고혈압 판정 기준치인 140mmHg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행동 조사 결과 대상자의 대부분은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있으나 곡류군과 채소류를 제외한 식품군의 섭취는 충분하지 못하여 다양한 식품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24-hr recall을 통한 식이섭취 조사 결과 열량과 단백질의 섭취량이 권장량의 61.6%, 69.1%로 낮았고 인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권장량의 70%보다 낮게 섭취하고 있었다. 혈액 성분 분석 결과 total protein, albumin, hemoglobin, hematocrit, ferritin, serum iron, TIBC, RBC,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Ca, P의 평균수치는 정상범위 또는 하한선 있었으나, 혈액성상지표가 정상범위를 벗어나 영양상태가 불량함을 보인 대상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지원 후의 대상자들의 체중(p<0.05)과 BMI(p<0.05)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비만율도 높아졌으나, 저체중에 속한 대상자 2명중 한명은 정상범위로 올라가 섭취부족으로 인한 체중감소를 줄인 것으로 보인다. 식품 지원에 따라 대상자들의 섭취량이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p<0.01), 칼슘(p<0.05), 철분(p<0.05), 비타민 B2(p<0.001)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액 성분 결과에서도 식품 지원 후 혈청 총 단백질(p<0.001)과 알부민(p<0.001)이 정상범위 내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혈청 총 단백질의 정상범위 아래(<6.0g/㎗)에 있던 대상자가 식품지원 전 6명에서 식품지원 후 1명으로 감소하여 단백질 영양상태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혈 지표에서 WHO의 빈혈판정기준(헤모글로빈치<12g/㎗)에 미달되는 노인이 식품지원 전 45%에서 지원 후 25%로 빈혈 빈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지방의 경우 혈액 내 triglyceride와 total cholesterol이 높아져 식품지원에 따른 개선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독거노인에게 꾸준한 식품 지원은 단백질 영양상태와 빈혈 개선에는 효과적이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나 체중증가에 따른 BMI의 증가로 비만율이 증가하였고 혈청지질이 증가하는 등의 부정적인 면도 나타났으며 또한 식품 지원 후의 섭취량은 여전히 권장량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므로 좀 더 나은 영양상태 개선을 위해서는 좀 더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영양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rogram. The subjects were 57 old females who lived alone with low income Bucheon city. The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rogram for 6 months was consisted with grains, meat, vegetables, dairy and frui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behaviors, food purchasing, cooking condition, nutritional status, and biochemical blood profiles were analysed. After food commodity supplemented, the weight(p<0.05) and BMI(p<0.05) have been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o that the rate of obesity also has been increased. Of usual nutrients intakes, amount of protein(p<0.05), calcium(p<0.05), iron(p<0.05) and vitamin B₂(p<0.001)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rogram. Of biochemical parameters post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rogram, total protein(p<0.001) and albumin(p<0.001) in subjects' sera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equency of anemia were lower post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rogram(25%) than precondition(45%). However,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blood have been increased. Stable food commodity supplement turned out to be effective improvement of nutritional status of the poor aged who have lived alone. However, there were negative aspects because the rate of obesity have been increased by BMI increasing for weight-gain, also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have been increased. Moreover, their amount of nutrition intake still were less than recommend status. Therefore, local government should provide more food support positively for better improvement of nutritional statu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