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준희-
dc.creator노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3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35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finding the risk factors of fall faced by the old who stayed in institutions in Korea, and then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all nursing intervention in the future. A survey was done on the risk factors and experience of fall comparatively between the old who were in nursing homes and in geriatric hospitals in an urban area.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300 people aged 65 or older who were in nursing homes and geriatric hospitals located in a urban city. The period of collecting data was from October 14 to December 12, 2005. questionnaire sheets were filled by the help of nurses in each institution. Tool consisted of six items for information about the institution; six item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two items for disease characteristics; seven items for risk factors of fall: and eight items for fall injury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SAS Enterprise Guide 3.0 was used to calculate real numbers and percentage. Then, t- test and x²-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haracteristics of nursing homes and geriatric hospitals Nursing home of 12 place was company type; 2 place, individual management type; 4 place., Geriatric hospitals of 4 place was individual management type; 2 place, national assistance management type; 2 plac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ex, the final educational level, the state of marriage, medical insurance and the period of staying in the institution(p<.05). 3.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iseases The diseases of the subjects included hypertention, dementia and stroke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betes, the number of diseases this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type of medicin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institutions in sedation, diuretic/laxative and other medicines. the number of medicine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p<.05). 4. Fall Risk Factors. The number of fall risk factors was 2.6 for nursing homes and 3.2 for geriatric hospitals, which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institutions. the items of fall risk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state, excretion or whether to be helped in moving, the level of moving and whether to change in the institution. problems. 5. Fall Injury Experience Fall Experience and the Time of Occurrence, Place and Cause of Fal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lace where fall occurred, the bedside in both types of institutions. The cause of fall was making a false step in nursing homes and slipping in geriatric hospitals. footwear at the time when fall happened, bare feet the in both types of institutions. Damage after Fall bruises in nursing homes while bruises and fracture damaged parts was the lower limbs the highest percentage in both types of institu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institu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more studies will have to be made in the future on the factors related to fall of the old in institutions by general characteristic, disease characteristic and the institution'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which may be basic data for fall injury prevention programs for the old.;인구의 노령화 현상과 관련하여 낙상은 골절, 뇌손상 등 각종 심각한 신체적 손상과 사회 심리적, 경제적 문제를 야기 시켜 노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시설과 병원 거주 노인의 낙상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일개 도시지역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전문병원의 65세 이상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낙상 위험 요인과 낙상 경험을 비교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5년 10월 14일부터 12월 12일까지였으며, 연구자가 시설의 장과 대상자에게 동의를 구한 후 해당 시설 간호사의 도움을 받아 설문지를 작성 하였다. 연구 도구는 시설 특성 6문항, 일반적 특성 6문항, 질병 특성 2문항, 낙상 위험 요인 7개 문항과 낙상 경험 8문항으로, 총 문항 수는 29문항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Enterprise Guide 3.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t- test와 χ2-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시설은 12개 노인요양시설과 4개의 노인전문병원이었다. 12개의 노인요양시설의 운영형태는 기업형 2곳, 개인 운영형 10곳이었다. 기업형 2곳의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침상 수 대비 간호사 1인당 13명, 간병인 1인당 4.3명의 노인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운영형 10곳의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침상 수 대비 간호사 1인당 12.6명, 간병인 1인당 4.2명의 노인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 노인전문병원의 운영형태는 법인형 2곳, 국가 보조 운영형 2곳이었다. 법인형 2곳의 노인전문병원에서는 침상 수 대비 간호사 1인당 6.3명, 간병인 1인당 2.1명의 노인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보조 운영형 2곳의 노인전문병원에서는 침상 수 대비 간호사 1인당 14.2명, 간병인 1인당 3명의 노인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노인요양시설 대상자는 남자 24.2%, 여자 75.8%였고, 최종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이 25.5%, 결혼 상태는 사별이 79.1%로 가장 많았다. 의료 보험형태는 건강보험 98.0%였으며, 시설 입실기간은 평균 15개월이며, 1년 미만이 47.1%로 가장 많았다. 노인전문병원 대상자는 남자 36.0%, 여자 64.0%였고, 최종 학력은 무학이 42.9%, 결혼 상태는 사별이 61.2%로 가장 많았다. 의료 보험형태는 건강보험 68.0%, 의료보호가 31.3%였으며, 병원 입실기간은 평균 12개월이며, 1년 미만이 66.1%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성별, 최종학력, 결혼상태, 의료보험, 입실기간, 평균 입실 개월 수였다(p<.05). 3. 대상자의 질병 특성은 대상자 모두 심혈관계, 인지기능장애, 근·골격계, 신경계 질병이 가장 많았다. 노인전문병원은 당뇨병, 빈혈이 노인요양시설 대상자에 비해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 질병 수는 노인전문병원 2.6개로, 노인요양시설 2.3개에 비해 많아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복용 약물의 종류는 노인전문병원의 대상자들이 노인요양시설의 대상자보다 이뇨제, 대변완화제, 안정제, 기타약물을 더 많이 복용하였고, 평균 복용 약물 개수는 노인전문병원 6.4개로, 노인요양시설 3개에 비해 더 많은 약을 복용하고 있어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4. 대상자의 낙상 위험요인개수는 노인요양시설 2.6개, 노인전문병원 3.2개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낙상 위험 요인 항목은 정신상태, 보행 또는 화장실 이용 시 도움 유무, 이동수준, 시설에서의 신체·심리적 변화 유무에 있어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세부항목으로는 정신적 문제 형태, 시력문제, 배뇨문제에 있어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5. 대상자의 낙상 경험은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군 의 낙상 시기는 최근 6개월 미만, 낙상 발생 장소는 침대 옆이 가장 많았다. 낙상 원인은 노인 요양시설 대상자는 헛디딤, 노인전문병원 대상자는 미끄러짐이었고 낙상 시 신발 착용 상태는 맨발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손상형태는 노인요양시설은 타박상, 노인전문병원은 타박상과 골절, 손상 부위는 두 군 모두 하지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지역 별, 거주 형태별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2. 본 연구 결과는 노인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제공함에 있어 노인의 특성과 상황에 맞는 적절한 간호중재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3. 노인의 낙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4. 노인 간호가 이루어지는 임상 환경에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낙상 위험 요인을 면밀히 파악할 수 있는 실무프로토콜 마련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Ⅳ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 정의 = 4 Ⅱ. 문헌고찰 = 5 A. 낙상의 위험요인 = 5 B. 노인의 낙상 경험 = 13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설계 = 19 B. 연구대상 = 19 C. 연구도구 = 19 D.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 20 E. 자료 분석 방법 = 20 F. 윤리적 고려 = 2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2 A. 대상자의 시설 특성 = 22 B.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3 C. 대상자의 질병 특성 = 25 D. 대상자의 낙상 위험 요인 = 28 E. 대상자의 낙상 경험 = 33 F. 연구의 제한점 = 39 Ⅴ. 결론 및 제언 = 40 A. 결론 = 40 B. 제언 = 45 참고문헌 = 46 부 록 = 54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85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노인요양시설과 노인전문병원의 낙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fall risk assessment among nursing homes and geriatric hospitals in a urban city-
dc.creator.othernameNo, Jun-Hee-
dc.format.pageiv,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