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주현-
dc.creator이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3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349-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에서 암은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구조의 변화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암 사망원인은 폐암, 위암, 간암, 대장암, 췌장암의 순으로 대장암은 전체 암 사망원인 4위를 차지하고 있고 매년 증가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장암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행위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노년 대상자의 대장암 검진행위를 파악하고, 검진행위와 건강신념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지역 S대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40세 이상의 중·노년 대상자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2005년 11월 17일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장암 검진행위와 관련된 질문 10문항, 그리고 건강신념은 민감성 (5문항), 심각성(7문항), 유익성(6문항), 장애성(6문항), 건강동기(7문항), 자신감(5문항)으로 총 36문항(Champion, 1984)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도구의 Cronbach's α은 민감성 .91, 심각성 .87, 유익성 .90, 장애성 .78, 건강동기 .83, 자신감 .72이었고, 도구 전체의 신뢰도는 .85(.72~.91)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χ2-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60.3%가 대장암 조기 검진 경험이 있었고, 한 번도 검진을 받은 경험이 없는 대상자는 39.7%였고, 건강동기는 ‘본인의 건강이 염려되어서’가 53.3%로 가장 많았다. 두 집단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월 수입(χ2= 18.72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건강신념 정도는 대장암 검진 경험이 있는 군은 유익성이 4.0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건강 동기 3.89, 자신감 3.71, 장애성 2.62, 심각성 2.57과 민감성 2.35의 순으로 나타났고, 검진 경험이 없는 군은 검진경험이 있는 군에 비해 심각성과 장애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 정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은 유익성(F=4.931, p=.003), 건강동기(F=2.732, p=.045), 자신감(F=4.328, p=.006)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결혼상태에서는 자신감(F=3.110, p=.047), 교육정도에서는 건강동기(F=4.485, p=.005)와 장애성(F=2.808, p=.041), 월 수입은 건강동기(F=4.284, p=.002), 자신감(F=2.477, p=.046), 직업은 건강동기(F=2.711, p=.022)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건강신념에 따른 대장암 검진행위를 조사한 결과, 건강동기(t=4.118, p= .000)와 자신감(t=4.731, p=.000)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대장암 검진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월 수입, 건강동기, 자신감이었다. 대장암 검진 수검율을 높이기 위해 건강동기와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as to survey the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for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health belief and colorectal cancer screening. The sample consisted of 110 males and 89 females both aged 40 or older who had visited the health check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Champion Health Belief Model Scale(CHBMS) developed by Champion(1984).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ANOVA and Scheffe'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60.3% of the subjects had ever been check-ups for colorectal cancer, and 53.3% of those had check-ups answered that 'they had been concerned about their health'.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se two groups, monthly income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m (χ2=18.721, p=.001). 3. The items for which the check-ups group scored highest were about 'perceived benefit' (4.01), followed by 'health motive' (3.89), 'perceived confidence' (3.71), 'perceived barriers' (2.62), 'perceived seriousness' (2.57) and 'perceived sensitivity' (2.35) in their order.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ealth belief depending on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of health belief were found depending on 'perceived benefit' (F=4.931, p=.003), 'health motive' (F=2.732, p=.045) and 'perceived confidence' (F=4.328, p=.006) under age. Significant differences of health belief were also identified depending on 'perceived confidence' (F=3.110, p=.047) under marital status, 'health motive' (F=4.485, p=.005) under academic background, 'health motive' (F=4.284, p=.002) and 'perceived confidence' (F=2.477, p=.046) under monthly income and 'health motive' (F=2.711, p=.022) under job category. 5. On the other hand, as a consequence of surveying the colorectal cancer screening depending on health belief, it was found that health belief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health motive (t=4.118, p=.000) and perceived confidence (t=4.731, p=.000). Summing up, the variabl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lorectal cancer screening were monthly income, health motive and confid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 정의 = 4 II. 문헌고찰 = 8 A. 건강신념 = 8 B. 건강신념과 암 검진행위 = 10 III. 연구방법 = 14 A. 연구설계 = 14 B. 연구대상 = 14 C. 연구도구 = 14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16 E. 자료분석 방법 = 16 IV. 연구결과 및 논의 = 18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8 B. 대장암 검진행위 = 20 C. 대상자의 건강신념 정도 = 22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장암 검진행위 = 24 E.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 = 26 F. 건강신념에 따른 대장암 검진행위 = 29 G. 연구의 제한점 = 31 V. 결론 및 제언 = 32 A. 결론 = 32 B. 제언 = 34 참고문헌 = 36 부록 = 40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18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중노년 대상자의 대장암 검진행위와 건강신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nd Health Belief of Midle aged and Elderly people-
dc.creator.othernameLee, Joo-Hyun-
dc.format.pageviii, 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