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혜자-
dc.contributor.author남미현-
dc.creator남미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4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475-
dc.description.abstract자연은 질서와 조화 속에서 통일을 이루어가고 탄생과 죽음을 되풀이 하고 있다. 이 속에서 순환되는 생명력의 무한한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으며 예술가는 이 순환과정에서 벗어날 수 없ㄴ은 생명체의 일부분으로서, 보다 영원하고 본질적인 것을 추구하려는 욕구에 의하여 자연의 신비로움에 이끌리게 뙤며, 끊임없는 예술적 표현 소재로 삼고 있다. 자연의 모방을 통해 형성된 미의 감정은 영원한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게 해주며 인간 삶의 의미를 새롭게 하고 생활의 활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열매의 가시적 형태 속에 함축되어 있는 자연세계를 기능과 시각적 아름다움으로 표현함에 있어, 예술의 개념과 자연을 이해하고, 열매의 내재되어 있는 무한한 생명력을 연구자의 심미적인 감성과 결합시켜 표현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물질문명의 삶 속에서 자연을 가까이 하고 싶어 하는 현대인들에게 실용성과 공간에 장심굄으로서 일상과 어우러져 활력을 줄 수 있는 도자 공예품을 만들고자 하였다. 열매는 식물의 결정체로서 생명의 근원을 상징으로서 또 다른 결실을 위한 생명력의 가능성을 의미하며, 다양한 외형과 단순한 곡선 속에 질서와 조화, 좌우대칭의 구조적인 대비, 딱딱함과 조직적인 듯하면서도 자연스러운 형태적인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조형적 이미지는 연구의 소재로서 식물의 생명력을 표현함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예술가의 미적인 창조의 소재로서의 자연을 알아보고 무심히 지나쳐 버리기 쉬운 회화나무, 무궁화나무, 비자나무, 자두나무, 복숭아나무, 신갈나무, 박태기나무, 무화과나무, 자작나무 등의 열매를 관찰하고 열매를 주제로 한 여러 작가의 작품사례를 연구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섬세한 느낌의 형태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반복제작을 위해 석고 틀을 이용하여 이장주입을 하였고, 경우에 따라 자연스러운 느낌이 나도록 판을 잘라 만들어 붙였다. 표현방법에 있어서는 열매가 가지고 있는 자연의 응집력을 표현하기 위하여 다채롭게 선 상감으로 표면장식을 하였으며, 다양한 색상의 색화장토를 이용하여 자연의 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태토는 여러 자기 열매의 형태를 표현하고자 가소성이 우수하고 백색토가 뛰어난 실크소지와 다양한 색상을 만들기 위해 청토와 실크소지를 6:4로 섞거나 실크소지에 검은색안료10%와 산화철5%를 섞어 연한갈색과 검정색 슬립을 만들었다. 유약은 표면 상감 장식이 잘 나타나도록 고온 투명유를 사용하였으며, 열매의 매끄러운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시유는 담금법(작품2,3,4,5)과 혙애와 크기에 따라 분무시유(작품1,6,7,8,9,10)를 병행하였다. 소성은 0.2㎥ 전기가마에서 850℃까지 8시간동안 1차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1250℃까지 10시간동안의 산화염소성을 하엿다. 완성된 작품 10점은 볼(작품 1,2,4), 함(작품 1), 화기(작품 8,9,10), 벽장식(작품 6), 접시(3,5,7)등의 기능과 함께 공간을 장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연의 질서속의 다양한 변화와 비례적 통일감은 끊임없는 예술적 소재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자연의 결정체로서 열매의 각기 다른 형태적 조형미와 다양한 질감과 색상, 내재된 생명력은 도자 조형의 대상물로 효과적임을 알았다. 또한 전통기법의 표현과, 장식과 실용을 동시에 겸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부단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함을 알았다. 이에 앞으로 후진들의 전통장식기법에 대한 많은 관심과, 장식성과 기증성을 겸하며 생활 속에 어우러져 현대인들의 삶에 기쁨을 주는 도자공예품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길 바란다.;Nature is a vicious cycle where life and death is repeated continuously yet in it there is discipline that harmonizes and unify with all living things. In this vicious cycle,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e infinite beauty of life. Artists are drawn to the circulating process of life and death simultaneously as challenging its boundaries. They are attracted to the mysterious aspects of nature and they seek to find means to which they can hold it for eternity. Therefore they create art that gives insight to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nature with individual emotions and hence provide vitality to life. With plants, their lives are defined with pollination, growth, budding leaves, flowers blooming and the bearing of fruits. Fruits are the crystal of plants whilst they are the origins of birth only to provide a continuation of life into the future. There are countless different fruit forms and in them there is discipline and harmony presented through simple curved shapes. Some are symmetrical, others have contrasting symmetry, some are hard and others soft. For this study, several fruit shapes havebeen chosen for detailed examination on the forms. Fruits in the likes of hazelnut, acorn, plum, fig, pear tree, pine fruits and others were studied for the designing of handcrafted ceramic objects. Most of the forms were made in the slip-casting technique in conjunction to incorporating the slab-building method. For surface design, the inlaying technique was applied with several different colored engobes. The celadon and white porcelain clay bodies were used. For some pieces the two bodies were mixed together to a ratio of 6:4 parts while also adding 10% black stain and 5% iron oxide to produce a black engobe. The work was glazed using a transparent glaze. Works 2, 3, 4, 5 were dipped in the glaze and Works 1, 6, 7, 8, 9, 10 were sprayed on. The firing was conducted in a 0.2 m³ electric kiln. First firing reaching a temperature of 850° c in eight hours. The second glaze firing reached a temperature of 1250°c in ten hours in an oxidation environment. Different fruit shapes have a variety of textures, color and forms. These were most effective for designing ceramic objects. Furthermore, their natural qualities can give pleasure to the contemporary people where life is always busy and fast mov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예술과 공예 = 3 2.1 자연과 예술 = 3 2.2 예술과 공예 = 5 2.3 도자공예의 장식 = 7 3. 열매의 종류와 형태 = 10 3.1 열매의 종류 = 10 3.2 열매의 형태 = 14 4. 열매를 표현한 작품 사례 = 20 5. 작품 제작 과정 및 적품해설 = 26 5.1 디자인과정 = 26 5.2 제작과정 및 작품해설 = 48 6. 결론 = 72 참고 문헌 = 74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681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열매의 형태를 응용한 도자 공예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eramic Craft Objects Designed with the Fruit Shape-
dc.creator.othernameNAM, Mi Hyun-
dc.format.pagex,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