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김은서-
dc.creator김은서-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4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464-
dc.description.abstractResearchers and service providers usually assume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their family functions and that parents may probably refuse their mentally retarded children. However, it is reported by many researches that many families cope with rearing their handicapped children well, not showing any pathological response to the children, and that their functions are not much disrupted. A few researchers suggested that many families with handicapped children had reared their children with a positive attitude. Moreover, current theories predict that the families adapted successfully to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uld have some positive perception with positive experiences. With such basic assum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xtent of mothers' perception of the positive impact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for the first time and reviewing their perceived differences of such perception of the positive effects depending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variables and mothers'/families' variables, and thereby, suggesting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pecialists serving mentally retarded children's famili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designed a questionnaire suitable to our conditions, which consists of positive effect items borrowed from Kansas Inventory of Parental Perceptions (KIPP) and other questions based on interviews with mothers. For the survey, the researcher randomly sampled 540 mothers with mentally regarded children enrolled in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1st and 2nd grades of middle schools and 2nd and 3rd grades of high schools in Seoul, Inchon and Kyonggi areas. The researcher asked teachers in charge, visited mothers or mailed to distribute and collect the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377 mothers' data were subject to analysis, while being processed fo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per each area. Some data were processed for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n, Scheffe's post hoc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xtent of mothers' perceptions about the positive effects of rearing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e total mean value is 2.64 and the sub-factor of mothers' perceived positive effects which scored highest in terms of mean value was mothers' learn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rearing the child with disabilities, followed by mother's positive emotion due to the child with disabilities, offering an opportunity for developing mothers' job-related skills, reinforcement of family capacity, maturity of family members' personality enhamcement of mothers' social viewpoint and expansion of mother's social support network. 2. Differences of mothers' perceived positive effects depending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variables Mothers' perceived positive effects made no difference per groups depending on children's age and degree of retardation. 3. Differences of mothers' perceived positive effects depending on mothers' and families' variables Mothers' perceived positive effects differed significantly per group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religion. The extent of perception of mothers who have a religion about the positive effects of rearing mentally retarded children is more than that of mothers who have no religion. Religion affected such areas of mothers' perceptions as mothers' learn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rearing the child with disabilities, offering an opportunity for developing mothers' job-related skills, reinforcement of family capacity and maturity of family members' personality. Mothers' perceived positive effects differed significantly per groups depending on the family income. The extent of perception of mothers of the family income is more than three million won is more than that of mothers of the family income which is less than two million won. Family income affected such areas of mothers' perception as reinforcement of family capacity, maturity of family members' personality, and enhamcement of mothers' social viewpoint. In short, the higher the income was, mothers tended more to perceive positively towards rearing their mentally retarded children. All in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major factors for such positive perception coincide considerably among studies handicapped. Second, children's families report about some positive effects of rearing the children. Third, many variables such as reiligion and family income are correlated with the positive perception.;장애인과 가족을 위한 서비스분야에서 전문적인 중재를 통해 가족을 지원하고 기능을 강화하는 것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였을 때 주요 질문은 ‘어떤 중재전략이 가족의 생의 주기 동안 가정과 그들의 지역사회에서 장애를 가진 가족 구성원을 양육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가?’이다. 이에 대한 한 가지 가능성 있는 접근법은 장애인이 그들 가족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지체자녀 양육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 인식 정도를 살펴보고 정신지체자녀의 변인과 어머니 및 가족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긍정적 영향의 인식을 통한 가족기능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도)을 중심으로 무선 표집 한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2학년, 고등학교 2-3학년 정신지체 학생 54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 인식에 대한 캔사스 목록(Kansas Inventory of Parental Perceptions: KIPP) 중 긍정적 기여 척도 50개의 항목과 장애자녀 어머니들과의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근거로 우리나라 실정에 비추어 작성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담임교사의 도움을 받아 직접 방문 혹은 우편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회수 하였으며, 381부를 회수하여 그 중 37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지체자녀 양육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 인식의 전체 평균 점수는 2.64이며 하위 요인에 대한 평균점수는 장애자녀 양육 경험을 통한 어머니의 배움, 장애자녀로 인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가족의 인격적 성숙, 가족 역량의 강화, 어머니의 직업관련 능력 향상, 어머니의 사회적 관점 증가,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망 확장 순으로 평균점수가 높았다. 2. 정신지체자녀의 연령, 장애정도에 따라 정신지체자녀 양육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정신지체 자녀 어머니의 종교 유무에 따른 정신지체자녀 양육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 인식은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종교가 있는 어머니 집단의 인식 평균이 종교가 없는 어머니 집단의 인식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하위 요인별로 장애자녀 어머니의 종교 유무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자녀 양육 경험을 통한 어머니의 배움’, ‘장애자녀로 인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어머니의 직업관련 능력 향상’, ‘가족 역량의 강화’, ‘가족의 인격적 성숙’,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망 확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어머니의 사회적 관점 증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신지체 자녀 가족의 월수입 변인에 따른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 인식의 평균은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가족의 월수입이 300만원 이상인 가족의 어머니 인식 평균이 월수입이 200만원 미만인 가족 어머니 집단의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하위 요인별로 가족의 월수입에 따른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 인식의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가족 역량의 강화’, ‘가족의 인격적 성숙’, ‘어머니의 사회적 관점 증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나머지 하위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정신지체아동의 어머니는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긍정적 측면이 존재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장애자녀의 변인 즉, 정신지체자녀의 연령과 장애정도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어머니 종교의 유무, 가족의 월수입과 같은 변인들이 긍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과 관계된다는 것을 밝혔다. 이것은 가족의 대응 자원 또는 종교와 같이 사회적 지원을 제공 할 수 있는 자원이 장애자녀 가족의 긍정적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가족지원 서비스가 더욱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사전연구 단계에서 이루어진 요인분석 결과 긍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의 하위 요인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것과 상당히 유사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가족 스트레스 이론과 장애 수용 과정 = 7 1. 가족 스트레스 이론 = 7 2. 가족의 장애수용 과정 = 14 B. 장애자녀 양육의 영향 = 17 1. 장애자녀로 인한 가족의 스트레스 = 18 2. 장애자녀 양육의 긍정적 영향 = 2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1 A. 연구 방법 = 31 B. 연구절차 = 32 C. 연구도구 = 35 D. 자료처리 및 분석 = 38 Ⅳ. 연구결과 = 39 A. 정신지체 자녀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 인식 정도 = 39 B. 정신지체자녀의 변인에 따른 정신지체자녀 양육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 인식의 차이 = 41 C. 어머니 및 가족 변인에 따른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 인식의 차이 = 42 Ⅴ. 논의 및 제언 = 50 A. 논의 = 50 B. 연구의 제한점 = 55 C. 제언 = 56 참고문헌 = 58 부록 = 68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70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정신지체자녀 양육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others' Perception of the Positive Impact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dc.creator.othernameKim, Eun Sheo-
dc.format.pageⅹⅰ,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