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이야기책의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이야기책의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n Abilities of Story Production Through the Functional Reading Intervention of Storybook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Authors
김보라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야기는 담화의 한 형태로서 생각이나 경험 등을 전달하는 의사소통의 한 방법이며, 사회적 상호작용 뿐만 아니라 차후 학업 수행의 중요한 예측요소가 된다. 하지만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은 제한된 인지 능력, 사전 정보의 부족, 정보의 생략, 이야기 조직 능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이야기 산출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를 돕기 위한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이야기책 읽기를 통해서 아동들은 비문맥적인 담화로부터 의미를 추론하고, 이야기를 해석하여 논의하는 법을 배우게 되며, 이야기 개념을 획득하고 발달시켜 나간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이야기책 읽기는 성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질 때 그 효과가 더욱 크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이야기책 읽기 활동으로서, 이야기책 읽기를 사용할 때 상호작용적 주고-받기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아동에게 반응유도 질문하기, 문장 완성하기 절차, 확장, 그리고 완전한 모델링의 요소가 첨가된 기능적 읽기 중재를 통해 언어발달치체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생활연령이 만4세에서 7세 사이인 언어발달지체아동 20명을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배치하였다. 매 회기 20분씩 총 15회기에 걸쳐 본 연구자가 직접 실험집단 아동들에게 이야기책의 기능적 읽기 중재를 개별적으로 시행하였다. 이야기 산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아동들이 생성해낸 이야기를 이야기 문법 점수, T-unit 당 평균 낱말 수, 결속장치의 하위 유형 중 지시와 접속의 사용 빈도의 측면에서 사전ㆍ사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검사 결과 처리는 중재 효과를 밝히기 위해 SPSSWIN 12.0을 사용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책의 기능적 읽기 중재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이야기 문법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이야기책의 기능적 읽기 중재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T-unit당 평균 낱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이야기책의 기능적 읽기 중재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결속 장치의 하위 유형인 지시와 접속 사용 빈도가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이야기책의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잘 짜여진 이야기를 바탕으로 사건의 순서에 맞게 완전한 일화와 관련된 정보를 중심으로 이야기 구조와 내용을 이해하고 산출하게 하는 이야기책의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부족한 이야기 산출 능력을 향상시켜 청자에게 자신의 생각을 적절하게 전달하도록 구문론적, 화용론적 측면에서의 언어 발달을 가져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Narrative are a rich source of information about a child' linguistic and pragmatic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unctional reading intervention of storybook o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in abilities of story production composed of story grammar, MLU per T-unit, cohesion. In this study, 20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4 to 7 years of age, were selecte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by 10 subjects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subjects were trained by the functional reading intervention of storybook.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15 sessions scheduled 20minutes per session. To test the effect of this experiment, pre and post test of story grammar, MLU per T-unit, frequency of cohesion use were us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ANCOVA utilizing pretest total scores of story grammar(setting, initiating events, internal responses, internal plans, attempts, direct consequences, reactions), MLU per T-unit, frequency of cohesion(reference, conjunction) use as covariat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 total scores of story grammar. 2. In MLU per T-uni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3.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frequency of reference and conjunction use.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functional reading intervention of storybook is an effective method of improving abilities of story production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