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자은-
dc.creator구자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2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254-
dc.description.abstractDefining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E-participation in Regulatory Reform Processes is important in that it not only provides opportunities to enhance the democratic nature of the procedure, but also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regulatory reform process itself. A growing number of government organizations are innovatively making use of e-participation technology to provide access to policy information and to solicit comments on these policies. The Korean government, especially, has strongly encouraged citizens to provide them with feedback on the regulatory reform process since 1998. It established the center for regulatory reform as part of its Regulatory Reform Committee (RRC) websites as a means of providing the public with a space in which to propose regulatory reform issues that then, in turn, may be reviewed and evaluated by e-particip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whether or not those initiatives in fact helped to improve the regulatory reform process, and if not, to uncover not only the reasons for this system’s failure, but also to map out possible revisions that can be made to improve its effectiveness as a tool for public participation in government affairs. In this work I analyze three components of E-participation: Users,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configuration, and Information System design. To increase the relevance of research, I compared these components to analogous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The key points of my study are as follows. Users: In most cases, the discourse presented on the websites was not productive in terms of its impact on regulatory reform due either to the influence of interest group politics or a general lack of responsiveness on the part of civil servants. However, there were some notable cases in which the discourse on the RRC website contributed to building greater trust between the government and participating citizens.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configuration: The work of RRC tends to focus more on the role of feedback in policy making, while OIRA focuses more on citizen input by encouraging individuals to provide comments on proposed rules. Most important to note, however, is that the two channels for citizen participation provided by the RRC in Korea show two distinctly different approaches and responses to E-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al context of each. Information System design: In the case of Korea, the degree of Webpage revision leans radically toward aesthetic enhancement, while the regulatory portal site of U.S.-Regulations.gov, tends to focus more on search functions and back-end system integration among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usability, the RRC Website exhibits a more highly complex information architecture than that of the Regulations.gov site, and is not accompanied by any help pages or user tips that could potentially assist visitors to the site.;인터넷기술의 발달은 시민들의 정부에 대한 접촉을 증가시키고 참여의 기회를 증대시켜왔다. 이는 이른바 전자적 참여의 개념으로 양적으로 증가하는 시민참여를 어떻게 효과적인 시민투입으로 전환시킬 것인가 하는 과제이다. 본 연구는 규제개혁과정의 전자적 참여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전자적 참여의 수준을 진단하고 미래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자적 참여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문헌연구에 기반하여 이용자요인 , 조직요인, 기술설계요인을 추출하였다. 이용자요인을 보았을 때, 이들의 전자적 참여는 걸린 이해관계로 인하여 주로 항의의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생산적 의사소통보다는 소모적 의사소통이 다수 일어났으며, 이에 대하여 공무원 또한 적극적 대응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규제신고센타나 기업애로해소센타 등과 같은 온라인 접수 청구를 이용해본 이용자들과 면접결과를 볼 때 처음에 전자적 참여에 대해 회의적이었으나 해당공무원과의 빈번하고도 의미 있는 의사소통과정을 통해 규제개혁과정에 신뢰를 형성해 감을 볼 수 있었다. 조직의 측면에서는 미국의 규제심사기관인 OIRA와 한국의 규제개혁위원회를 비교한 결과 미국의 경우는 한국과는 달리 개혁과정보다는 규칙제정과정에 있어 시민의 의견투입을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주목할 만한 것은 한국의 경우 민원접수 창구의 성격에 따라 전자적 참여의 특성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이는 크게 규제신고센타와 기업애로해소센타간의 차이로 대별되는 데, 시민의 의견접수방식이나, 처리유형, 제안된 사안의 소관부처율이 각기 달랐다. 또한 인터넷으로 인한 업무가 그 양적 증가로 인해 부담되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이것이 단독 기술요인으로 업무처리에 결정적인 영향은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술설계의 측면에서 한국과 미국의 규제관련 웹페이지를 내용 및 기술면에서 평가하여 본 결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웹페이지 내용의 변화가 급격하고 웹페이지의 기능도 보다 심미적인 것에 강조를 두었다.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부처 간 정보 공유 및 시스템 통합의 결과 보다 강화된 검색기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접근용이성과 이용편의성 기준에 의한 평가의 경우 한국의 웹페이지가 메뉴 복잡성이 높았고 이용을 돕기 위한 도움말 페이지 등이 없었으며 특히 다양한 이용자에 대한 고려가 적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목적 = 1 제 2 절 연구의 대상과 범위 = 2 제 3 절 연구방법론 = 4 제 2 장 문헌연구 = 9 제 1 절 전자적 참여 = 9 1. 전자적 참여의 등장 = 9 2. 전자적 참여의 의의와 유형 = 12 3. 전자적 참여의 장단점 = 17 제 2 절 참여와 규제 = 21 제 3 절 선행연구 = 27 제 4 절 연구분석모형 = 37 제 3 장 이용자 요인 = 43 제 1 절 분석의 방법 = 43 제 2 절 전자적 참여의 언어적 의사소통 분석 = 46 1. 최면과 예외이론 = 46 2. 연구설계 = 48 3. 자료수집 = 50 4. 연구분석 및 소결 = 54 제 3 절 이용자 면접 = 59 제 4 절 소결 = 66 제 4 장 조직요인 = 68 제 1 절 한국과 미국의 규제개혁 = 69 1. 미국의 규제개혁 = 69 2. 한국의 규제개혁 = 79 제 2 절 규제민원 접수창구 및 그 운영 = 86 1. 규제신고센타 = 87 2. 기업애로해소센타 = 100 제 3 절 규제개혁 업무특성 = 111 1. 규제의 체감도 : 기업애로해소센타 = 115 제 5 장 기술설계 요인 = 127 제 1 절 내용평가 = 129 1. 미국의 규제포탈싸이트 = 129 2. 한국의 규제개혁위원회 웹페이지 = 133 제 2 절 기술평가 = 144 제 3 절 정보기술담당자 면접 = 152 제 6 장 결론 = 158 제 1 절 연구결과 = 158 제 2 절 연구의 함의 및 한계 = 163 참고문헌 = 166 ABSTRACT = 185 부록(APPENDIX) = 1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915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규제개혁의 전자적 참여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iveness of E-Participation in Regulatory Reform Process of Korea-
dc.creator.othernameKu, Ja-Eun-
dc.format.pagevii, 19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