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5 Download: 0

자치구 사회환경교육의 현황 및 비교 분석

Title
자치구 사회환경교육의 현황 및 비교 분석
Other Titles
An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Present Condition(status) of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autonomous districts
Authors
이경숙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자치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질 향상방안을 위하여 서울특별시 자치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비교ㆍ분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으로 서울특별시의 8개 자치구(강남구, 강서구, 관악구, 광진구, 노원구, 도봉구, 서초구, 성동구)를 선정하였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지방의제 21의 활동보고서와 자치구 환경교육 담당자의 인터뷰를 참고하여 분석틀에 의해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치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종류와 수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교육기간(교육 횟수와 교육 시간) 또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환경교육은 많은 부분을 환경단체나 환경기관, 고등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시행하고 있었으며 자치구의 지리적 특징을 활용하여 교육하고 있다. 반면 프로그램의 유사성이 깊고 비슷한 유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정기간(여름방학 중)에 편중되어 있었다. 정기적인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전체 프로그램의 종류와 수에 비해서 성인대상의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으로 나타났다. 결과분석을 토대로 바람직한 환경교육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자치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형식적 교육이 되지 않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정착이 필요하다. 또한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수준별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연령별로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진행에 있어서 일반인의 참여가 어려운 주중보다 주말에 분배하여 프로그램의 참여가 활발하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둘째, 자치구에서 시행하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자치구별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질적인 발전이 필요하다. 자치구 실정에 맞는 환경교육의 주제는 지역 환경에 관한 구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한다. 셋째, 환경교육의 장소가 필요하다. 실내교육과 실외교육 다양한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역의 거점 환경교육장이 필요하다. 넷째, 정책결정자를 위한 환경교육이 필요하다. 환경교육을 정책이나 행사로 인식하기보다 의식의 변화와 실천으로 인지하여 자치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교육활동’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다섯째, 구민의견이 반영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피교육자는 수동적인 입장이 아니며 능동적 주체로 소속감과 주체의식을 가진 교육 수요자이다. 즉,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평가부분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한 자치구 맞춤식 환경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환경교육 담당자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교육의 책임자이며 바람직한 환경교육을 위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로서의 자격조건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compare and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metropolis for consideration of improving the diversity and quality of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Eight(8)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metropolis have made a selection of the subject on this case study. The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from 2003 until 2005 are compared and analysed based on the Local Agenda 21 and an interview with the persons of in change of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autonomous districts. As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the kinds and the number of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period of education(the number of time and hour) have been growing steadily, while those programs have took a strong similarity each other, and/or been under way, and concentrated on the specific period(e. g. vacation). In addition to those state, it has been shown the lack of periodical education and the adult programs for the number of total programs and those kinds. Based on analysed result of this case study, the right way of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are as followed. First, It is necessary that the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autonomous districts should be directed not being perfunctory and also regularly(or periodically) preceded agespecific programs. In proceed of program, th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shared and planned to be conducted on weekends for improving the participation ratio of the public that cannot afford to participate in over weekday. Second, autonomous districts needs the discriminative and specific progra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because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are based on respective regions. The apposite subject of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duces the public's concern and participation on regional environment. Third, the pla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needed. That is, it needs the region positioned superintend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enable to be active in various things indoor and outdoor. Fourth, the policy decision makers should be educated in environment. They should tak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 awareness' change, not policy or event, consequently, understand that autonomous districts'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the education program." Fifth, it needs the programs reflected in the inhabitants of a ward's opinion. An educatees are an active subject and real education consumers having a sense of belonging and sovereignty, no more in passive position. That is, the program satisfaction and evaluation part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and also it is requir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ade to order according to respective autonomous districts through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rograms, and the concentration of various opinions. Finally, a person in charge of education is required to have professionalism in teaching as educator and qualification as the subject fulfilling the significant role in the desirable environmental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