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GSS의 수용 요인과 GSS의 사용이 개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GSS의 수용 요인과 GSS의 사용이 개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Group Support System and effects in it
Authors
박현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경영대학원 경영학전공
Keywords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tast-technology fitTTFappropriationfaithfulness of appropriationadaptive structuration theoryGroup Support SystemGSSIS adop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희동
Abstract
최근의 정보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기술이 발표되고 이전에 생각하지 못한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발달은 인터넷의 확산을 가져왔으며 기업에서는 컴퓨터마다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공동의 업무를 수행하거나 공동의 정보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정보기술의 수용에 관한 연구는 초기의 개인적 기술 수용 연구에서 점차 조직에서 사용되는 정보기술의 수용에 관한 연구로 확산되고 있다. 실제로 기업에서는 많은 비용을 들여 정보시스템을 도입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이 도입 의도에 맞게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거나 정보시스템의 도입이 기대하는 만큼의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협업을 위하여 도입되는 GSS(Group Support System)를 대상으로 GSS의 사용에 미치는 영향과 GSS의 사용으로 인한 개인의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GSS는 그룹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조직에 도입되어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정보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개인의 기술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하였으며, 개인의 과업과 기술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과업기술적합(TTF: Task-Technology Fit)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또한 조직에 도입되는 정보시스템에 구성원들이 적응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적응구조화이론(AST: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과 TTF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본 연구의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일한 GSS를 사용하는 동일 그룹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8개의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으며, 이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GSS의 사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사용자가 느끼는 용이성과 유용성이 있으며, 개인의 과업과 GSS의 지원 기술이 적합할 때에 GSS의 사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GSS의 사용을 늘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유용하다고 느끼게 하고 과업을 잘 지원하는 GSS의 기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GSS의 과업기술적합(TTF)은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적응구조화이론에서 제시하는 적절한 사용 역시 TTF의 영향을 받았다. 즉, 사용자가 느끼는 사용의 용이성과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GSS가 개인의 과업에 적합해야 하며, 과업과 기술이 적합할 때에 사용자는 GSS의 도입 의도와 목적에 맞게 GSS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GSS의 성과는 GSS의 사용에 영향을 받는다. 이는 사용자가 GSS의 도입 의도와 일치하여 사용한다는 충실한 사용(FOA: faithfulness of appropriation)을 포함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GSS의 사용이 성과를 향상시키거나 혹은 오히려 시간의 증가로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GSS의 사용이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사용자들이 설계자의 의도대로 GSS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GSS의 도입에 따른 성과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GSS의 사용뿐 아니라, 사용자들이 GSS를 어떻게 적절히 사용하는지에 대한 조사도 뒤따라야 한다. 본 연구 결과 GSS의 도입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GSS의 사용과 더불어 GSS의 도입 의도를 사용자들에게 알려 도입 목적에 맞는 사용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개인의 정보수용에 관한 연구(TAM)과 과업기술적합도(TTF)를 함께 고려하여 GSS의 사용에 관한 요인을 정의할 수 있었으며, 조직차원의 GSS 수용을 설명하는 충실한 사용도(FOA)와 TTF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GSS의 도입에 따른 성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GSS의 도입 의도에 맞는 적절한 사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증하였다.;There are many information systems supporting for collaborative work and many corporations are interested in the induction of information systems. Group Support Systems (GSS) is one of the collaborative information systems and it is used in many corporations. But many previous research findings about GSS performance have been relatively inconsistent across studies. It means that GSS use improved performance or not. This research proposes 8 propositions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GSS utilization and effects in using GSS. This study is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ask-Technology Fit (TTF) and appropriation of Adaptive Sturucturation Theory (AST). The result is extension of TAM to include TTF constructs and effectiveness of TTF to faithfulness of appropriation (AST). And another significance is the relations between faithful appropriation of GSS and individual perform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경영대학원 > 경영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