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요구 분석

Title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요구 분석
Other Titles
Needs Analysis in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Authors
홍정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혜영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의 지도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의 이론적인 배경에서는 우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밝히고 있는 쓰기의 개념과 쓰기 교육의 접근법 및 원리를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관심 대상인 학문 목적 쓰기의 종류와 특징, 쓰기 교육 접근법에 따른 학문 목적 쓰기의 교수방법 및 특징, 마지막으로 학문 목적 쓰기의 특징적 양상에 대해 설명하였다. Ⅲ장에서는 학문목적 쓰기 교육 지도 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설명하였다. 그 결과 ‘전공지식의 부족’과 ‘다양한 표현 사용의 어려움’이 학문적 글쓰기를 어렵다고 느끼게 하는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고, ‘연구가치가 있는 연구문제를 도출하는 것’과 그것을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문 목적 쓰기 전략으로 ‘다른 사람의 논문을 참조’하고 있었는데, 이는 다른 사람의 논문을 통해 스스로 논문의 구성요소 및 절차를 파악하고 자신의 보고서 및 논문의 연구방법을 설계하는 데 활용하고 있음을 뜻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자 대부분이 ‘전공 내용’과 ‘학문적 글쓰기’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학문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어내지 못한 논문 쓰기에 대한 요구를 대학원 학습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여 보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대학원 유학생들은 논문 쓰기에 있어 한국어 능력보다는 ‘학문적 측면에 대한 어려움’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내용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모국 또는 모국어와 관련한 주제를 정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동일한 전공의 동료 학생들로부터의 피드백을 통한 도움’을 원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표현과 어휘에 대한 교육’과 ‘전공 내용을 주제로 한 쓰기 교육’을 요구하고 있었다. 더불어 대학원 학습자의 논문 지도 경험이 있는 교수를 면접하여 평가자의 입장에서 요구하고 있는 학문 목적 쓰기의 교육 방향을 논문 쓰기 지도 방안 마련에 참조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요구 분석의 결과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학문 목적 쓰기 지도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문 목적 쓰기의 수업과제와 주제를 학위 과정에 따라 달리 해야 할 것이다. 학부 과정은 학문 활동 전반에서 필요한 쓰기 활동을 수업과제로 하여 다양한 교양 수준의 주제를 다루어야 하며 대학원 과정은 논문을 중심으로 한 장르별 수업 과제와 각자의 전공 내용을 쓰기 교육의 내용과 주제로 삼아야 한다. 둘째, 유의어 활용, 동의어 활용 등을 통해 다양한 표현의 사용을 위한 어휘 교육이 필요하며 이는 학부와 대학원 학습자 모두에게 해당하는 사항이다. 셋째, 쓰기의 두 가지 양상인 ‘요약하기’와 ‘바꿔 쓰기’를 중심으로 한 쓰기 전략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같은 전공의 동료 학생들과의 피드백을 통한 협력 학습을 통해 해당 학문 공동체의 의사소통 방식을 더욱 효율적으로 습득하도록 한다. 다섯째, 읽기 기능과의 통합적인 교육을 통해 외부적인 정보를 쓰기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더불어 논문쓰기 요구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논문 쓰기 수업의 실제 지도 방향을 제안하였다. Ⅴ장에서는 이와 같은 논의를 요약하고 학문 목적 쓰기 교육에 필요한 수업 과제를 밝혀내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udents of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with guidelines on academic writing in Korean, through needs analysis. In chapter Ⅱ,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 arranged the concept of writing, and the approach and principle of writing education in the context of education of writing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ased upon this, I explained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writing, and teach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writing following two approaches of writing education. Also two aspects of academic writing were cited. In chapter Ⅲ, I presented the result of a survey on student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to get guidelines on academic writing. In the survey, they said two factors made academic writing difficult; lack of knowledge in major and hardship of using diverse expression. They also had needs for extracting worthy study issues and a way of composing them logically. They referred to other treatises as a means of academic writing strategy. It means that they use other articles to comprehend the composition and process of one's own article while designing study way of one's own report and article. Also most of the respondents required a development of program for academic writing, which combines organically 'area of his or her major' and 'academic writing.' I complemented the survey by interviewing graduate students for their need for article writing. The graduate students had more difficulty in academic aspect rather than Korean skill in their writing articles. They tended to set the topic of article in relation to their mother country or mother tongu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eir major. They wanted to receive help from fellow students in the same major through a feedback to their writing. They also wanted to be taught about diverse expression, vocabulary and writing on major. I also met with professors, who have experience of guiding articles of graduate students, to reflect their position as evaluators in education direction of academic writing, connected with making guideline on article writing. In chapter Ⅳ, I suggested the following guidelines on academic writing, applying such a result of 'needs analysis.' First, we should differentiate class work and subject of academic writing according to the degree process. In undergraduate course, it should deal with various topics of liberal arts in class of writing, which is required in overall academic activities. However, in graduate course, writing class should focus on work of genre by genre and area of each major. Second, vocabulary education for various expression through use of similar words and synonyms is needed, which applies to both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Third, writing education strategy through two aspects of writing, summarizing and paraphrasing, is needed. Fourth, cooperative study with fellow students is effective to let them acquir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academic community. Fifth, reading education is needed to let them use external information to their writing. Also I suggested actual guideline on education of writing articles applying the needs analysis. In chapter Ⅴ, I summarized such a discussion and suggested a necessity for following studies, which will explore further class works needed for education of academic wri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