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하헌주-
dc.contributor.author김지나-
dc.creator김지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1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138-
dc.description.abstract현재 갑상선 분화암의 우선적인 치료는 갑상선 절제술이고 갑상선 절제술 후 병기에 따라 방사성 요오드(Ⅰ-131)를 이용한 잔존 갑상선 조직 제거술 (ablation)이 추가된다. 재발이 많은 갑상선 분화암의 특성상 추적 검사시 갑상선암의 재발을 조기에 찾는 것이 중요하며 갑상선 조직을 완전하게 제거하였을 때에는 thyroglobulin (Tg)을 측정하므로써 재발 진단을 쉽게할 수 있다. 또한 갑상선 암의 수술적 치료 후 또는 방사성 요오드를 이용한 잔존 갑상선 조직 제거술 후 정상적인 또는 종양의 갑상선 잔여 조직들을 확인하여 이후 치료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Tg와 함께 Ⅰ-131 전신 촬영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갑상선 전절제술 이후 첫 번째 방사성 요오드 치료 전의 Tg 측정(Tg1)이 예후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Tg1이 두 번째 치료 전의 cervical Ⅰ-131 uptake (uptake 2)와 혈중 thyroglobulin 농도(Tg2)를 예상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국립암센터에서 2001년 10월~2004년 12월에 갑상선 암 환자들 중 갑상선 전절제술을 받고 두 번째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까지 시행한 59명[57명: papillary ca(유두암), 1명: follicular ca(여포암), 1명: insular ca]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번째 치료 6~9개월 후 2.8~5.4 GBq로 두 번째 치료를 시행하였다. Tg는 방사성 요오드를 투여하는 날 측정하였으며, Ⅰ-131 전신 촬영은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시행한 후 7일째 되는 날 촬영하였다. Cervical uptake는 목부분의 region of interest (ROI)의 측정카운트에서 허벅지의 ROI의 측정카운트를 빼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Tg1<1 ng/ml인 환자 9명중 8명이 Tg2가 감소하였으며, 1≤Tg1<30 ng/ml인 환자 26명중 23명이 Tg2의 감소를 보였고, Tg1≥30 ng/ml인 환자 24명중 12명이 Tg2 감소를 보였다(P<0.05). Tg<1 ng/ml인 환자 72.3%에서 uptake2가 감소하였으며, 1≤Tg1<30 ng/ml인 환자 83.9%에서, Tg1≥30 ng/ml인 환자 67.1%에서 uptake2가 감소하였다. 즉, 갑상선 암 환자에서 Tg1이 높았다면 Tg2도 또한 높았으며, Tg1이 낮았던 환자들에서 Tg2가 감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Ⅰ-131 cervical uptake에서도 Tg1이 낮았던 환자들에서 큰 감소량을 보였다. 또한 두 번째 치료 후에 잔존 조직 제거 성공(ablation success)을 cervical uptake 2%로 정의하였을 때 잔존조직 제거 성공률과 Tg1의 관계를 살펴보면 Tg1<30 ng/ml 환자군에서의 잔존 조직 제거 성공률은 62.9%이었으며, Tg1≥30 ng/ml 환자군에서의 잔존 조직 제거 성공률은 54.2%이었다. 잔존 조직 제거 성공을 cervical uptake 5%의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구간별 환자군에서의 잔존 조직 제거 성공률은 각각 91.4% 및 75% 이었다. 즉, 잔존 조직 제거 성공률도 Tg1이 낮았던 환자들에서 높았다. 또한, Tg의 증가 감소에 대해 Tg1, Ⅰ-131 치료용량, Uptake1, Tumor Lymph Nodes Metastasis (TNM) stage, 성별, 나이를 변수로 하는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때 Tg1만이 의미 있는 변수로 판명되었다 (odds ratio = 16.4786, 95% confidence interval 2.7731 - 97.9198, p=0021). 수술 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 전에 측정한 Tg가 높을수록 추적 Tg와 cervical I-131 uptake가 높았고, 치료전 Tg가 높을수록 cervical Ⅰ-131 uptake로 정의한 잔존 조직 제거 성공률도 낮았다. 즉, 수술 후 치료 전 Tg는 잔존 조직 제거 성공률과 치료 후 예후를 반영하는 추적 Tg 및 Ⅰ-131 cervical uptake를 결정하는 독립인자라고 할 수 있다.;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initial serum thyroglobulin (Tg) before Ⅰ-131 remnant ablation can predict Ⅰ-131 cervical uptakes and serum Tg at the 2 remnant ablation or not. Methods: We reviewed 59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57,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1, Insular carcinoma:1) who undertook total thyroidectomy and two sequential Ⅰ-131 remnant ablation therapies (the interval between 1 and 2 ablation: 6 9 months, 2.8 5.4 GBq). Serum Tg was measured at the same day of remnant ablation using IRMA method (Tg-s IRMA CT; Radim, Pomezia, Italy) prior to ablation. Ⅰ-131 scans were performed on the 7th days after each ablation (Vertex; ADAC, Milpitas, CA). Ⅰ-131 cervical counts were measured by subtracting total counts of thigh Region of Interest(ROI) from the counts of cervical ROI and correcting counts according to therapy dosage. The reference dosage was 5.6 GBq. Successful ablation rate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between cervical 2% and 5% at 2 ablation. Results: When the initial serum Tg level at the 1st ablation (Tg1) was high, Tg level at the 2nd ablation (Tg2) increased; only 1 out of 9 patients with Tg1<1 ng/ml showed the increase of Tg2, 3 out of 26 patients with 1≤Tg1<30 ng/ml did and 12 out of 24 patients with Tg1≥30 ng/ml did(p<0.05). Cervical Ⅰ-131 uptake of the 2 ablation (Uptake2) decreased by 72.3% of cervical Ⅰ-131 uptake of the 1 ablation (Uptake1) among patients with Tg1<1 ng/ml and Uptake2 decreased by 83.9% of Uptake1 among patients with 1≤Tg1<30 ng/ml and Uptake2 decreased by 67.1% of Uptake1 in the patients with Tg1≥30 ng/ml.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for factors(Tg1, Ⅰ-131 therapy dosage, Uptake1, TNM, Sex, Age) on the change between Tg1 and Tg2, Tg1 was a significant factor (odds ratio = 16.4786, 95% confidence interval 2.7731 - 97.9198, p=0021). Conclusions: Initial serum Tg level at the 1 ablation among the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is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Tg and cervical Ⅰ-131 uptake between 1 and 2 abl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1. 연구 배경 = 1 2. 연구의 필요성 = 6 3. 연구의 목적 = 7 Ⅱ. 연구 방법 = 8 1. 연구 대상 = 8 2. 자료 수집 = 8 3. Tg, Anti-Tg,TSH 측정방법 = 9 4. Ⅰ-131 전신 촬영과 cervical Ⅰ-131 uptake 측정, 잔존 조직 제거 성공률 = 9 5. 자료 분석 = 12 Ⅲ. 연구 결과 = 13 1. 환자 특성 = 13 2. Tg1과 Tg2의 분포 = 15 3. Ⅰ-131 uptake1와 Ⅰ-131 uptake2 의 분포 = 16 4. Tg와 Ⅰ-131 uptake와의 상관관계 = 17 5. Tg1과 Tg2와의 상관관계 = 18 6. Tg1과 Ⅰ-131 uptake의 변화량과의 상관관계 = 21 7. Tg1과 잔존 조직 제거 성공률과의 상관관계 = 23 Ⅳ. 고찰 = 26 Ⅴ. 결론 = 29 참고문헌 = 30 영문초록 = 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92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방사성 요오드 치료 전 혈중 thyroglobulin과 치료 후 I-131 uptake 및 thyroglobulin 변화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RRELATION OF SERUM THYROGLOBULIN BEFORE THE 1ST I-131 REMNANT ABLATION AND CHANGE OF THYROGLOBULIN AND CERVICAL I-131 UPTAKE AFTER ABLATION.-
dc.creator.othernameKim, Ji Na-
dc.format.pagevii, 3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약학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