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민선-
dc.creator송민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63-
dc.description.abstractAll creations in nature, live, change and move incessantly in their own discipline, although this is not evidently visible to the eye. Along a synonymous stream of time, greatness in nature's beauty is continued through the adaptation of each species, in their own natural environment, together with a balance connected to the evolution of each individual creature. From the ancient times, nature has been the main source of inspiration in art. Therefore aesthetical pleasure and the basis to life found in nature, has always been a subject of praise and mimicking. The reason for this is that perfect beauty exists in nature. In it there is also harmony and discipline. It is only natural for human beings to copy, create and change the different formative qualities found in nature. The study concentrates on different shapes of plants. Plants often appear as though they are still yet when they are closely examined they appear to possess infinite energy and life. Different plants adapt to different conditions. Their sole purpose in life is to root and survive. These characteristics provide human beings with a sense of comfort and security. The study focuses on wild plants, as they have both an elaborate and humble visual appearance simultaneously as being biologically strong. For this reason, native or wild plants are able to withstand different natural phenomena and therefore they pollinate extensively to spread their many categories on mountains and fields. Before the artwork was designed and composed, research was conducted on wild plants. In particular strength, movement and softness of wild plant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ceramic objects. Materials on ceramic objects form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or reference. For the design, the study has used branches, trunks and leaves of wild plants. Different ceramic techniques were incorporated for different scales. Through them some works were transformed, simplified and emphasized in terms of form and texture. For Work 1, curves with liberated movements were created on the potter's wheel and by pinching. Work 2 was made with the slab-building and pinching techniques in ceramics. Works 3, 5 and 6 relied on modeling and slab-building. The same slab-building technique was also used for Work 4 in combination with coiling. Works 7, 7-1, 8, 9 and 10 incorporated the modeling method to produce a wide range of expressions. A stoneware clay body was used as the main clay. Work 1 used Chinese mixed white clay while Work 9 was made with a coarse mixed body. For some of the works, iron oxide was applied before glazing. A matt and a black glaze were also applied. The matt glaze was mixed with high-fire red stain. 5% of red stain was added to the matt glaze (Works 2, 3, 4, 5, 6, 7, 7-2, 8). Green stain added for Works 2, 5 and 7. 5% blue stain added for Work 2. Duncan mixed glaze was used on Work 1. Copper glaze for Works 7, 7-1 and 9. 15% bluish-green stain was added to a terra sigillate recipe. This was fired in a low temperature. Some of the works were not applied with glazes. The work was fired in a 0.7㎥ gas kiln to a temperature of 850℃. The first firing took thirteen hours. The second firing was conducted in the same kiln for ten hours, reaching a temperature of 1250℃. Some of the pieces were fired in a 0.3㎥ electric kiln at a temperature of 850℃ for thirteen hours (Work 1). The second firing for Works 1 and 9 reached a temperature of 1100℃ and it took twelve hours in an oxidized condition. These were placed in a third firing and they were taken up to 1100℃. The ceramic object form was used in a non-functional method to express the different qualities of native plants. The strength and rooting of wild plants, have been closely examined, to be expressed in clay. Through this study, many decorative sculptures were created. Different types of clay were used depending on the style of work. The study has aided in understanding clay as a material and also for expressing the images of an artist based on wild plants.;자연의 모든 것들은 보이지 않는 질서 속에서 끊임없이 살아 움직이면서 변화하고 있다. 유구한 세월동안 생존을 위한 환경에 적응하고 스스로 진화하면서 균형을 이루며 위대한 아름다움을 이어가고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자연은 예술의 소재로 이용되어 왔고 이러한 자연의 아름다움과 원초적인 생명력은 예술적 영감의 원천으로써 예술가들의 찬사와 모방의 대상이 되었다. 우리가 접하는 식물은 정적으로 보이지만, 그 안에는 무한한 에너지와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야생식물은 어떠한 환경에서도 꿋꿋이 뿌리를 내리는 강인함이 있으며, 보는 사람들에게 심리적 안정과 위안을 준다. 또한 야생 식물은 외적으로는 화려함과 소박함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통일성과 변화성이라는 다양한 조형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야생식물이 가지고 있는 조형적 특성을 응용하여 도자조형으로 표현 하고자 한다. 먼저 표현 소재로써의 야생식물이 가지는 조형적인 특징과 구조, 종류를 고찰해 보고, 야생식물과 형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변형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작가들이 표현한 조형사례를 수집하여 다양성을 연구 하고, 작품의 조형 과정에서는 식물의 유기적, 조형적 특성을 기본으로 생태적 형태적 구조적 특징을 살려 형태와 줄기, 잎의 유기적 형태를 단순화, 변형, 강조하여 조형적 이미지를 부각시키려 하였으며, 역동성을 강조 하기위해 표면에 질감을 넣어 표현을 극대화시켰다. 제작 방법으로는 크기와 형태에 따라 표현 방법이 다르며, 자유로운 곡선이 나올 수 있도록 물레 성형과 판 성형 기법<작품2>을 같이 사용하였다. 경우에 따라서 모델링 기법과 판 성형기법<작품,1, 3, 5, 6>을 코일링 기법과 판 성형 기법<작품4>, 모델링기법<작품7, 7-1, 8, 9, 10>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태토는 석기질 점토를 주로 사용하였고, 성형방법이나 작품의 특성에 따라 갈색 조합토<작품1>, 고운 조합토<작품10>, 등을 사용하였다. 유약은 야생식물의 특징과 작품의 특징에 따라 각기 다르게 사용되었다. 산화철을 물에 타서 바른 후 닦아주어 기본 바탕을 만들었다. 그 위에 흑유를 분무 시유한 후에 matt유를 분무 시유하였다. 작품에 따라서 matt유에 붉은색(p8000, 영국산) 고화도 안료 5%<작품2, 3, 4, 5, 6, 7, 7-1, 8>, 녹색 안료(14K985, 영국산) 5% <작품2, 5, 7>, 파란색 안료(14L 8000, 영국산) 5%<작품2>를 첨가 하여 분무시유 해주었다. 경우에 따라서 동유<작품7, 7-1, 9>를 분무 시유 하였으며, 흑유와 백매트<작 품1>를 바른 후 닦아 주기도 하였다. 소성은 0.7㎥ 도염식 가마에서 마침온도 850℃로 13시간동안 1차 소성하였고, 1차 소성을 장시간한 이유는 완전 건조시 에도 남아 있는 수분의 증발과 작품 안에 있는 가스의 원활한 분출을 돕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 이다. 2차 소성은 0.7㎥ 도염식 가마에서 1250℃를 마침온도로 10시간동안 중성염 소성 하였다. 3차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테라 시질라타(terra sigillate)<작품10>를 이용하여 1100℃를 마침온도로 3차 소성하였다. 야생식물을 응용하여 흙으로 작품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야생식물의 형태적 특징인 강인함과 역동성, 생명력이 흙을 매체로 한 작품표현에 적합함을 알았다. 다양한 흙의 종류를 이용하여 흙마다의 특징을 살려 야생식물의 이미지를 이용한 도자 작품의 지속적인 창조 활동과 조형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동기 및 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자연과 조형예술 = 4 2.1 자연과 조형예술 = 4 2.2 식물과 예술 = 6 3. 야생식물의 일반적 고찰 = 8 3.1 야생식물의 구조와 형태 = 8 3.2 식물의 조형성 = 10 4. 식물의 형태를 응용한 작품 사례 = 13 5.작품제작 및 해석 = 23 5.1 조형 과정 = 23 5.2 작품제작 과정 = 36 6.결론 = 62 참고문헌 = 64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567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야생식물의 이미지를 통한 도자 조형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Wild Plants as a Subject for Creating Ceramic Objects-
dc.creator.othernameSong, Min-Sun-
dc.format.pagex,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