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7 Download: 0

무량판 구조 공동주택의 경량 칸막이벽체 적용안

Title
무량판 구조 공동주택의 경량 칸막이벽체 적용안
Other Titles
A study for Application of Lightweight Wall System to Flat Plate Apartment
Authors
장영오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회의 발전에 따라 재화가 다양화됨에도 불구하고 공동주택의 양적인 팽창에만 급급한 나머지 평면의 단일화로 소비자의 다양한 삶을 모습을 반영하지 못했다. 그러다 최근에는 그동안의 획일적인 공간구성을 양산해 온 벽식 구조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구조방식의 도입을 통해 가변성 및 공간 개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는 거주자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주호내 거주성에 대한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공동주택은 점차 거주자의 다양한 개성과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존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문제점을 밝히고 이를 극복할 수 있고 내부 가변성능을 가장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대안으로 무량판 구조로 제안하였다. 경량 칸막이벽체 적용방안의 제안을 위해 기존 공동주택에서 경량 칸막이벽체가 어떻게 계획되었는지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경량 칸막이벽체의 사용에 있어 문제점을 사회적 문제점과 물리적 문제점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사회적 문제점으로는 현재 소비자들이 가변형 주거에 대해 의식이 부족하다는 점과 그리고 대부분의 가변형 주거의 연구들이 라이프 싸이클에 치우쳐져 있지만 집의 소유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으며, 직장 등의 이유로 이사율이 높다는 점 등의 우리 주거 문화를 볼 때 라이프 싸이클에 맞춘 평면 변화가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라 가변형 주거의 평면 변화는 라이프 싸이클보다는 라이프 스타일에 더 주안을 두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물리적 문제점으로는 우리의 특유의 온돌 사용 문화로 인해 온돌 위 경량 칸막이벽체를 시공할 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과 천장 실링의 파손 그리고 실별 내부 마감재의 상이함, 우물 천장 등의 인테리어 사용을 들 수 있었다. 따라서 온돌이나 천장 실링의 파손이 최소화 될 수 있는 방안으로 경량 칸막이 벽체가 적용 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있도록 우선 무량판 구조의 장점을 이용하여 일반 공동주택의 평면을 분석하여 평면을 모듈화하고, 건축 구성재 규격화를 명시하고 있는 KS 규격및 표준시방서에 대한 문헌 분석과 경량벽체에 사용되는 재료의 규격조사를 통하여 모듈화 된 평면내에 가변이 용이하도록 경량 칸막이벽체의 치수를 모듈화 하였다. 모듈화한 경량 칸막이벽체의 개발 방향에 맞춰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 할 수 있도록 경량 칸막이벽체의 접합 배열 방식을 설정했다. 접합배열 방식은 경량 칸막이벽체 간의 접합 배열 방식과 경량 칸막이와 구조체간의 접합배열 방식으로 나눠서 문제점 해결 방안을 마련하였다. 접합에 중점을 두는 부분은 공간 내 안목치수의 모듈화 이다. 공간 내 안목치수는 공간 배치나 가구 등의 건식 부품 이용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부분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가구를 벽에 붙여 공간을 넓게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특히 실의 모듈화에 중점을 두었다. 벽체의 두께 등으로 비모듈화 되는 공간은 가구 사용에 있어 제한이 적은 복도나 부엌 거실 등의 오픈된 공간에 배치함으로서 닫힌 공간 내의 모듈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듈화 된 경량 칸막이벽체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를 하여 최종적으로 개발된 경량 칸막이벽체를 앞에 설정한 평면에 적용 시켜 보았다. 기존 온돌 배관과 천장 실링에 파손을 최소화 하고 가변 벽체를 설치, 재거, 이동 및 재활용을 용이 하게하기 위하여 위에서 제시한 접합 방법으로 가능한 설치 가능한 경량 칸막이벽체는 총 9개로 공간은 11개로 분리시켰다. 거주자의 모든 가변 요구에 대응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대한 거주자가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가변의 기준을 설정한 것이다. 이 벽체는 설정 기준에 중심을 둔 것은 가능한 실 내부의 모듈을 깨지 않고, 가구 배치에 영향을 덜 받는 거실과 부엌 복도 등에 비모듈화 공간이 배치 되도록 설정 하였으며, 공간의 분할이나 통합보다는 공간의 크기 조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맞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전면부의 경량 칸막이벽체를 사용하여 10가지의 평면이 만들어졌고 후면부의 경량 칸막이벽체를 사용하여 4가지 평면이 만들어졌다. 이를 서로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40가지의 평면이 만들어지게 될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가구의 사용에 따라 거주 후에도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외에도 발코니 확장까지 고려한다면 더 다양한 평면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량 칸막이벽체를 무량판 구조 주호에 적용하기 위해 검토된 칸막이 형태는 공장 생산을 가능하도록 제안하였기 때문에 향후 설치ㆍ이동ㆍ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는 아직 도입 단계인 무량판 공동주택에서의 경량 칸막이벽체 적용방안을 검토한 것이므로 보다 다양한 유형과 새로운 접합방법의 시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앞으로 경량 칸막이벽체의 적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다 다양한 유형의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The support system of apartments recently being built in Korea has a tendency of transition from united wall structure to Ramen structure. Also apartments are transforming in order to satisfy individuals' various personalities and lifestyles. So supplier have made efforts to improve the variation an efficiency of space reconstruction by introducing many constructional methods to escape from bearing wall structures, which are creating rigid and standardized construction. However, it seems to be lack of efforts to develop an appropriate in-fill system to cope with the transition 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apartment components to be more 'flexible'. In these reasons, I assumed that the constructional system of the apartment is "Flat Plate Slab system" and tried to suggest the most proper type of Lightweight Wall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