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영어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칭찬 응답 화행 연구

Title
영어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칭찬 응답 화행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n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of English-speaking learners of high advanced Korean
Authors
이하나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the ELK(English-speaking Learners of Korean)'s compliment-response speech act strategy actualizing aspect with the KNS(Korean Native Speakers)' and ENS(English Native Speakers)' compliment-response speech act strategy, and then analyzes the ELK's response to the other two groups' strategies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the same or different in their aspects. This study's premise is that Korean language compliments-response speech act would be expressed differently from that of the English language, and so set forth on the hypothesis that the ELK's compliment-response strategy would be closer to ENS than to KNS. This means that the learners' linguistic fluency of the target language is more advanced than their knowledge of the target language's usage norms. So if the hypothesis is true, it means that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in compliment-response education for ELK is high. Chapter 1 suggests the need for this study, purpose and significance and lays out the study's hypothesis. It briefly cites of preceding studies on the compliment-response speech act and on the speech act of giving compliments because the compliment-response depends on the compliment. Chapter 2 researches the adjacency pair theory, which includes the concepts of preference organization and non-preference organization, and cross-cultural theory. Chapter 3 describes the method and process of this study for proving this hypothesis. This study verified its objectivity through administering SAQ, for which was made by 12 compliment situations, to the ENS and K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AQ, the researcher created the DCT, which consisted of 11 hypothetical situations. To ensure high validity and objectivity, a pretest was implemented twice before this experiment. The analyzing frame of Herbert(1990) was used as a basis for this study, but to adapt it to this study a few revisions were made. Chapter 4 analyzes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First, 3 groups' compliment-response strategy aspe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per 11 situations. Then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separately by social variable, the degree of intimacy and social position, which were determined by this researcher, and then the responses were analyzed as a whole. ELK preferred the 'comment history' strategy when the complimenter was in a high social position and with low intimacy, but they showed a very low preference for the 'appreciation' strategy, which perceives a compliment positively, compared to KNS and ENS. The latter stems from the ELK's preconception that Koreans generally do not accept compliments, and that view seems to be extremely generalized. The researcher gathered learners' compliment-response through DCT and then asked the KNS through SAQ about their degree of acceptance. Through this results, a list of Korean language compliment-response speech acts can be made.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study synthetically. KNS preferred the 'appreciation' strategy, which accepts compliments more positively when there is a low degree of intimacy and the complimenter is in a high social position. It seems the ELK worry that if they deny or refuse the compliment, they have to explain why, and then the speech would be longer. Preference for the 'appreciation' strategy, which can be of short speech, appeared prominent for the low intimacy and high social position situations. ENS used 'appreciation' strategy in most situations much more frequently, and also preferred the 'comment history'. EKL implemented the low 'appreciation' strategy in most situations and preferred the 'negative acceptance' and 'non-agreement' strategy than ENS and KNS. This result seems to come from the learner's preconception that Koreans do not accept compliments. When synthesizing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ortance: First, this study inspected the compliment-response speech act in the aspect of preference organization. The preceding studies tended to analyze the compliment-response speech act only, but this study consulted the preferable compliment-response of the Korean language and English language according to the situations, and contemplated aspects of the learner's response. Second, the subjects are English-speaking learners of high advanced Korean. Until now, most studies in this area were focused on the subjects of the Japanese and Chinese world, and the tendency was more pronounced when it involved advanced learners. But this study involves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English world an area in which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is significant. Third, the compliment-response of the learners has been listed. These compliment-responses can provide the compliment-response speech act that suits Korean language norms for all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the English-speaking learners of Korean.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value for teach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본 연구는 영어권 한국어 고급학습자(ELK)의 칭찬 응답화행 전략 실현 양상을 한국어 모어화자(KNS)와 영어 모어화자(ENS)의 칭찬 응답 화행전략과 비교하여 그 양상이 어떻게 같거나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의 칭찬 응답 화행과 영어의 칭찬 응답이 일반적으로 상반되게 실현되는 것을 전제로,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칭찬 응답전략이 한국어 모어화자들의 응답보다 모국어인 영어 모어화자들의 응답에 가까울 것이라는 가설위에 출발하고 있다. 이것은 학습자들의 목표어에 대한 언어적인 유창성이 목표어의 화행보다 앞서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구결과 연구자가 설정한 가설이 실제로도 그렇다는 것이 검증되면 영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칭찬 응답교육에 있어 더 많은 문화적 교육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의의에 대해 서술하고 상기와 같은 연구문제 즉, 본 연구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칭찬 응답화행의 선행연구 및 칭찬에 대한 선행연구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였는데 이는 칭찬 응답화행이란 칭찬 화행이 있음으로 실현되는 선호조직이므로 두 화행의 선행연구를 모두 살펴보기로 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첫째, 인접쌍 이론 즉, 인접쌍의 개념 및 선호조직과 비선호조직에 대해 고찰 하였고 둘째로는 교차 문화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연구 방법 및 과정에 대해 서술하였다. 연구자가 설정한 12개의 칭찬 상황을 SAQ를 사용하여 한국어와 영어 모어화자에게 객관성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11개 상황의 DCT를 제작하였다. 본 실험을 실시하기 전, 실험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예비실험을 실시했다. 칭찬 응답의 분석틀로 Herbert(1990)의 분류를 기본으로 하였고 이 기본 틀 위에 연구자가 피험자들에게서 받아낸 다양한 칭찬 응답 전략에 맞도록 분석하기 위해 수정을 가했다. Ⅳ장에서는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전체 11개의 상황별로 세 집단이 실현한 칭찬 응답 전략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후에 연구자가 설정한 사회적 변인 즉 친밀도와 사회적 지위에 따라 분석하였고 마지막에 전체분석으로 실험 전체를 고찰하였다. 영어권 한국어 고급학습자(ELK)들은 칭찬자의 사회적 지위가 높고 칭찬자와의 친밀감이 낮은 경우에 ‘간략한 설명’ 전략을 선호하였으며 칭찬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감사’전략은 한국어 모어화자 및 영어 모어화자들이 실현한 것보다 훨씬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게 된 것은 학습자들이 일반적으로 한국인들은 칭찬을 받아들이지 않거나 부정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이들 학습자들이 칭찬을 받는 상황에 놓일 때 그러한 통념을 과일반화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는 DCT를 통해 학습자들이 실현한 모든 개별 칭찬 응답에 대해 한국어 모어 화자들에게 SAQ를 사용해 수용성 정도를 물었다. 이것을 통해 한국어 칭찬 응답화행을 목록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Ⅴ장에서는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한국어 모어화자(KNS)들은 친밀감이 낮고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다른 전략보다도 적극적으로 칭찬을 수용하는 ‘감사’전략을 선호하고 있었다. 이것은 칭찬을 부정하거나 받아들이지 않으려면 그러한 이유를 설명해야하고 그렇게 될 경우 발화가 길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친밀도가 낮고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짧은 발화가 될 수 있는 ‘감사’전략의 선호도가 두드러졌다. 영어 모어화자(ENS)들은 거의 모든 상황에서 ‘감사’전략의 사용이 두드러졌고 ‘간략한 설명’전략도 선호하고 있었다.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EKL)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감사’전략의 실현이 낮았고 칭찬의 ‘소극적 수용’ 및 ‘동의 하지 않음’의 전략을 한국어 모어화자나 영어 모어화자보다 선호하고 있었다. 이것은 학습자들이 한국인들은 칭찬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통념을 과도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칭찬 응답화행을 칭찬 화행의 선호조직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칭찬 응답화행 자체만을 분석한 경우가 많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해당 상황에서 한국어와 영어의 선호적인 칭찬 응답을 살피고 학습자들의 응답양상은 어떠한가를 고찰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은 영어권 한국어 고급학습자이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화행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연구 대상은 대부분 일본어권 및 중국어권 중심이었고 여기에 고급학자를 대상으로 했다면 더더욱 이 두 나라의 학습자들에게 집중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된 바가 드문 영어권 한국어 고급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학습자들이 실현한 칭찬응답을 목록화 하였다. 목록화 된 칭찬 응답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뿐만 아니라 전체 모든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언어규범에 맞는 칭찬 응답 화행을 제공 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 자료적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