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진욱-
dc.creator원진욱-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4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489-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에서는 공립 초등학교 학생과 사립 초등학교 학생들이 교사 유형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그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유형과 그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공립 초등학교 학생과 사립 초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유형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공립/사립의 학교 구분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유형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유형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가 공립/사립의 학교 구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위와 같은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2개 공립초등학교, 2개 사립초등학교의 6학년 아동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한 검사도구는 Washburne과 Heil(1960)이 교사유형을 나눈 것을 토대로 김충기(2001)가 제작한 교사 유형 검사와 손순자(1993)가 초등학교 고학년에 맞도록 수정한 학교생활 만족도 검사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성별, 학교구분, 교사의 유형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으며 학교생활 만족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t-검증과 분산분석(ANOVA), 카이자승 검증(Chi-Square test)을 통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유형의 분포는 학교 구분에 상관없이 공립과 사립모두 열정형, 자제형, 공포형이 2:6:2 정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교구분에 따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 수업 일반에 대한 만족, 아동간의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 학교 행사 및 특별활동에 대한 만족, 학교생활 전체 만족에서 공립보다는 사립의 만족도 점수가 높게 나왔으나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공립과 사립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는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제외하고 열정형-자제형-공포형 순으로 높게 나왔다.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자제형-열정형-공포형의 순서로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넷째, 학교구분과 교사유형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분석에서는 학교구분과 교사유형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에 대한 만족도에서 두 변수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학교생활 전체 만족도는 90% 신뢰수준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나 유의한 수준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공립·사립에서 만족도 차이가 나타난 것처럼 학교 환경, 교수-학습 지원 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초등학생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담임교사를 어떻게 지각하느냐도 그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아동은 자신을 이해해주고 수용해 주고 온정을 베푸는 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다. 하지만 무작정 수용하며 충동적으로 대처하는 교사보다는 질서나 계획을 중요시하는 교사를 더 선호 한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즐거운 학교생활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해 좀 더 의미있게 모색해 보아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he styles of their teacher, to find out different levels of each group's students' satisfaction for their school lives. And it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eacher style tha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perceived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for their school lives. These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styles of teachers which are perceived by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by the private on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chool?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teacher style they've perceived? Fourth,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eacher style that they've perceived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for their school live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chool? For getting the answers for these questions, I've conducted a research survey on 400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2 public and 2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how children looked at the style of their teachers was Gim, Chung-gi's(2001) inventory based on the Washburne and Heil's(1960) study for the classification of teacher styles. And it used to instrument for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s which were modified for the highe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by Son, Sun-ja(1993). To analyze the survey, I've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the sex, school distinctions, and teacher styles, and taken the average(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for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s. In addition, I've tried to verify the meaningful differences for the statistical data through T-test, and Anova, Chi-Square tests. Thes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teacher style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perceived were distributed as 2 : 6 : 2 for turbulent : self-controlling : fearful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chool. Second,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more higher satisfaction levels for school life, overall lessons,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physical environments, school events and special activities, and overall satisfaction. However,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in satisfaction levels for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chool. Third,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ir school and teacher styl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r satisfaction levels in the order of turbulent - self-controlling - fearful except th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Th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showed the higher levels in the order of self-controlling - turbulent - fearful. Fourth, there came the results that there were main effects in the most part but were not reciprocal interaction effects in the study for main and reciprocal interaction effects about school distinctions and teacher styles. However, there were reciprocal interaction effects in the satisfaction levels for school events and special activities. There was reciprocal interaction effects on the overall satisfaction for school life in the 90% reliance level. There came the result that school distinctions and teacher styles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s for school lives. To sum those results up, th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school life depen on how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heir teachers as well as school environments and teaching-learning supports have an effect on them as th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chool. Children feel much more satisfaction when their teachers understand and accept them, and give lots of love to them.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expect for their students to keep orders and plans rather than accpet and treat them unconditionally. Therefore, we need to try to contemplate the teacher's roles and qualities meaningfully based on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요약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사 유형 = 5 B. 학교생활 만족도 = 10 1. 학교생활 만족도의 개념 = 10 2. 학교생활 만족도의 구성요소 = 11 C. 교사 유형과 학교생활 만족도 = 17 Ⅲ. 연구 방법 = 19 A. 연구대상 = 19 B. 연구도구 = 20 C. 자료분석 = 22 Ⅳ. 연구결과 = 23 A. 학교 구분에 따른 교사 유형 = 23 B.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유형과 학교생활 만족도 = 24 Ⅴ. 논 의 = 35 참고문헌 = 39 부 록 = 44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54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유형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 Styl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in their School-
dc.creator.othernameWon, Jin-Wook-
dc.format.pagevi,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