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신체 이미지 광고에 대한 노출이 20대 여성 수용자의 기분과 신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신체 이미지 광고에 대한 노출이 20대 여성 수용자의 기분과 신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exposure to thinness promoting advertising message on young female’s mood and body dissatisfaction
Authors
李始衍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언론홍보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필
Abstract
이 연구는 마른 몸매를 강조하는 광고 메시지 (Thinness Promoting Messages: TPM)가 20대 여성의 기분과 신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Thinness Promoting Messages(TPM)의 처리가 그들의 기분과 신체 불만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TPM의 직접적인 노출이 기분과 신체 불만족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세 가지 메시지 처리 관련 변인인, 상향비교, 마른 몸매에 대한 규범화, 개인적 특성인 외모 지향성 역시 기분과 신체 불만족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설문은 편의 표집에 의한 20대 여성 224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111명의 여성은 TPM 광고에 노출되었고, 113명의 여성은 비TPM 광고에 노출되었다. 설문 대상자들은 TPM 광고와 비TPM 광고를 본 후에 처리 과정에 대한 설문과 기분 및 신체 불만족에 대한 설문에 응하였다. 연구 결과, TPM 광고에 노출된 20대 여성은 비TPM 노출 집단보다 부정적인 기분과 신체 불만족을 보였다. 또한 TPM에 노출된 집단은 비TPM 집단에 비해 상향비교 및 마른 몸매에 대한 규범화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처리 변인인, 상향비교와 마른 몸매에 대한 규범화는 부정적인 기분과 신체 불만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속 마른 모델과 상향비교를 더 많이 할수록, 마른 몸매를 이상적인 사회적 규준으로 받아들일수록, 부정적인 기분과 자신의 신체 이미지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 지향성의 정도는 상향비교 및 마른 몸매에 대한 규범화와 관계가 있는데, 외모 지향성이 높은 여성일수록 상향 비교 및 마른 몸매에 대한 규범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서 TPM 노출과 상향비교가 기분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 변인으로 작용하였고, 신체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향비교 만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는 TPM 처리와 관련해서 보다 발전되고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져야만 하고, 보다 정교한 방법이 노출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사용되어져야만 할 것이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nness promoting advertising message on young female’s mood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investigate how female’s processing of Thinness Promoting Messages (TPM) are related to their mood and body dissatisfaction.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effects of direct exposure to TPM would be found on mood and body dissatisfaction. Also the three processing variables proposed by this study, upward comparison, thinness as a social norm and appearance orientation as a personal character, would influence mood and body dissatisfaction as well. A survey was carried out on a convenience sample of 224 female in their twenties. 111 female were exposed to TPM related advertising, 113 female were exposed to non-TPM related advertising. Respondent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that dealt with processing after seeing TPM and non-TPM and their mood and body dis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xposure to TPM ads led to increased negative mood and body dissatisfaction compared to non-TPM ads. Also, those exposed to TPM were more likely to make upward comparison and accept thinness as a social norm compared to those exposed to non-TPM. Two processing variables, upward comparison and thinness as a social norm,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mood and the body satisfaction. The more respondents made upward comparison with thin models in ads, the more they accepted them as a social norm with thin ideal. Also, they experienced more negative mood and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s. The level of appearance orientation were related to upward comparison and thinness as a social norm, as it were, those who have higher level of appearance orientation tended to make upward comparison and accept thinness as a social nor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xposure to TPM and upward comparison served as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for mood and only upward comparison did for body dissatisfaction. Future study should be directed on developing and refining measures on TPM processing variables and more rigorous methods should be employed in dealing with the exposure of eff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언론홍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