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놀이치료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Title
놀이치료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Other Titles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 on Play Therapy
Authors
주혜은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 on play therapy.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follow; 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play therapy? 1-1. What is the perception regarding effect on play therapy? 1-2. What is the perception on place, time, subjects, and therapist of play therapy? 1-3. What is the perception and demand on related education of play therapy? 1-4. What is the present situation of play therapy in kindergarten? 2. How do mothers perceive play therapy? 2-1. What is the perception regarding effect on play therapy? 2-2. What is the perception on place, time, subjects, and therapist of play therapy? 2-3. What is the perception and demand on related education of play therap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02 teachers in public·private kindergartens and 202 mo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the fifth-year classes of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For research data,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a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First, most kindergarten teachers are aware of play therapy through lecture, internet, and newspapers. They think that play therapy is very effective for younger children, especially for their negative experience and emotion. Most kindergarten teachers think that they can administer play therapy. However, those who think they cannot apply play therapy to educational setting regard special facilities as the most appropriate place for play therapy. When applying play therapy to educational setting, teachers think that they can administer play therapy to the emotional disturbed children in classroom during or after daily lesson times. Teachers regard the credibility of human beings as person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play therapists. Therapy specialists are thought to be the most appropriate person for play therapy follow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Most kindergarten teachers think that special training is needed for play therapy, but few teachers receive special training in play therapy. Most teachers perceive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education in play therapy, but they rarely experience related education of play therapy. Especially, they feel lack of time and information regarding play therapy even though they are eager to learn it. They want to apply play therapy to educational setting after learning it through workshop or by observing real situations during vacations. Most teacher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eaching children with distraction, offensiveness, interactional problems, or separation anxiety. Teachers respond hat they prefer searching solutions for those children and it shows that they take the responsibility as homeroom teacher and try to understand the cause of problems for solution. Research results show that teachers have few experience in play therapy. Even those who practice play therapy feel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most teachers cannot practice it since they do not know it very well. Even though the subjects of play therapy are children in educational setting, teachers do not practice it frequently. This is because teachers regard play therapy as professional one. Second, most mothers hear about play therapy through internet,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word of mouth or reference books. They respond that play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ith difficulties, especially as a solution for negative experience and emotion, self-control/leadership, and relationship, which are ranked with same order with teachers' response. Most mothers think that play therapy can be practiced at home. Even though they believe that professional play therapy clinic is the most appropriate place, it is also possible to be practiced at home, especially for emotionally disturbed, hot-tempered, stubborn, distracted, or offensive children. Mothers regard the credibility of human beings as person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play therapists. Therapy specialists are thought to be the most appropriate person for play therapy followed by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Mothers think that special training is needed for play therapy at home, but few of them receive special training except patents study and training or teachers training course. Most mothers feel lack of information, time, and educational institute regarding play therapy even though they are eager to learn it. They also want to apply play therapy to children education after learning it through workshop or by observing real situations in play therapy center using morning time or during weekends.;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놀이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놀이치료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놀이치료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2. 놀이치료 장소, 시간, 대상 및 치료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3. 놀이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1-4. 유치원에서의 놀이 치료 실시 현황은 어떠한가? 2. 놀이치료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놀이치료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2. 놀이치료 장소, 시간, 대상 및 치료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3. 놀이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02명과 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02명이다. 교사는 경력 1년 이상의 한 학급의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머니는 유치원 교육 경험이 있는 만 5세 유아들의 어머니로 연구대상을 한정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 분석은 질문지의 결과를 각 항목별로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놀이치료에 대하여 알고 있었으며, 알게 된 경로는 학부 때 강의, 인터넷, 신문 등 대중매체를 통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려움을 가진 유아에게 놀이치료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유아의 부정적인 경험과 감정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치원 교사가 놀이치료를 실시 할 수 있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유치원 교실, 잉여 교실에서 일과 운영 시간 내나 일과 운영 시간 후에 유치원 부적응 유아, 사회성이 발달되지 못한 유아 등을 대상으로 놀이치료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놀이치료를 실시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은 전문적인 놀이치료실이 놀이치료를 실시하기에 가장 접합한 곳이라고 하였다. 놀이치료사는 유아에게 신뢰를 주는 진실한 사람이어야 하며, 놀이치료사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은 전문 치료사, 유치원교사, 학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 대부분이 놀이치료를 실시할 때 전문적인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놀이 치료에 관한 전문적인 교육을 경험해 본 적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놀이치료에 대하여 배우고 싶어 하지만, 시간적 어려움, 정보의 부족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놀이치료센터를 통하여 실제적인 워크샵과 놀이치료 장면의 참관을 통해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놀이치료를 배운 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에서의 놀이 치료 실시 현황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유아 지도상의 어려움 측면에 대해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지도상의 어려움을 가진 유아를 경험하였으며, 교사들이 경험한 지도상의 어려움을 지닌 유아의 어려움은 주의 산만한 유아, 공격적인 유아, 또래와 상호작용이 잘 안되는 유아, 분리 불안 유아 등이었다. 어려움을 가진 유아에 대하여 교사들은 문제를 연구하여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방법에 응답하였는데 그 이유는 담임으로서 유아에 대한 책임과, 유아에 대한 이해 및 문제 행동의 원인을 찾아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놀이치료를 실시한 경험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놀이치료를 실시한 교사들은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이 가장 어려웠다고 응답하였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놀이치료에 대하여 잘 몰라서 놀이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치료의 대상이 되는 유아들이 유아 교육 현장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유아들임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이 놀이치료를 실시하지 않는다는 것은 놀이치료를 너무 전문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놀이치료에 대하여 알고 있었으며, 알게 된 경로는 인터넷, 신문 등 대중매체, 주변 사람들, 참고서적을 통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려움을 가진 유아에게 놀이치료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놀이치료를 통하여 유아의 부정적인 경험과 감정 해소, 자기 조절 및 주도성, 또래와의 관계 등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 하였는데 이는 교사의 응답 순서와 같았다. 어머니들 대부분이 가정에서 놀이치료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적인 놀이치료실이 놀이치료를 실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곳이지만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유아, 짜증이 많고 고집이 센 유아, 산만하고 공격적인 유아 등을 대상으로 가정에서도 놀이치료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치료사가 되기에 적합한 자질로 어머니들은 유아에게 신뢰를 주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놀이치료사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은 전문치료사, 학부모, 유치원 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놀이치료를 가정에서 실시할 때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놀이치료에 관한 전문적인 교육경험은 매우 적었고, 어머니들은 학부모 연수, 교육교사 양성 과정을 통해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놀이치료에 대하여 배우고 싶어 하지만, 정보의 부족, 시간적 어려움, 교육 기관의 부족 등으로 놀이치료에 대하여 배우고자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들은 놀이치료센터를 통하여 놀이치료에 대한 실제적인 워크샵과 놀이치료 장면의 참관을 오전 시간이나 주말을 이용하여 배운 후 자녀 교육에 적용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