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진수-
dc.contributor.author남정현-
dc.creator남정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0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0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콘텐츠에서 단일 매체를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과 여러 매체를 선택할 수 있게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 여러 매체를 선택할 수 없도록 동시에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으로 나누어 학생들이 선호하는 자료 제시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각 유형에 대한 선호도 및 각 유형이 학습자 만족도와 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유형에 대한 선호여부가 학습자 만족도와 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자들이 단일 매체를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보다 여러 매체를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을 선호할 것인가? 2. 단일 매체를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과 여러 매체를 선택할 수 있게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 여러 매체를 선택할 수 없도록 동시에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을 제공받은 집단 간에 흥미도, 만족도, 학습활동 (학습시간, 진도율)의 차이가 있을 것인가? 3.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을 제공한 집단과 선호하지 않는 콘텐츠 유형을 제공한 집단을 비교했을 때 만족도와 학습활동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4. 여러 매체를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에서 학습자는 선호하는 매체만을 이용해서 학습할 것인가? 5. 단일 매체를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에서 텍스트 또는 비디오 중에 한 가지 매체만을 이용해서 제공했을 경우 만족도와 학습 활동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호여부, 흥미도, 만족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제작하여, E대학에서 Action e-MBA과정, e-Biz전략경영 과정, 사이버캠퍼스 과정의 수강생 총 127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총 15주 간의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진도율과 학습 시간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자들은 단일 매체를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보다 여러 매체를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 유형을 선호하였다. 그리고 인쇄자료, 웹콘텐츠 자료, 동영상 자료 등 단일 자료에 대한 선호도를 살펴보았을 때, 인쇄자료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웹콘텐츠 자료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음성자료는 거의 선호하지 않았다. 2. 학습자료 제시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점수와 진도율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흥미도와 학습시간은 차이가 있었다. 여러 매체를 선택할 수 있게 학습자료를 제공한 집단과 여러 매체를 선택할 수 없도록 동시에 학습자료를 제공한 집단은 단일 매체를 제공한 집단보다 학습자의 흥미도가 높았다. 여기서 여러 매체를 복합적으로 제공했을 경우 학습 흥미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러 매체를 선택할 수 있게 학습자료를 제공한 집단과 여러 매체를 선택할 수 없도록 동시에 학습자료를 제공한 집단만을 비교했을 경우에는 흥미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여러 매체를 선택할 수 있게 제공한 집단과 여러 매체를 선택할 수 없도록 동시에 제공한 집단은 단일 매체를 제공한 집단보다 학습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3. 학습자가 선호하는 유형을 제공받았을 경우에는 선호하지 않은 유형을 제공받았을 때보다 만족도는 높으나 학습시간이나 진도율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4. 학습시 여러 가지 자료를 제공받았을 경우 학습하기 위해서 꼭 선호하는 자료만 활용하는 것은 아니었다. 학습을 위해서는 선호하는 자료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5. 단일 매체를 제공한 학습자료 제시유형에서 텍스트 또는 비디오 중에 한 가지 매체만을 이용해서 제공했을 경우 학습 만족도와 진도율의 차이가 있었으나, 학습시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학습자들은 다양한 매체를 제공하는 유형을 선호하고 이는 학습의 흥미를 유발하나, 각 유형이 만족도와 학습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는 단일 매체를 활용한 어느 한 전략이 다른 전략에 비해 학습자의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일방적으로 우세하지 않다는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같은 결과는 학습활동이 학습자, 교수목적, 교과내용의 특성 및 기타 환경적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특정한 결과를 창출해 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에게 선호하는 유형을 제공했을 때에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매체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도 학습자의 선호도와 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습유형에 대한 선호여부가 학습 시간, 진도율에 미치는 영향은 적기 때문에 학습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더 다양한 변인들이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닝 콘텐츠에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학습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과 후속 연구가 있기를 기대해본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presentation types of e-learning contents that students prefer and their effects on learning. In order to find the learners’ preferences, it divides information presentation into single-medium presentation type providing one medium among simple text, verbal lecture, and video lecture and multi-media type offering options of media. Research questions are posed as follows: 1. Do learners prefer multi-media presentation type of adopting various media to single-medium type? 2.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single-medium type, optional type, and multi-media presentation type considering learners’ interests, satisfaction, and learning activities (study hours, progress etc.)? 3. Do learners’ satisfaction level and learning activities depend on whether the contents type is preferred or not? 4. Do learners adopt their preferences when provided multi-media for one contents? 5.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nd learning activities between text presentation and video present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solve those questions. The respondents are total 127 students who are currently taking Action e-MBA and e-Biz management courses, which are designed for adults, and Cyber Campus courses which are provided to a university’s students. During the 15-week classes, progresses of study and study hours of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Learners prefer the presentation type that provides various media and students’ choices to the single-medium presentation type. In particular, they lean to hard copy (50%) most, followed by web contents (43%) and video material (26%). However, they do not desire verbal material. 2.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atisfaction scores and progress among the presentation types. In contrast, differences exist in interest level and study hours. Compared with the single type, both multi-media presentation and the type to provide options of media show higher level of interests among the students. The more students prefer the information presentations, the more they are interested in them.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between the multi-media presentation type and optional type. Respondents provided with various media spend more time to study than those with single-medium presentation. It implies the more learners are interested, the more they study. 3. Learners are like to be fascinated by the presentation type they prefer.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y hours and progress between the group provided with preferred presentation type and the group failed to get the preferences. 4. Learners do not always use their preferred media for studying. They adopt various media regardless of their tastes in order to advance their study. 5. When providing one medium between text and video, there is difference in satisfaction and progress of study,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study hours. In conclusion, learners prefer multiple media presentation type to single-medium type. While the presentation type affects learners’ interests, it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level and learning activities. This result corroborates the previous research that any educational strategies utilizing single medium could not promote the learners’ satisfaction and progress of study. It is because educational media interact with learners, purpose of class, characteristics of texts, and other circumstances, thereby create specific results. In addition, learners are likely to show higher satisfaction when provided with the presentation types they prefer. It implies that educators could improve learner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level by offering various options of media.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the variables to affect learning activities since preferences to presentation types are proven not to control learning activities such as study hours and progr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멀티미디어 자료와 학습 = 7 1. 멀티미디어 자료의 종류와 특징 = 7 2. 멀티미디어와 학습 = 8 B. 원격교육에서의 매체 = 10 1. 원격교육에서의 매체의 분류 = 10 2. 각 매체의 특징과 활용 = 18 C. 이러닝에서의 매체 활용 = 20 1. 이러닝과 이러닝 콘텐츠 = 20 2. 이러닝 콘텐츠에서의 정보제시 유형 분석 = 25 D. 관련 선행 연구 = 30 1. 원격교육에서 매체의 효과에 관한 연구 = 30 2. 전달양식 관련 선행 연구 = 3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5 A. 연구 문제 및 가설 = 35 B. 연구 대상 = 37 C. 연구 설계 = 40 D. 연구 도구 및 절차 = 49 E. 자료분석방법 = 53 Ⅳ. 연구 결과 분석 = 55 A. 매체별, 이러닝 콘텐츠 유형별 선호도 차이 = 55 B. 각 유형별 흥미도, 만족도, 학습활동의 차이 분석 = 57 C. 선호여부에 따른 만족도, 학습활동 비교 분석 = 62 D. 매체간 선호도와 활용도 분석 = 66 E. 단일유형에서 텍스트와 비디오 매체 비교 = 68 Ⅴ. 결론 및 제언 = 72 A. 결론 = 72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74 참고문헌 = 76 부록 설문지 = 79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623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c.title이러닝 학습자료 제시유형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ffects that Presentation Types of E-Learning Contents have on Learning-
dc.creator.othernameNam, Jung-Hyun-
dc.format.pageⅸ,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보과학대학원 멀티미디어학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멀티미디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