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전지영-
dc.creator전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57-
dc.description.abstractLiterature education since childhood is explicitly needed, because we can understand the inside of humans and indirectly experience the world through literature. Its importance is more emphasized in the childhood when children begin to internalize values and understand others. The reason is because children can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ld, which includes themselves, through literary experiences. The 7th official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rogram for the subject of Korean presents a literature area in addition to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knowledge about the Korean language. The objective of the literature area i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literature by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literature and learning basic knowledge of literary works. The competence to understand literature means the ability to comprehend a concerned work overall, and thus it needs to be conducted prior to an appreciation activity. To improve the competence to understand literature that elementary school pupils should know, the activities to identify the intention of the concerned writer, understand the flow of plot or personalities of characters should be presen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rec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children can encounter literary data and materials through various media.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specially, helps children understand the world actively through indirect experiences by easily having an access to the Web and being provided rich literary data and materials. In the real class, an activity showing the Web-based fairly tale is focused; therefore, a systematic Web-based education that can enhance active literature understanding competence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terature understanding education program through reconstruction of a Web-based cognitive apprenticeship instruction model, according to the systematic design model procedure, and to identify what impacts of this program have on the literature understanding competence, after applying the program to 33 fourth graders at M Elementary School in Seoul. For the program direction setting in this study, a demand survey targeting teachers and children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literature understanding, difficulties in a literature understanding class and opinions on the Web-based fairy tale class. Through the 7th official education program for the Korean language, the objective of this program has been presented and the sub-objectives have been set. Based on those objectives, a Web-based cognitive apprenticeship instruc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using fairly tale themes, which are friendly to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literature understanding competence. This program was applied to 18 sessions of classes during 8 weeks. To verify the validity and effects of this program, the pre and post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targeting the aforementioned target group. Literature understanding competence was arranged as competences to understand characters, composition and themes. Then, the results graded by three people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0.0/WIN statistical program for statistical processing. In doing so, the t-test of response sample was also used. As a result of executing the Web-based cognitive apprenticeship instruction program to improve literature understanding competence, children's literature understanding competence improved. In particular, the two elements, character understanding and composition understanding,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theme understanding, among three sub-elements, when the pre and post evaluation results were compared. This means that this program is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literature understanding. The limitations indicated in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ly, a tendency of remarkable individual differences was shown in the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 evaluation results of theme understanding among literature understanding competences. Secondly, the various fairly tale themes were not shown, because the composition of this program was made, mainly focusing on the fairly tale them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irdly,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small number of pupils in unit of class. Accordingly, the follow-up studies to closely examine the relation with other literature elements, such as extended Web community-used studies or writing styles, are needed, targeting large number of students.;문학은 인간 내면을 이해하고 세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의 문학 교육의 필요성은 분명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가치를 내면화하고 타인을 이해하기 시작하는 아동기에 있어서는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왜냐하면, 아동이 문학적 경험을 통해 자신이 포함된 세상을 이해하는데 그 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제 7차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지식 외에 문학 영역을 제시하고 있다. 이중 문학 영역에서는 문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작품에 대한 기본 지식을 익혀 문학을 이해.감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때, 문학을 이해하는 능력은 작품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의미하므로, 감상활동에 선행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에서 아동이 알아야 할 문학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학 작품을 쓴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거나, 줄거리의 흐름을 알거나, 등장인물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아동들은 문학 자료를 다양한 매체에서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인터넷의 발달은 아동이 웹에 손쉽게 접근하고 풍부한 문학 자료를 제공받아, 간접 체험을 통해 적극적으로 세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수업현장에서는 웹 활용 동화를 단순히 보여주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아동의 능동적인 문학 이해능력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웹 활용 교육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제적 설계모형 절차에 따라, 웹을 활용한 인지적 도제 수업 모형을 재구성하여 문학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서울 M초등학교 4학년 아동 33명에게 적용한 후 본 프로그램이 문학이해능력에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설정을 위해, 교사와 아동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문학이해에 대한 인식, 문학 이해수업에서 어려운 점, 웹 활용 동화 수업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제 7차 국어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본 프로그램의 목표를 제시하고 하위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은 아동의 문학이해능력 향상을 위해 아동에게 친숙한 동화 제재를 이용하여 웹 활용 인지적 도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8주 18차시에 걸쳐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타당성 및 효과 검증을 위해 연구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문학이해능력을 인물, 구성, 주제를 이해하는 능력으로 정리하고, 3명의 채점자가 채점한 결과를 SPSS 10.0/WI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문학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웹 활용 인지적 도제 학습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아동의 문학이해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사전?사후 평가 결과를 비교했을 때 3가지 하위요소 중 ‘인물 이해력’, ‘구성 이해력’의 2가지 요소가 ‘주제 이해력’에 비하여 특히 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문학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과에서 문학이해능력 중 주제 이해력의 사전.사후 결과 비교에 있어서 개인차가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본 프로그램에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동화 제재를 위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동화 제재가 다양하지 못했다. 셋째, 본 연구는 학급 단위의 소수 학생들이 참여하여 실시되었다. 따라서 다수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확장된 웹 커뮤니티를 이용한 연구나, 문체 등의 다른 문학요소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아동문학교육 = 5 1. 아동문학교육의 의의 = 5 2. 아동문학교육의 목표 = 6 3. 아동문학에서의 동화 = 7 4. 문학이해능력 = 10 B. 아동문학과 웹 활용교육 = 13 1. 웹을 활용한 아동문학교육의 의의 = 13 2. 웹을 활용한 아동문학 교수-학습 = 15 C. 아동문학과 인지적 도제 학습 = 20 1. 아동문학교육에서의 구성주의와 웹의 의의 = 20 2. 인지적 도제 수업 모형 = 21 Ⅲ. 연구 방법 = 27 A. 연구 대상 = 27 B. 연구 설계 = 29 1. 아동의 문학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웹 활용 인지적 도제 학습 프로그램 개발 = 29 2. 아동의 문학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웹 활용 인지적 도제 학습 프로그램 적용 = 30 3. 프로그램 평가 = 30 C. 연구절차 = 30 D. 연구 도구 = 31 1. 교사, 학생 요구 조사 도구 = 31 2. 문학이해능력 평가 도구 = 33 E. 자료 분석 = 34 Ⅳ. 프로그램 실제 및 결과 = 35 A. 문학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웹 활용 인지적 도제 학습 프로그램의 실제 = 35 1. 본 프로그램을 위한 요구 조사 분석 및 목적 설정 = 35 2. 본 프로그램을 구성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및 학습자 분석 = 46 3. 문학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웹 활용 인지적 도제 학습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 = 51 4. 문학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웹 활용 인지적 도제 학습 프로그램의 교수 전략 = 53 5. 문학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웹활용 인지적 도제 학습 프로그램 자료 개발 및 선정 = 75 6. 문학이해능력 평가도구 개발 = 85 B. 프로그램 결과 = 94 1. 인물 이해력 = 95 2. 구성 이해력 = 98 3. 주제 이해력 = 100 Ⅴ. 결론 및 제언 = 102 A. 결론 = 102 B. 제언 = 105 참고문헌 = 107 부록 = 114 ABSTRACT =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505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아동의 문학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웹 활용 인지적 도제학습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a Web-based Cognitive Apprenticeship Instruction Program for Children's Literature Understanding Competence Improvement-
dc.creator.othernameJun, Ji Young-
dc.format.pagev, 1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