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5 Download: 0

광주광역시 중학교 합창수업과 활동에 관한 조사

Title
광주광역시 중학교 합창수업과 활동에 관한 조사
Other Titles
A STUDY ABOUT THE ACTUAL CONDITION AND MANAGEMENT OF THE CHOIR LESSON OF MUSIC EDUCATION AT THE MIDDLE SCHOOL IN GWANGJU
Authors
조한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합창지도 실태와 운영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합창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 더 나은 합창교육과 합창활동을 성취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 55개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에 대한 내용, 음악수업에서의 합창지도 실태와 운영, 합창반지도의 실태와 운영으로 내용을 구분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에 대한 내용은 응답자의 학교 형태와 세부전공으로 나누었고 둘째, 음악수업에서의 합창지도 실태와 운영에서 합창교육을 위한 환경, 교재의 적절성, 합창교육의 내용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합창반지도의 실태와 운영은 합창반의 유무, 합창반이 환경, 합창반의 운영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총 55명의 응답자들의 일반사항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들의 재직학교 형태는 남 · 녀공학 중학교의 비율이 7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악전공교사의 비율이 40.0%로 비율을 차지하였다. 음악수업 시 합창지도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합창교육환경으로 대부분 음악실을 갖추고 있었으며 기자재와 기자재를 운용하기 위한 교육 자료의 보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자재의 활용측면에서 볼 때 기자재의 합창수업기여도에 비해 실제 합창수업에 사용되는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합창지도를 위한 교재로 교과서는 합창이론 부분이 부족하고 합창곡의 비율은 적절하다고 나타났으나 CD, 책등의 구입을 통하여 교과서 이외의 교재를 사용하고 있는 응답자가 47명(85.5%)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합창곡 선곡에 있어서 곡의 난이도를 고려하고 주로 한국가곡을 지도하고 있으며 교사의 선창을 통하여 교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실제 음악수업에서 합창수업의 비율이 낮게 나타나는데 그 이유로는 수업시수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조사됐다. 또한 합창단의 교내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며 교내 합창제의 낮은 개최율을 보였다. 합창반지도 실태와 운영을 조사한 결과, 총 55명의 응답자중 33명(60.0%)이 합창반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합창반의 연습장소로는 대부분이 음악실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창반은 대체로 30~60명 정도의 규모로 3부합창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고 주2회 이상 연습을 하지만 연습시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들은 합창연습 시 발성연습과 파트연습을 중요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응답자들의 대부분은 합창반을 위해 외부 강사를 초빙해 본 경험이 없고 그 요인을 학교 재정과 연습시간의 부족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교내에서의 합창활동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당수의 학교는 교외 합창대회에도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합창반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는 보통으로 교직원과 학부모의 관심도는 낮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의 재정적인 지원도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볼 때 교사는 효과적인 합창 수업을 위하여 기자재를 다양하면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고 교사들 간의 합창관련 정보를 교환 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가 필요하다. 또한 합창반이 적극적으로 활동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발표회와 대회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음악능력의 신장을 위해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통하여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교직원, 학부모의 관심과 학교의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rvey the status quo about the actual condition and management of the choir lesson of music education taught by th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n the city of Gwangju, to discover problems of the current choral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data, then to present better ways of contributing to its development as well as its choral activities. With respect to data, I survey music teachers of 55 middle schools in Gwangju. The survey contains, by and large, three sections: (1) the contents of the objects of the research; (2) the processes of choral education in a music class; (3) choir activities as specially organiz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the objects of the research, it deals with the aspects of schools such as co-ed and specific majors of the music teachers. As for the processes of choral teachings, it contains the circumstances of choral education, the adequacy of music texts, and the curriculi of choral education. Finally, the survey of choir activities as organized consists of the non-/existence of the choral class, its the circumstance, and the operation of choir. As a result of the data survey of 55 respondents, the 'co-ed' section related to (1) above, turns out to be the highest (76.4%) and the vocal major of the music teachers reaches 40%, which is the highest among the various music majors. Relating to (2) above, I examine the survey of the choral education in many music classes, I find that the rate of using choir curriculum marks low in the vocal classes, and that the frequency of utilizing music instruments and multi-media turns out low, although the rate of the possession of the music classroom designated by the middle schools as well as the rate of having music instruments and multi-media are high. Also, I find that the frequency of the choir contest is low and that music teachers tend to think the choir sections in texts as inadequate. They tend to much consider the level of difficulties of music when they select. In general, they are inclined to choos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ead of foreign one. Lastly, they teach students by precenting first. As for (3) above, I study the circumstances of the organized choir classes, I conclude that 33 out of 55 music teachers (60%) manage the choir classes, and that he or she uses the music classroom for the rehearsal of the choir. The choir members consists of 30-60 students, and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y usually practice twice a week, but they believe that it is too short. Teachers consider the vocal practice and part practice as important in the overall practices of the choir. However, they've never invited lecturers outside the school, due to lack of fund and insufficiency of the practices. The choir class usually not only performs more than one in a year as one of the school festival, but participates in the choir competitions held by other organizations outside the school. Teachers recognize that even though students are highly interested in the choir, school staffs and their parents are less interested than students, and that school fails to support the choir financially. From the analysis, I conclude that music teachers should get accustomed to utilize facilities such as instruments or multi-media for the effective choral classes, and develope the network to exchange information related to choral education among them. Also, various competitions and performances are to be provided for activities of the choral classes. Teachers need to provide the planned curriculum with their students in order to promote their musical potentialities. And school staffs and parents of students must be interested in the choral education and schools need to support the choral classes financi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