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map in block play
Authors
김민자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map in block play through comparison of two groups in the ability of reading and drawing map.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follow; 1. What i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ability of reading map in block play? 1-1. What i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orientation? 1-2. What i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erspective? 1-3. What i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ymbol? 2. What i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ability of drawing map in block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in total 60 children of two 5-year-old classes in kindergarten G, one of which is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is control group. Based on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ability of reading map, matching cases with 24 children are composed. After three-time field trips for five weeks, experiment group accomplishes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related to field trips in block play and control group experiences only daily learning activity. Measuring methods of the ability of reading map in preliminary/post examination are the concept of orientation, the concept of symbol (An Nam-ee, 2002), which is based on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map (Choi Nang-soo, 2000), and the concept of perspective (Kim Jeong-ok, 1985). Measuring methods of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map is the ability of representing map (Cho Eun-jin and An Nam-ee, 2002).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collected data are calculated using SPSSWIN 12.0 statistics package and all the data are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First, ANCOVA analysis, which uses preliminary examination results of the ability of reading map as a covariant, shows that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in block pla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orientation, perspective and symbol. Second, to examine the effe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in block play on the ability of drawing map, maps of three different topics are analysed, such as classroom map, map from home to kindergarten and town map in a bird view. As a result, the percentage of children - who represent overall environment structure, orientation, perspective and symbol in map drawing - and the comparison data in preliminary/post examination show that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of orientation, perspective and representing symbol.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hat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in block play has a great effect on the ability of reading and drawing map. In short, the spatial concept of map in early stage can be formed through block play. Furthermore, the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orientation, and location concept as well as the ability of using symbol to represent buildings or objects is improved though block play.;본 연구의 목적은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을 경험한 유아들과 경험하지 않은 유아들의 지도 읽기 능력과 지도 그리기 능력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지도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방향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조망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기호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지도 그리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G유치원의 만 5세 2개 학급 30명씩 총 60명의 유아로 한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두 집단의 지도 읽기능력에 대한 사전 검사 점수를 근거로 24명씩 대응집단을 만들었으며 5주의 실험기간 동안 3회에 걸쳐 현장학습을 다녀온 후 실험집단은 쌓기 놀이 영역에서 블록을 이용하여 현장학습과 관련된 장소 및 공간을 표상하는 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고 통제 집단은 쌓기 놀이 영역 활동의 사전계획 없이 일상적인 유치원 교육활동만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아의 지도 읽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최낭수(2000)의 지도이해능력 측정도구를 기초로 안남이(2002)가 제작한 방향 개념, 기호 개념 측정도구, 김정옥(1985)의 조망 개념 측정도구이며 지도 이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조은진, 안남이(2002)의 지도 표상능력 측정도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ANCOVA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도 읽기 능력 사전 조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ANCOVA를 실시한 결과, 지도 읽기 능력인 방향, 조망, 기호 개념 형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 그리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가지 주제(교실지도 그리기, 우리 집에서 유치원까지 지도 그리기, 새가 되어 위에서 본 마을모형 지도 그리기)의 지도에서 전체적인 환경구성, 방향, 조망, 기호를 표상한 유아의 수를 백분율로 구하고 두 집단간의 사전, 사후 검사 그림을 비교하여 기술한 결과, 지도 그리기 능력인 방향, 조망, 기호 표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쌓기 놀이 영역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지도 읽기 능력과 지도 그리기 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쳤음을 증명하였다. 즉, 실험집단 유아들은 블록 구성 놀이를 통하여 지도에 관한 초기 공간 개념이 형성되어졌다고 볼 수 있으며, 블록으로 공간, 장소를 표상해 봄으로써 사물의 공간적 관계, 방향, 위치 개념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어졌고 건물이나 사물을 나타내기 위해 상징을 사용하는 능력이 증진되어졌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