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조선후기 목가구의 나뭇결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Title
조선후기 목가구의 나뭇결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application in Fashion design of wood grain of furniture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With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ique
Authors
변지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t present, living in various period of international cultures, foreigners are attracted to friendless and naivety atmosphere of furniture, formative simplicity of and texture of surface coming out ages by being well thumbed in Chosun Dynasty period rather than wood furniture with decorative and nearly new storage maintenance in Japan and China. Interest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has been increasing day by day in modern society and study has been also very active. Especially various studies on a hinge and ratio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in reality yet aesthetic study on the grain of wood of Korean wood furniture that has material with naturally growing wood in Korea, controls decoration and gives life to the grain of wood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addition motive with Korea style is reached a limit in reality so new native motive is desperately required at the moment.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various annual rings appeared in wood furniture of late of Chosun Dynasty period and then reconstructed as computer graphic program, high technology, so that new image fabric was invented with digital printing technique in this kind of period trend.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veloping possibility as motive with culture value of Korean tradition by formating to modern clothing. Study range was limited to wood furniture with its own grain of wood excluding lacquer ware wardrobe in pieces of late Chosun Dynasty period that was a period to establish beauty of Korean style wood furniture and study was processed with materials and patterns of woods excluding a hinge and ratio of wood furniture. With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e analyzed producing technique and material of wood furniture and its producing technique on based on historic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 of wood furniture in Chosun Dynasty period and also studied creation process of grain of wood appeared on wood furniture and is formative characteristic through documents and photographic materials. In addition we studied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ique through documents and field research. As the methods of study, we studied formative characteristic by dividing the grain of wood on wood furniture of Chosun Dynasty period into pattern, color and also collected and analyzed applied cases on modern clothing design. We selected motive 8 pieces in wood furniture of Chosun Dynasty period on based on this and created new design as clothing design pattern by designing motive with various tools in Adobe Photoshop 7.0. In addition we utilized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ique and used techniques such as slash, quilting, tuck and pleats after printing out as material so that we tried to form as clothing design that sufficient texture effect appears. The result through this kin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wood furniture in Chosun Dynasty period is formatively created art piece after selecting beautiful grain of wood to bring out aesthetic parts, we found out it has various development possibility as artistic motive added natural beauty characteristic and value of old furniture. Second Since the grain of wood appeared on wood furniture in Chosun Dynasty period has formative characteristic such as straight line, marbling, curve, a concentric circle and mosaic so that it enables application as modern clothing design. Third Brown, low saturation and Green and Gray field colors were suitable for expressing image of wood furniture made of natural material and Orange, Pink, Red, Yellow and Black were fitted to raise the grain of wood. Fourth as application of photoshop program was suitable method in digital times in terms of expressing way of motive for digital textile printing, it enables realistic expression of pattern that is difficult to be solved in manual works and also formative factors could be reconstructed as change of color and size were possible. Free hand drawing works using tablet enables expression of painting feeling. In addition we did mapping the shapes after completion so that we could increase perfection. Fifth, in the past, digital transfer printing on polyester suede and leather was not possible.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it could be made possible thus greatly decreasing the materials limitations on digital transfer printing. Sixth as we complexly used slash, pleats, tuck and quilt with digital printing, we could express sufficient texture on fabric surface. As wood furniture in Chosun Dynasty period is a piece of respect in nature combined pure natural beauty with minimum artificial beauty, we should more firmly establish theoretical system in regards to beautiful characteristic of the grain of wood and also necessity that can be utilized not only clothing design but also other different design fields is desperately required. Moreover we actively use scientific technology to develope and succeed to traditional culture so that we expect to create design fitting to modern sense.;국제화 문화의 다양성 시대에 살아가고 있는 현재, 외국 사람들은 단순한 조형미를 지니고 있는 한국 목가구의 소박ㆍ친근함과 손때 묻어 연륜이 우러나는 표면의 질감을 선호한다. 현대사회는 한국의 전통 가구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 되어가고 있고 그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한국 전통 목가구의 경첩과 비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되어지는 현실 속에서 한국에서 자생한 나무를 재료로 하여 장식을 자제하고 나뭇결을 그대로 살린 한국 목가구의 나뭇결에 대한 미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조선시대 후기 목가구에 나타난 나뭇결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컴퓨터 그래픽으로 나뭇결의 이미지를 재구성하고, 디지털 프린팅기법을 통하여 패브릭을 개발하여 의상으로 형상화함으로서 한국 고유의 문화적 가치를 지닌 모티프를 제시하고 의상디자인의 예술적인 표현영역을 확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한국적인 목가구의 미가 확립된 시기인 조선시대 후기의 작품 중 나전칠기장을 제외한, 나무의 결을 그대로 살린 목재가구로 제한하였고, 목가구의 경첩과 비례를 제외한 나무의 재료와 무늬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조선시대 목가구의 역사적ㆍ지리적 배경과 목가구에 쓰인 나무의 종류 및 제작기법을 문헌과 사진자료를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목가구의 미적 특징과 나뭇결에 나타난 무늬와 색채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의 기법을 문헌과 현장 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조선시대 목가구 중 모티프 8점을 선별하였으며, 포토샵(Adobe Photoshop 7.0) 프로그램의 다양한 툴로 모티프를 디자인하여 의상디자인 패턴으로서의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날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기법을 활용하여 원단으로 출력 후 슬래쉬(Slash), 누빔, 터크(Tuck), 주름(Pleats)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풍부한 질감효과가 나타난 의상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목가구는 아름다운 나뭇결로 창조된 조형적 예술품으로서 자연스러운 미적 특성과 오래된 가구의 가치가 더해져서 예술적 모티프로의 다양한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조선시대 목가구에서 나타난 나뭇결은 직선, 마블링, 유선, 바위, 동심원, 모자이크, 물결형 등의 조형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디지털 프린팅을 통해 모티프의 현대적인 응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의상의 주조색인 저채도의 Brown과 Green, Gray계열 색채는 자연적인 소재로 만든 목가구의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적합하였고, Orange, Pink, Red, Yellow, Black 등의 액센트 색채는 나뭇결을 부각시키는데 적합하였다. 넷째, 디지털 프린팅을 위한 모티프의 개발에 있어서 포토샵 프로그램의 사진 합성에 의한 응용은 문양의 사실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타블렛을 이용한 프리 핸드 드로잉 작업은 나뭇결의 무늬를 회화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였다. 다섯째, 디지털 전사 날염에 사용한 폴리에스터 스웨이드와 디지털 분사 날염에 사용한 가죽 소재는 지금까지 디지털 프린팅에서 기술적으로 제한되었던 소재였으나 본 연구과정을 통해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원단 사용에 제한이 많은 디지털 프린팅 기법에 새로운 원단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여섯째, 슬래쉬(Slash), 기계주름(Pleats), 터크(Tuck), 누빔 등의 기법을 디지털 날염과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나뭇결의 질감을 더욱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의 목가구는 순수한 자연미에 최소의 인공미를 결합시킨 자연 존중의 예술품으로서 이에 나타난 나뭇결의 미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더욱 확립시켜야 할 것이며 의상디자인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디자인 분야에서도 활용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디지털화된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현대적 감각에 맞는 디자인이 창출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