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진복례-
dc.creator진복례-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6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6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한 유치원 만5세 사슴반에서, 실외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목공놀이 영역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며, 그 과정에서 교사 및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실외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목공놀이 영역에서 교사와 유아가 인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2. 실외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목공놀이 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3. 실외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목공놀이를 활성화 해나가는 가운데 교사와 유아는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성남시에 위치한 대한 유치원의 사슴반 유아 24명과 연구자 및 담임교사 1명이다. 연구 기간은 2005년 3월 11일부터 4월 22일까지로 이 기간 동안 실외놀이 영역에서 총 16회의 목공놀이 활동을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실시 및 1:1 면담, 유아와의 1:1 면담을 통해 실외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목공놀이 영역에 대한 인식 점검, 점검된 문제점에 따른 목공놀이 영역의 활성화 방안 모색 및 실시, 목공놀이 활성화 방안 실시에 대한 반응 평가 및 피드백의 순서로 진행된다. 자료 수집은 연구가 시작된 3월 11일부터 연구가 끝나는 4월 22일까지 관찰 기록, 녹음 및 교사의 저널쓰기, 연구자의 활동평가, 기간 동안의 작품 평가, 그리고 여러 가지 문서자료와 사진 촬영 등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그 외에 본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하는 동안 교사 면담, 유아 면담, 교사-유아의 대화 내용을 녹음기로 녹음, 내용을 정리하고 교사의 저널 및 하루일과 평가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교사-유아의 전체 및 일대일 이야기 나누기 녹음 내용, 연구자-교사와의 평가 녹음내용, 유아들의 활동사진과 활동 결과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 저널과 연구자의 활동평가 및 관찰 기록을 보며 내용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및 유아와의 1:1면담과 교사 설문지 작성, 연구자와 교사의 저널쓰기 실시를 통해 나타난 교사와 유아가 인식하는 실외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목공놀이영역의 문제점은 목공도구와 활용에 대한 교사자신의 지식 부족, 그리고 현재 목공실의 보관 구역으로서의 역할 전이와 닫혀있는 문으로 인한 실외놀이터와의 분리를 문제 삼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본 연구를 실행하면서 목공도구의 종류와 용도에 대한 이론서를 참고로 교사가 목공도구 및 활용지식을 쌓아 해결하였고, 보관구역으로서의 역할 전이에 대한 문제는 환경구성을 창고와 목공놀이실을 분리하여 두고 유아들에게 친숙한 블록을 목공실에 비치하여 교실과도 연계지어 놀이할 수 있는 곳으로 재정비하였다. 또한 실외놀이시간에 놀이터와 교실로 가기위한 통행로로 목공실을 거쳐 가도록 하여 놀이터와 목공실의 분리를 완화하고 목공실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었다. 둘째, 목공놀이영역을 활성화하기위한 방안모색은 연구자, 교사, 유아의 목공놀이 영역에 대한 인식 점검, 문제점 파악에 따른 목공놀이 활성화 방안 실시, 평가를 통한 2차 방안 재구성, 2차 방안 실시 및 평가하기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현재 대한 유치원의 목공놀이실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한 후 목공놀이 프로그램을 계획하였으며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문헌을 이용한 목공도구 및 활용방법을 함께 연구하였다. 유아들의 목공놀이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고려하여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목공놀이실을 재정비하여 환경을 구성하였다. 1차 방안의 결과에서 부족한 부분은 2차 방안을 통해 재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총 15회의 목공놀이 활동이 진행되었다. 셋째, 실외놀이에서 목공놀이 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의 실행 과정에서 교사의 변화는 주변의 경험을 유아의 놀이로 확장시킬 줄 아는 적극적인 교사로 변화된 점, 새로운 영역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해 재인식의 기회를 갖는 점, 유아발달 단계에 대한 고정관념을 재고해 보는 기회를 가진 점, 교육의 적기를 찾아내는 민감한 교사의 모습이 보인 점, 작은 활동도 지나치지 않고 그 유아만의 장점을 찾아 인정하려고 노력한 점, 주어진 환경을 유아의 흥미 유발로 최대한 활용하는 교사로 바뀐 점, 안전에 대한 문제를 유아와 함께 풀어가는 교사가 된 점, 반성적 사고로 자신의 교육활동을 체계화해가는 교사로 변화된 점으로 분석되었다. 유아의 변화는 유아들이 목공놀이 활동을 통해 또래간의 친사회적 행동이 매우 증가되었고 목공놀이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이 증가되었으며 목공놀이를 실행하기 전보다 하고 난 후에 소근육 발달이 증가된 점, 그리고 목공놀이를 통해 자신감 형 성과 자아 성취감이 증대된 점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variety of reactions and awarences from the 5 year old kids in DaeHan kindergarten and also teacher by wood working which held in outdoor play time.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subjects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problems or reactions recognized by teacher and kids for doing wood class during outdoor play time? 2. What are the plans or programs to make wood class more active and improved? 3. How are teacher and kids changed through the wood class during outdoor play time? For this, the research performed in Daehan kindergarten in SungNam with 1 researcher as conductor, 1 teacher and 24 stud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11th to April.22nd. During that period 16 classes had been placed for outdoor play time. The progresses are held questionnaires and 1:1 interviews with both teacher and students as followed: inspect their awareness examined issues can grope the wood class more activated and also executed. The sequence orders are evaluating reactions and also by feedback. The data aggregation had done from the research starting day on March.11thto the ends on April.22nd through making an observation survey, video taping, taking pictures, evaluating a works and as well as journals from researcher and teacher. Also, researcher has analyzed and correcting other materialsby private interviews, voice recording and evaluating daily notes with teacher’s journal. The analyzed materials are added by recording teacher-kids individual communication, teacher’s voice recorded evaluation, taking class pictures and their final works. And also, teacher’s journal and researcher’s daily activity note and survey are has been added in this research. Therefore, there are final conclusions 1. 1:1 interviews, teacher’s questionnaires and journals raised a question whether teacher, herself has lack of tool usages and knowledge, and also, the separation from the playground by the locking door and the use the wood class room as storage. The point of the issues has been changed by recognized the tools basic on the books and practice them, and rearranged wood area to make better environment. 2. Planning and evaluating the activity for make wood class better, and also follow the teacher and students’ change. In order to, make the class more active survey and feed back from the studentsand teachers, and adding more activities. 3. Teacher and students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carrying the plan. First, teachers has been changed about safety through the research, simply, watched the students experiencing the tools instead keep them away from them. Next, teacher learned about prejudging the students’ abilities are not the best way. So, finally, teacher showed more patience. Secondly, students shows a lot of confidence as achieved each steps to solve the problems. Also, their social skills have been improved; they learned how to communicate in such a noise places; while discussing the objects, they listen to others and can express their thoughts. And last, they knew how to keep themselves from the dang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vi Ⅰ.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자 배경 = 6 Ⅱ.이론적 배경 = 9 A. 실외놀이의 교육적 의의 = 9 B. 실외놀이영역으로서의 목공놀이 = 11 Ⅲ.연구방법 = 20 A. 실행 연구 = 20 B. 연구 대상 = 22 C. 연구 절차 = 27 D. 자료 분석 = 30 Ⅳ.연구결과 = 31 A. 실외놀이에서 목공놀이 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과정 = 31 B. 실외놀이에서 목공놀이 활성화 방안을 위한 실행과정에서의 교사의 변화 = 54 C. 실외놀이에서 목공놀이 활성화 방안을 위한 실행과정에서의 유아의 변화 = 59 Ⅴ.논의 및 결론 = 63 A. 논의 = 63 B. 결론 및 제언 = 67 참고문헌 = 69 부록 = 71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439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실외놀이에서 목공놀이 영역의 활성화 방안 모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the variety of reactions wood working during outdoor play time-
dc.creator.othernameJin, bong ne-
dc.format.pageⅷ,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