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지역 브랜드 구축을 위한 문화 클러스터 개발 전략

Title
지역 브랜드 구축을 위한 문화 클러스터 개발 전략
Other Titles
Cultural cluster development strategy for building up Regional brand
Authors
김혜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재경
Abstract
In the late 20thcentury, the world changed into the information-based society, and there has formed a market where nobody can keep his privacy in front of the huge global network. As a result, countries have gone through an extremely serious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globalization, which leads to regionalization, then to localization. That is, each region in the countries is strengthening its competitiveness by revolutionizing for itself and creating its own regional economy. Regional culturesand industries that subordinated to the country in the past are now also fortifying their ow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cultural knowledge and internet information arising from each regional community. In this situation, the regional cultural status that has been heightenedvia its brand and image-positioning has a very great influence directly on the regional economy. In the mean time, each regional self-governing body is concentrating on developing the kind of products that may benefit the regional economy. They are also trying making clusters in terms of policy so that they may unearth the relics and ruins whose assets are history and tradition and be armed with the competitive products which will mark the regio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hen our nation suffered from the Japanese Colonialism and civil wars, we gave the precedence to our liberation from the subordinate condition of the economy and politics over to the concern about our culture. We lost the pride in our culture while we were subordinated to foreign powers. So our perception about high-quality culture has shaped up centering around Japanese Imperialism and Europe. Since the 1960s we pursued the stability politically and socially, and around the 1980s the industry and economy played a leading role. But today the culture has conversel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olitics and economy as an unseen power. Although the history of our self-governing system is short, regional governments, inhabitants, and companies as main bodies are giving serious consideration to those social changes. It is because the two imperative tasks, creating profits out of the regional community and increasing employment, are directly connected with securing not only political stability but also steadfast power. So they are making into product resources anything that can be considered as consumable objects, from regional history to natural environment. In the last half century, we have sought after the progress-oriented industrial policies in the rapid procedure of industrialization. But today those things that were pushedout, reserved, cleared, destructed all the while are rising as new interests. Nature and tradition are being trimmed by public policies to develop new types of products that targetnew consuming tastes. In this point of view, cultural clusters are the models where the integrated system of capital, technology, and environment for gathering all the industrial capacity together is applied to the development system of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called culture. Cultural clusters are not the manufacture-oriented industry which has sought after the quantitative expansion by means of mass production in order to produce instruments for physical convenience. They are the foundation that produces knowledge, information, food, leisure, etc. as staples for the post-industrial tastes, where people pursue creativity and recreation and consume learning and experience. The issue of the market in the 21st century is surely 'Brand. Interms of brand, regions need strategies to preserve and extend their good images. Therefore they should take steps to have those images recognized newly and improved if there have been negative preconception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four following models as the strategies to develop regional cultural clusters. The first is the campaign development model to create new brand for the region. The second is the regional resources development model centering around history and tradition. The third is the environment-friendly model to make natural green areas and environmental resources into products. The fourth is the experiential community development model to utilize regional contents and be backed up by communicational elements in time and space.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suggesting successful examples able to be a guide when a region examines its specialization and image-positioning without discovering its own real picture, and offering the types of models when they decide what kind of system they should introduce their cluster through in order to most effectively develop the cultural resources they have. We can find a lot of successful examples of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I studied Japanese examples in the body of this paper because Japan has not only relatively similar operational methods to those of Korea but also much more advanced regional development models. The type of cultural clusters can be infinitely expanded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time and the subject and object of consumption. It is because there are highly various resources that can be translated as one area of culture and born into new products.;20세기 후반, 세계는 정보혁명으로 인한 지식기반 사회로의 전환기를 맞이하면서, 지구촌의 거대한 네트워크 앞에 그 누구도 폐쇄성을 유지할 수 없는 시장이 형성되었고, 국가단위의 지역경제가 지방마다 자체의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지방단위의 지역경제를 만들어 내어 경쟁력을 갖추고 자치화를 이루게 되는 이른바 ‘세계화’가 곧 ‘지방화’, ‘지역화’로 이어지는 극심한 구조적 변화를 겪었다. 국가에 종속되었던 지역 문화와 산업 역시 각 지역사회에서 생겨난 문화지식 및 인터넷정보 등으로 국제적 소통기반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랜드와 이미지포지셔닝을 통한 지역의 문화적 위상이 지역의 경제력과 직결되는 위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지방의 각 자치단체는 지역경제에 이바지할 상품자원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역사와 전통을 자산으로 하는 유물과 유적 발굴은 물론 IT기술을 동반한 첨단 미디어산업 개발에 이르기까지, 지역을 특성화하고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 무장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클러스터를 추진해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근대화 과정에서 일제식민지배와 내전을 겪으면서 문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보다 경제와 정치적 종속으로부터의 해방을 우선시하게 되었다. 외세의 지배를 받는 동안 자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상실하게 되면서, 고급문화에 대한 인식이 일제와 서구를 중심으로 형성되게 되었다. 60년대 이후 정치사회적 안정을 추구하던 시기를 지나 80년대를 중심으로 산업경제 주도시대를 꽃피운 후 이제 문화는 역으로 정치와 경제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보이지 않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다. 비록 지방자치제의 역사는 짧지만 지역주민과 지방 정부 그리고 기업은 지역 개발의 주체로서 이러한 사회의 변화를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 지역 사회로부터 이윤창출과 고용증대라는 절대적 과제는 정치적 안정과 지속적인 권력의 확보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의 역사성으로부터 자연환경에 이르기 까지 소비의 대상으로 지목될 수 있는 모든 것을 상품자원화하고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가 급속한 산업화과정을 겪으면서 개발위주의 산업정책에 밀려 개발보류, 소멸, 파괴되어 버린 것들이 마치 먼지를 털어내어 진열장 앞에 가지런히 놓이듯이 새로운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새로운 소비취향을 겨냥한 새로운 형태의 상품개발이라는 공공연한 정책에 의해 또 다시 자연과 전통이 손실되고 있다. 문화클러스터는 이러한 관점에서 산업의 총체적 역량을 결집시키기 위한 자본, 기술, 환경의 집적시스템을 그대로 본받아 문화라는 유무형적 자원개발시스템에 적용한 모델이다. 문화클러스터는 물리적 편의를 도모할 도구를 생산하기 위해서 대량생산시스템으로 양적팽창을 구가하던 제조중심의 산업이 아니라 창의(creativity)와 재창조(recreation)를 추구하고 학습과 체험으로 소비되는 산업후기형 취향의 지식, 정보, 음식, 여가 등을 주요상품으로 생산하는 기반을 말한다. 21세기 시장의 화두는 역시 ‘브랜드’다. 브랜드라는 관점에서 지역은 다시 좋은 이미지를 보존 확대시켜나가야 하는 전략이 필요한 만큼 부정적으로 작용되었던 선입관이 있다면 그것을 새롭게 인식시키고 개선해 나가야할 대응책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 문화 클러스터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의 새로운 브랜드창출을 위한 캠페인 개발모델. 둘째, 역사성과 전통성을 중심으로 한 지역자원의 개발모델. 셋째, 자연녹지 및 환경자원을 상품화한 친환경적 개발모델. 넷째, 지역의 콘텐츠를 활용하고, 시간과 공간의 커뮤니케이션적 요소로 뒷받침되는 체험적 커뮤니티 개발모델이다. 본 연구의 배경은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발굴하지 못한 각 지역이 특성화와 이미지포지셔닝을 진단하는 데 지침이 될 성공사례를 제시하고, 그 지역이 보유한 문화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어떠한 체계로 클러스터를 도입할 것인가에 대한 유형별 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세계 각국으로부터 수많은 지역개발의 성공사례를 찾아볼 수 있으나 본론에서는 비교적 지역자치단체 운영방식이 우리와 흡사하고 보다 선진화된 지역개발의 모델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연구를 토대로 하였다. 문화클러스터의 유형은 시대의 변화와 소비의 주체, 그리고 대상에 따라 무한히 확장 또는 변화해 나갈 수 있다. 그 만큼 다양한 자원(resources)들이 문화의 영역에서 해석될 수 있고 새롭게 탄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