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0 Download: 0

한국 전통 담의 꽃문양을 응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Title
한국 전통 담의 꽃문양을 응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shion design by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lowered-wall patterns
Authors
송혜련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천범
Abstract
오늘날 우리는 단순한 국제화나 세계 경제의 상호의존 시대를 넘어 세계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간주하는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세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는 각각의 국가적 차원의 문제가 아닌 세계의 문제로 자리 잡고 있으며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다민족 문화의 공유는 패션계에서도 “민속풍(ethnic look)이 주요테마 중 하나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전통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지역과 자연에 기반을 둔 전통의 가치를 고유의 문화적 형태와 결합하여 새롭게 현대적인 양식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문양은 한 민족의 미의식, 생활의 여건과 감정, 정신적 가치 등을 반영하여 시대와 민족에 따라 특징적 양상을 보이므로 디자인의 한국 전통 문양의 활용은 우리나라의 고유성을 나타내어 세계화 시대에서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우리 조상들은 예부터 건강과 부귀, 다남 등을 기대하면서 담에 문양을 넣어 소원을 들었으며 담에 나타난 문양은 우리 민족의 정신적 삶을 엿볼 수 있다. 90년대 이후에 들어서 우리나라 디자이너들은 세계시장에 진출하면서 이러한 한국적 문양을 다양한 방식으로 디자인에 접목시키기 시작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전통문양을 그대로 기계자수나 프린트 기법으로 화려하게 표현한 것과는 달리 우리 전통 담 문양을 이용한 새로운 표현 기법과 전통 문양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전통 담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그 정의와 역사를 알아보고 담의 종류를 분류하였다. 그 중 전통의 한 모티브로 꽃담에 나타난 문양의 개념과 상징성을 알아보고 조형적 형태에 따라 분류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 전통 꽃문양과 꽃담에 나타난 꽃문양의 비교, 분석하고 전통 꽃문양을 현대패션으로 전개시킨 작가와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담에 나타난 문양 중 꽃문양을 조형적으로 재구성하여 현대 복식에 도입하였다. 가죽소재로 핸드페인팅과 버튼홀 스티치를 이용한 아플리케, 누빔, 올 풀기 등의 기법을 통해 문양을 복식에 도입하여 총 8벌의 오뜨꾸띠르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담에 나타난 꽃문양은 전통자수, 민화, 공예에 나타난 꽃문양 보다 형(形)은 단아하고 소박하며, 선(線)은 투박하며 윤곽을 강조하고, 색(色)은 화려하지 않고 담의 주재료인 흙색과 비슷하여 채도가 낮다. 이는 자연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우리 민족 미의식을 그대로 반영한다. 둘째, 주술성과 상징성을 가진 담에 나타난 꽃문양 모티브 재구성을 통해 문양 디자인의 무한한 창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속에 내재된 미적 가치를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가죽을 응용한 핸드페인팅은 채도가 낮고 고풍스런 꽃담의 색을 표현하는데 용이하며, 아플리케 기법은 꽃담 문양의 다양한 특징적 형태와 조형성을 응용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주술적이고 상징적 의미를 지난 전통문양의 현대 복식에 도입은 디자인 개발에 있어 독창성을 부각 시킬 수 있으며 우리 민족의 정신세계도 반영할 수 있다. 우리 전통 담 문양은 새로운 기법의 선택이나 현대의 감정, 정서, 시대상에 맞게 문양의 재구성과 재창조로 디자인 개발의 효과적인 방안으로 제시 될 수 있다.;Today, we live in the global age which is much beyond simple international or interdependent world. Now we regard the international market as one. The world'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re being established and coexisting as unified issues. This share of nations' cultures recently makes "ethnic look" emerge as a main theme in the fashion design area. Therefore, we need to reconsider the value of tradition and newly develop the modern style combining inherent forms with the value of traditions that are based on regions and the nature. Figures, patterns and paintings are the means of expressing human's aesthetic sense. These represent formative beauty of each era and people reflecting spiritual and physical sides of humans. Thus the utilization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shapes shows Korean originality and differentiate our own characteristics in the world. Our ancestors prayed for their health and prosperity carving and drawing figures an patterns on the wall. Therefore, we can find out the spiritual life of the ancestors. Stepping into the 90s, a number of designers have released their works with ethnic characteristics and Korean traditional expressions. Putting the traditional patterns into new design in various ways. they plan to go further to the world's stage affirming Korean self-esteem. This paper studies about the definition and origin of the Korean traditional wall(which is called "Dam" in Korean)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classifies the different walls. In addition, it looks over the concepts and symbols of the patterns on the "Kkot-Dam" and classifies them ba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is paper finds the similar examples and works of many designers of designs using traditional patterns on the "Kkot-Dam". On the foundation of this theoretical study, eight works are made after reorgani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s motives and"Kkot-Dam" introducing the patterns into making clothes by using dying, Applicate techniques, quilting and hand-painting on leathers. These works are made differently from previous ones that used machine-made embroidery and printing techniques. Rather, they suggest new expressing techniques and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traditional patter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the flower patterns on the are "Kkot-Dam" different from those on handicrafts, traditional embroidery and folk painting in that shapes are graceful and unsophisticated and lines are coarse and colors are not splendid and low-saturated. Second,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 indefinit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designs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Kkot-Dam" and reorganizing motives for clothes and that the aesthetic value in the patterns can be expressed in modern ways. Third, hand-painting techniques with leather are useful for expressing the "Kkot-Dam"'s colors that are low-saturated and graceful and Applicate technique is suitable for applying the formative traits and characteristic shapes of "Kkot-Dam".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shows that applying the traditional patterns into modern design makes it possible to stand out originality in developing designs and reflect people's spirits. What's more, this study fuses traditional and modern designs into one and tries to suggest it as an alternative for globalization. Finally, it is required to extend the scope of studying traditional patterns so that we could realize the value of our universal sense of beauty that is suitable for our emotion and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