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5 Download: 0

한국창작무용「天菊」의 의상디자인 연구

Title
한국창작무용「天菊」의 의상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Costume Design for "the Heaven", a Korean creative dance work
Authors
김흥경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천범
Abstract
Korean Dance has been newly established into the Theater-type Dance from banqueting since the new type of creative dance appeared, which performance has been entirely divided into the stage and the seat, and engaged into a new era of innovation and alteration as a composite art. Moreover, unlike the traditional-Korean dance, was conventional and technical, the Korean dance has been continuallydeveloped in an artistic aspect and has come to meet another era of renovation. Throughout all the nativity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creative dance, dancing costume has been highly influenced. The costumes have been transformed and invented based on the newly created dance composition and the moving patterns, also the design of the costume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those stages. Hereupon, this states how the current costumes for Korean creative dance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traditional Korean aesthetic sense, and intends to discriminate peculiar it against contemporary dancing costume in consequence of the study to find authentic Korean way of costumes for the Korean creative dance. Especially, the prime object of the study lay on how to deliquesce between modern design elements and Korean way of design elements. The process and the analysis of theories for the research as following First, to consider the costume design for dance generally. Secondly, to observe the general idea and development of Korean creative dance. Thirdly, to observe the general idea and history of the costume design in Korean creative dance and the factors that leads traits of the stream of its modernization as well as its change. Finally, to study the design of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 of modern sense which expands Korean estheticsense combining western materials and design with Korean's through the real work of costume production in "the Heaven" which is performed for a Korean dancer, named Oh, Resina. She is now a full-time teacher of "the Sunwha arts high school," the manager of "Lieul," a corps of contemporary dance, the president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dance education for Seoul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nd a lecturer in Kookmin University. In consequence, reach to several conclusions as following. First, passed through the neo-dance era to Korean creative dance, the dance performances have been developed into composite art to settle artistic dance. At this time, the alteration of the dance costumes is characterized in various decorationsand ornaments on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dance costumes as well as its westernized design appeared.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which into dismantlement, simplification, extraction, fusion, and divers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nations and flourished growth of Korean dance company with the emergence of post-modernism. Thirdly, in a particular,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changes have been excessively revealed by new dance directors' costume, so the affirmative changes verified accordingly. Therefore, it helped to verify the scope of study for Korean dance costume including common costume.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t discrimination not much found between the contemporary dances' and the Korean creative dances' cause of deficiency of Korean traditional sense of beauty, in the negative. Forth, found the distinctive change in the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 is that the very plain patterns of which to veil its body line transformed into three-dimensional draping to emphasize upon upper body shape or to make a slender waist. However, through the process of alteration, discovered some traditional Korean way of design elements such as wide and long skirts and straighten sleeves, and v-neckline maintain continuously. Fifth, for the tone of color, it has been various using white and primary colors. While they use the color for symbolic presentation in the past, found we now use the colors for aesthetic factors of the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 design. The last, also the material has been developing and goes on in various ways better than any other times has been passed in the past. Now, more required to enlarge and be profound of our study for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 by making an exhaustive study of faithful and intrinsic efforts, and go further, to ensure and accomplish our study, should be fully aware of how important that we define obviously what is our true colors and identities of we, Korean. Hereupon. we have to do our best to develop novel, prospective, unique designs which is based on the enlargement and expansion of Korean esthetic sense ourselves by being truly relieved of imitatingarts and cultures from foreign countries atthe early stage of Korean creative dance. In addition, must enhance to alternate exceptionally and interpret variously of our tradition so that break from the convention that tradition is a long way behind the times and commonplace.;한국무용은 신무용의 탄생으로 연희형태에서 무대와 객석이 분리가 된 극장식 무용으로 재정립되었고, 종합예술로서 새로운 대혁신과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또한 형식적이고 기교적인 한국전통무용과 달리, 예술적 측면이 강조된 독창적이고 창작적인 한국창작무용이 성장, 발전을 거듭하면서 한국무용계는 또 다시 새로운 변화의 장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한국창작무용의 탄생과 발전은 무용의상의 발전에도 큰 파장을 불러 일으켰다. 무용의상은 새롭게 개발된 안무구성이나 동작어휘에 맞게 변형되고 창작되어졌으며, 그 과정에서 디자인 역시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현재 한국창작무용의상은 사회, 문화적 변화뿐만 아니라 안무자 개인의 예술적 성향이나 미학적 취향까지 담아내며 거기에 디자이너 자신만의 독특한 예술세계까지 표출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고유한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이 현재, 어떠한 현대적 미의식과 결합하여 현대적인 한국창작무용의 의상디자인으로 변모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에 바탕을 두고 한국적인 정서가 살아있는 한국창작무용의상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외국무용인 현대무용과 차별화된 한국의 독특한 무용의상디자인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특히 한국적인 디자인 요소와 현대적인 디자인 요소의 융화에 주안점을 두고 작품연구를 하였다. 또한 실제 무대에 올려질 무용공연의상 제작함으로서 무용의상이 갖는 특수성과 실효성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의 전개과정과 분석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무용의상디자인에 관하여 일반적인 고찰을 했다. 둘째, 한국창작무용의 개념과 발전과정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셋째, 한국창작무용의상 디자인의 개념과 변천사에 대해서 살펴보고 또한 그 변화의 흐름을 주도했던 특히 현대화의 흐름을 주도했던 요인과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넷째, 오레지나(선화예고 전임교사, 리을무용단교육부장, 서울초중등한국무용교육 연구회 회장, 국민대 강사)의 한국창작무용작품「천국」의 실질적인 의상제작 작업을 통해서 한국적 소재와 디자인에 서구적인 소재와 디자인을 결합시켜, 한국적 미의식의 확장을 가져다주는 현대적 감각의 한국창작무용의상디자인을 연구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신무용기에서 한국창작무용으로 넘어가면서 무용작품은 예술적 무용을 지향하는 종합예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 때 무용의상의 변화의 특징은 전통적인 무용의상에 비해 장식적인 요소가 많아졌고 서구화된 디자인 형태도 나타나게 되었다는 점이었다. 둘째,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과 더불어 활발해진 세계 문화교류와 무용계의 발전으로 한국창작무용의상은 해체화, 단순화, 개방화, 퓨전화, 다양화라는 특징의 변화 양상을 보였다. 셋째, 특히 급격한 변화 양상은 신인안무가들의 무용작품의상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긍정적인 측면에서의 변화 양상은 매우 다양화되었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한국창작무용의상디자인을 위한 창작 연구 범위가 일반의상 디자인을 포함, 훨씬 더 광범위해졌다. 반면에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한국무용만이 갖는 고유한 전통적 미의식의 개발이 다소 결여되어 있어서 현대무용과의 차별성이 별로 없어졌다는 점이었다. 넷째, 한국창작무용의상의 변화특징 중, 형태적인 측면에서는 몸의 선을 감추는 평면 패턴을 사용했던 디자인 형태가 상체의 곡선을 강조하거나 허리를 슬림하게 하는 입체 패턴을 사용하는 디자인의 형태로 바뀌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변화 과정에도 한국의 전통적 의상형태를 느끼게 하는 부분적 요소로 넓고 긴 치마와 평면적인 통소매, 그리고 v 네크라인 등이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한국창작무용의상의 변화특징 중, 색상적인 측면에서 흰색이나 원색에서 다양한 색상의 사용으로 색의 사용범위가 넓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과거에는 색을 주로 상징적 의미로 사용했던 반면에 현대의 무용의상에서는 미적 표현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한국창작무용의상의 변화특징 중, 재질적 측면에서도 과거에 비해 소재의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는 새로운 범위의 확장과 더불어 경험의 축적에서 오는 심층적이고 내적으로 충실한 깊이의 확장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고, 그것을 올바로 성취하기 위해서 한국인의 정체성 인식이 중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앞으로는 초기의 한국창작무용의상디자인이 경험했던 타국의 문화, 예술을 모방하는 차원을 뛰어넘어, 새로운 한국인의 미의식의 확장에서 발현된 독창적이며 깊이 있는 한국의 미래적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무용의 대중화를 과정에서 극복해야 했던 ‘전통적인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진부한 것’이라는 인식에서 완전히 탈피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는 파격적이면서도 수준 높은 전통의 새로운 변신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