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옥은희-
dc.creator옥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6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19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638-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1년을, 태양의 황도(黃道: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이 1년 동안 하늘을 한바퀴 도는 길)상의 위치에 따라 특정 지은 계절적 구분인 24절기(二十四節氣)로 나누었다. 절기(節氣)란 태양년(太陽年)을 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24등분하여 계절을 세분한 것으로 시령(時令), 절후(節候) 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명절이 길일, 음력의 달, 24절기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 조상들은 명절을 정하는데 나름대로의 원칙이 있었다. 길일의 예는 우리 민족이 좋아하는 1,3,5,7,9 라는 모든 홀수가 겹친 중양(重陽)의 명절로, 설날인 1월 1일을 비롯하여 삼짇날인 3월 3일, 단오인 5월 5일, 칠석인 7월 7일, 중양절(重陽節)인 9월 9일 등이다. 다음은 달과 관계되는 보름의 명절인데, 우리 조상들이 얼마나 보름달을 좋아하고 이를 기원의 대상으로 삼았는가 알 수 있다. 농촌 사회에서 최고의 명절로 삼은 추석을 비롯하여 정월대보름, 하원(下元)인 4월 보름, 유두(流頭)인 유월 보름, 백중날인 7월 보름 등 보름명절도 중양 명절과 같이 5일이나 된다. 이 밖에 ‘작은 설’ 이라는 동지절(冬至節), 동지절 후 105일 후에 맞는 한식(寒食), 그리고 2월 초하룻날인 중화절에도 명절에 들었다. 절기에 따른 계절적 변화에 따라 생산되는 식품을 재료로 하여 각 명절에 의미를 부여하여 갖가지 음식을 차려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고 가족과 이웃 간의 정을 나누어 왔다. 또한 우리의 명절은 예로부터 한해를 지내옴에 있어 단조로운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에는 명절과 절기음식 역시도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옮겨감에 따라 설날, 대보름, 추석등 대표적인 명절을 제외하면 점차적으로 그 의미를 상실해 가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잊혀지거나 점차적으로 간소해지고 변화하는 우리의 전통적인 명절 문화를 다시 한번 돌이켜 보고 전통을 지켜 가고자하는 목적 하에 우리나라의 24절기의 명절에 대해 관심을 갖고, 그 중에서 현재까지도 우리의 생활 속에서 이어져 오고 있는 각 명절의 특성과 대표적인 음식 문화에 맞추어 절기음식 상차림을 위한 도자 식기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우리나라의 24절기의 명절에 대해 문헌에서 살펴보고, 현재까지도 우리의 생활 속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명절을 선정하여 각 명절의 역사, 의미, 유래에 관해 알아보고, 그 명절에 대표적으로 먹었던 절기음식과 그 음식에 쓰인 식기들의 역사, 기능, 용도, 형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절기음식과 전통적 상차림에 관한 작품사례를 살펴보아 연구자의 디자인 과정에 참고하였다. 작품의 디자인 과정은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환경과 식생활을 고려하여, 앞서 살펴본 절기음식 상차림에 쓰인 식기들을 기본에 두고 단순화와 변형의 방법으로 디자인하거나, 단순한 형태의 도자 식기에 조화를 이루는 문양 디자인을 시도하였다. 제작 방법은 식기의 특성과 분위기에 따라 청자토, 백자토, 세인토, 산백토, 갈색 조합토 등 다양한 태토를 사용하여, 전통적이며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물레성형 방식으로 주로 제작하였다. 작품<2>, <5>는 표현의 다양성과 식기의 형태를 고려하여 판 성형, 가압 성형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단순한 형태의 식기에 각 계절의 특징에 맞춘 명절음식의 특성을 고려하여 음식의 조화로운 분위기에 맞게 안료와 화장토를 사용하여 우리의 전통적인 민화와 전통문양 그리고 떡살의 이미지와 형태를 응용하여 문양 디자인을 시도하고 표면 장식에 변화를 주었다. 소성은 가스를 연료로 하는 0.7㎥ 가스가마에서 8시간 동안 850℃의 마침온도로 1차 소성 하였다. 그리고 투명유, 청자유, 백색무광유, 녹색유 상아철유 등을 시유하여 2차 소성은 같은 가마에서 작품 <1>, <2>, <3>, <4>, <5> ,<8>, <10>은 1250℃의 마침온도로 13시간 동안 환원염 소성하였고, 작품 <6>, <7>, <9>는 1250℃의 마침온도로 12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전통적인 우리의 명절과 문화에 대해 다시 한번 되돌아볼 수 있었다. 또한 각 명절마다의 전통과 의미가 담겨 있는 절기음식과 더불어 절기음식 상차림에 쓰여 온 다양한 식기들을 우리의 전통문화 가운데 민화, 문양, 떡살을 응용하여 현대의 식생활 문화에 비추어 도자 식기로 제안해 보았다. 본 연구가 사라져가고 변화하는 우리의 전통적인 명절과 전통 문화 그리고 음식 문화, 특히 식기에 대해 되새겨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전통을 이어가 한 단계 더 발전적인 식기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In Korea, the year is divided by the ecliptic positions of the sun, which is represented by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The meaning of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is the solar year according to sun's celestial longitude divided by 24 subdivisions is the seasonal subdivisions the 24 solar terms or the subdivision of the season. Our ancestors originally chose our festival days according to specific rules. These rules are based on auspicious days, the lunar calendar and in conjunction with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Our nation prefers numbers such as 1, 3, 5, 7, and 9. An example of the use of these lucky numbers is lucky days chosen from the lunar calendar for festival days such as New Year's day on January first, the third of the third month of the lunar year, the fif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the seventh of July of the lunar year, and finally the ninth day of the ninth lunar month Our ancestors due to their admiration of the full moon selected the festival days according to the fifteenth day of the lunar months. For example, there are five festivals that were chosen by our ancestors, which are the fifteenth day of the first month of the year festival on the fifteenth day of January, the fifteenth day of the April of the year festival on the fifteenth day of April, the yutwu festival on the fifteenth of June, the 1fifteenth day of the July of the year festival on July fifteenth and the harvest moon festival on the fifteenth of August, all by the lunar calendar. In addition, there are other festival days such as the winter solstice (which is the shortest day of the year), one hundred and five days after the winter solstice, and the first day of February in the lunar calendar. Following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seasonal changes produce specific food ingredients used in the festive days carefu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24 solar terms. Depending on the seasonal ingredients, specialty foods are made to perform an ancestral sacrifice while sharing sentiments with family and neighbors. Also, Korean festivals bring vitality to our daily lives. But nowadays, the Korean festivals and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al food have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original tradition. With the exception of New Year's Day and the fifteenth day of the lunar month, the original meaning and importance from the Agricultural Age is fading fast in today's Industrial Society. In this research, nowadays the tradition in food culture is being slowly diminished and simplified into abbreviated versions of festival tra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sign ceramic tableware and settings for dishes used in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table settings. The intention is to enhance the distinctive quality and characteristics that match all the original traditions from the Agricultural Age. First of all, research about Korea's 24 divisions of the year traditional holidays reveals that today's Industrial Society is only left with some of the major common traditions that have survived until present day. The research will be based on the origin, meaning and history of the major traditional aspects still celebrated to design ceramic tableware and settings, which include all of the original traditions. Secondly, research will involve the food, ceramic tableware and settings, history, function, and form of the major traditions still used today. Finally, research was performed on the origin and history about ceramic tableware and settings.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final piece of artwork takes into consideration of the fast-paced changing lives of today's humankind and their eating style however I've created my design according to food style based on the original ceramic tableware and settings. Therefore I experimented with simple modified designs to match ceramic tableware and settings. The way of producing depends on the ceramic tableware's mood and atmosphere followed by the use of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celadon clay, white porcelain clay, sae-in clay, san-baek clay, mixed brown clay. Using these materials, I tried to recreate the traditional and natural feeling with the spinning wheel forming method. For Artwork <2> and <5>, I considered a variety of expressions for this ceramic tableware's shape using two methods: plate forming and pressurization forming. Matching festival foods with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 Starting with the simple shape of the ceramic tableware, I also considered the foods from festival days to design ceramic tableware with distinctive quality. The ceramic tableware has harmonized with the seasons using ceramic pigment print design and change to the decoration of the surface. The first stage of firing is the 0.7 gas kiln for 8 hours, ending temperature at 850℃ and you apply a transparency, celadon porcelain, white matte and green color glaze. The second stage of firing is using the same kiln as in the first stage of firing, artwork <1>,<2>,<3>,<4>,<5>,<8> and <10> ending temperature 1250℃ for 13 hours restoration firing and artwork <6>,<7>and <9> ending temperature 1250℃ for 12 hours oxidation firing. The whole research process is based on the variety of the traditional 24 divisions of the year ceramic tableware. In comparison to today's food culture, I've created a suggestive ceramic tableware setting. The intent of this research i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Agricultural Age and present day to revisit and continue original traditions in Korean food culture for ceramic tableware setting. I anticipate that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in assisting furth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ceramic tablewa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ⅹ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한국의 명절과 절기 음식 = 5 2.1 한국의 명절 = 5 2.2 한국의 절기 음식 = 9 3. 한국의 전통공예와 식기 = 13 3.1 한국의 전통공예 = 13 3.2 한국의 전통식기 = 19 3.3 절기 음식 상차림에 쓰이는 식기 = 21 4. 절기음식 상차림의 식기작품사례 = 28 5. 작품제작 및 해석 = 42 5.1 디자인 과정 = 42 5.2 작품제작 = 55 5.3 작품해석 = 70 6. 결론 = 94 참고문헌 = 97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243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절기음식 상차림을 위한 도자 식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and Design in the Art of Ceramic Tableware setting : The 24 seasonal divisions of the lunar calendar year-
dc.creator.othernameOK, Eun-hee-
dc.format.pagexi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