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석영-
dc.contributor.author남윤희-
dc.creator남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6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19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633-
dc.description.abstractNature has acquired the shapes the way as it is today after an extremely long period of time devoted to searching for the most rational ones. There can be nothing that can excel nature in the formative criteria. Fortunately, human beings knew this self-evident truth since the beginning of civilization and have consulted nature in looking for new shapes and forms they need. The newly discovered shapes and forms of nature by humans sometimes present new meanings thanks to huma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wills to create and thus expand themselves in their validity. Those efforts and products made in the process and as a result are called formative arts. Today formative arts are wonderfully diverse in their representations as they yearn for return to nature in the industrialized civilization. Thus this study took water as the theme in order to remind modern people of the importance and harmony of nature and reopen their eyes to the primitive sensibility to nature by using formative works. Water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nature and origin of all life, purifying human sense and offering the ultimate home humanity tries to return to. Those kinds of images of water have served as the background of hum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nd as the spring well of numerous myths and creation of the universe from the immemorial. Being liquid in basic properties, water changes its characteristics in many ways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liquid forms and curves of water do possess many formative elements to be expressed in artistic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form the investigator's sensibility into ceramics formative arts with the features of water as the motive. First, nature and formative arts were examined in their implications to provide some valid data for the study. Then lots of literature was reviewed to understand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ymbolic meanings of water in addition to figuring out the diverse expression techniques and molding principles. In the molding process, the various forms and shapes of water under many contexts were picked out and simplified, and the investigator's subjective sensibility was reflected in expressing the image and purity of liquid water. As for the techniques, repetitions in placement were used to allocate each individual. Plaster molds were used to complete the plastic works based on the slip casting and pressing molding techniques. The double casting technique was adopted to express the organic curves of the water image in such density(Work 1, 2, 6, and 10). The original clay was Sanbaekto(a kind of clay) whose texture and intensity was great for the slip casting technique and the superwhite whose white color was amazing for the press molding technique. Some works skipped the glaze procedure to emphasize the effective expression of the shape, and other works were dipped into the transparent glaze or white porcelain mat glaze or had them applied onto by a brush. As for firing, the primary firing lasted eight hours in the down draft kiln for gas firing of 1.5㎥ with the finishing temperature at 800℃, and the secondary firing did for nine hours in the gas kiln with chloride oxides and marked 1260℃ at the finishing point. In the study, the long human's basic sense for water was identified, and its remarkable potential as an artistic motive was confirmed based on the liquid features. And it was realized that a truly artistic life could be earned when you felt the deep resonance inherent in water and expressed it in your own subjective formative language beyond just giving a simple concrete form to water.;자연은 아주 오랜 기간을 통해서 가장 합리적인 모양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자연이 제시하는 조형적 척도의 우월성을 앞지르는 것은 없다. 그러므로 문명의 발생 이래 인간들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형태의 근원을 자연에서 찾았다. 이렇게 발견된 자연의 형태들은 인간의 미의식과 창작의지에 의하여 새로운 의미를 가지기도 하고 그 유효성이 확대되기도 한다. 곧 이러한 활동이 바로 조형 예술인 것이다. 오늘날의 조형예술은 산업화 된 문명 속에서 자연으로의 회귀를 갈망하는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형작품을 통해 자연의 중요성과 조화를 환기시키고, 현대인들의 원초적 감수성을 상기시킨다는 의미에서 물을 주제로 선택하였다. 물은 자연의 근본 요소이자 모든 생명의 원천으로, 인간의 감성을 순화하고 인간이 귀속 하고자 하는 근원적 물질이다. 이러한 물의 이미지는 오랫동안 인간의 철학적, 종교적 배경이 되어왔으며 수많은 신화와 우주 창조 원리의 핵심으로 존재해 왔다. 액체의 성격을 기본으로 한 물은 외부의 온도와 압력 등에 따라 다양한 성질을 띤다. 이러한 물의 유동적 성질과 유기적 형태는 예술작품으로 표현될 수 있는 많은 조형요소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물의 특성을 모티브로 하여 연구자의 감성을 도자 조형예술로 창조해 나가는 데에 있다. 연구에 대한 타당성 있는 자료의 제시를 위하여 자연과 조형예술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물의 물리적 특성과 물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여러 문헌들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물의 본질을 이해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표현 내용과 관련 있는 예술작품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표현방법과 조형적 원리를 파악하였다. 조형과정에서는 환경에 따른 다양한 물의 형태를 포착하여 단순화고, 액체 성질의 물이 가지는 이미지와 순수성을 연구자의 주관적인 감성으로 표현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개체를 반복 배치함으로써 조형물을 완성하는 형식을 위해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기법과 가압성형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물의 이미지가 가지는 유기적인 곡선을 밀도감 있게 표현하기 위하여 Double casting의 기법을 사용하였다.(작품 1, 2, 6, 10) 태토는 가압성형에는 질감과 강도가 좋은 산백토를, 이장주입기법에는 백색도를 위해 슈퍼화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약은 형태의 효과적 표현을 위해 무유로 시유하거나, 투명유, 백자무광유로를 사용하여, 붓으로 바르거나, 담금시유 하였다. 소성방법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8시간동안 800℃를 마침온도로 1차 소성 하였으며 2차 소성은 가스가마에서 9시간동안 1260℃를 마침 온도로 산화염 소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물에 대한 인간의 원초적 감성을 감지할 수 있었고, 물이 가지는 유동적 특성이 예술의 모티브로서 많은 가능성을 내제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물을 표현함에 있어서는 외양만을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내재되어 있는 깊은 울림을 느끼고 작가의 주관적인 조형언어로 환언되어 표현할 때, 그 조형은 진정한 예술적 생명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1. 서론 = 1 1.1 연구의 동기와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2. 자연과 조형예술 = 3 2.1 자연과 예술 = 3 2.2 조형예술의 의미와 조형 활동 = 4 3. 물의 본질과 개념 = 8 3.1 물의 물질적 특성 = 8 3.2 물의 상징적 개념 = 11 4. 물의 특성을 표현한 작품사례 = 16 5. 작품의 제작과 해석 = 24 5.1 조형 과정 = 24 5.2 작품 제작 과정과 해설 = 37 6. 결론 = 61 참고문헌 = 63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204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물의 특성을 통한 도자 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eramics Molding Using the Features of Water-
dc.creator.othernameNAM, Yoon-hee-
dc.format.pageix,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