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3 Download: 0

비장애동료가 참여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일반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지역사회활용기술 수행과 학생사이 관계에 미친 영향

Title
비장애동료가 참여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일반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지역사회활용기술 수행과 학생사이 관계에 미친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peer participated community-based instruction on the independent use of community skills and quality of social relationships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uthors
장혜성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지역사회활용기술은 장애학생들에게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끼면서 일반인들과 동등한 삶의 질을 누리면서 살도록 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지역사회중심교수들은 지역사회에의 질적인 참여보다는 단순히 지역사회활용기술 증진에만 초점이 맞추어졌다. 특히 일반학교에 재학중인 장애학생을 위해서는 통합학교에서 비장애학생과 동등한 반 구성원이면서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비장애학생들과 함께 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행은 아직도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있을 뿐 이에 대한 연구들이 부족하다. 현재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장애고등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살펴보면, 대부분 정기적으로 실시는 되고 있으나 충분한 교육계획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단순한 야외체험 정도 이상의 효과를 얻기 못하기도 하며, 특별히 일반고등학교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교수 시에는 학교 일과와 무관하게 많은 시간을 비장애학생들과 분리되어서 장애학생끼리 학교 밖에서 머물게 되므로 학교생활의 기회가 감소되며, 일반고등학교에 재학하면서도 비장애학생들과 상호작용의 기회도 적어지게 되어 통합환경 안에서 그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놓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장애학생 3명과 비장애학생 4명이 함께 참여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하여 지역사회활용기술의 습득 증진을 활동간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지역사회활용기술로는 지하철 이용하기, 패스트후드점 이용하기, 노래방 이용하기를 중재하였고, 지역사회중심교수 시에 생태학적 평가, 다양한 교수장소와 동료지원 활용, 일반교수사례, 시각적 단서, 반응촉진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학생 3명과 비장애학생 4명간의 관계의 변화는 질적연구 설계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에게 비장애학생이 참여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한 결과, 지하철, 패스트후드점, 노래방 이용하기 지역사회활용기술이 습득되었으며, 이미 습득된 지역사회활용기술이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었고, 습득된 지역사회활용기술이 교수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지역사회활용기술에 포함되어 있는 사회적행동도 중재기간 중에 습득되었으며,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었고 교수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장애학생에게 비장애학생이 참여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한 결과 장애학생의 역량이 강화되었고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그리고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간의 우정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지역사회활용기술의 증진을 위해서는 생태학적 평가, 다양한 교수장소와 동료지원 활용, 일반교수사례, 시각적 단서, 반응촉진법으로 이루어진 다중요소의 지역사회중심교수가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장애학생이 참여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를 통해서 지역사회활용기술 습득과 함께 장애학생의 역량을 강화시키며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들 간의 우정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비장애학생의 인식변화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community skills and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heir typical peers in an inclusive high school.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four typical peers in an inclusiv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onitored using a single subject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activities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specific skills of interest were using subway, fast food restaurant, and music Karaoke in their communities.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consisted of ecological assessments, use of the various instructional settings, peer support, general-case instruction methods, visual cues and response prompting proced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s: First, the target students’ skills on using subway, fast food restaurant, Karaoke were improved with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Furthermore, the students’ improved skills were generalized in non-trained setting and maintained after withdrawing the intervention. Second, it was observed that the students’capability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in their community were empowered The friendships between the target students and their peers were established and the peers’perspective on the target students was changed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 package with peer support using the multi-components would be very effective on increasing the community use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dditionally,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 using peer support would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community and encourage establishing the friendships betwee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typical peers as well as change the perspective of the typical peers on the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