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한후영-
dc.creator한후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1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19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31-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예절 관계의 균형을 위해 매우 일반적이면서도 중요한 감사 화행에 대한 중간언어(interlanguage) 연구이다. 한국인 모어 화자와 일본인 모어 화자를 비교 대상으로 하여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감사 화행 사용 양상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서술하고 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감사 화행을 일부 다루기도 했지만 대조 분석에 그친 실정이어서 학습자에 대한 감사 화행 연구가 필요함을 밝혔다. Ⅱ장에서는 감사 화행의 개념과 감사 표현 전략에 대해 서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및 분석의 틀에 대해 서술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KNS),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JKL), 일본인 모어 화자(JNS)의 세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담화 완성형 테스트(Discourse Completion Test: DCT)를 사용하였고, 설문지는 총 12문항이며 예비 상황 조사를 통해 일본과 한국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실제적인 상황들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서술하였다. 각 상황과, 사회적 거리, 상대적 지위를 변인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JKL은 주어진 상황에 대한 부담감(의무감)이 높을 경우 모국어 전이가 나타나 JNS에 가까운 양상을 보였다. 세 집단 중에서 JNS가 감사에 대한 의무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사실은 같은 상황에서 한국인보다 일본인이 감사 표현을 더 많이 한다는 사실을 뒷받침 해 준다. JKL은 세 집단 중 감사에 대한 의무감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한국인이 일본인보다 감사 표현을 적게 한다는 과잉 인식(과잉 일반화)에서 나온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JKL은 친밀도가 있는 관계와 없는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모국어 전이가 나타나지만 전체적으로는 KNS와 가까운 양상을 보였다. 또, 상대적 지위가 높은 경우와 동등한 경우에는 KNS와 가까운 사용 양상을 보였으나, 상대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는 어느 한 쪽에 가깝지 않고 KNS와 JNS의 영향이 모두 나타나는 학습자 언어의 특성을 보여 주고 있었다. 셋째, KNS는 감사를 표현할 때 다른 보답을 제안하거나 감사의 대상에 대해 칭찬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JNS는 일반적으로 정형화 된 인사말을 주로 사용하고, 폐를 끼쳤다고 생각하는 경우 사과표현을 함으로써 상대방에게 고마움을 전달하는 경향을 보였다. JKL은 부분적으로 KNS의 영향을 보이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JNS에 가까운 양상을 보인다. 피험자 집단이 5, 6급 이상의 고급 학습자였음에도 불구하고 JKL의 전체 전략이 JNS와 비슷하다는 결론은 한국어 교육 시 감사 화행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주었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였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일상생활에서 예절 관계의 균형을 위해 매우 일반적이면서도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소홀히 여겨졌던 감사 화행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한국어 교육에서 진행되어 온 기존의 감사 화행 연구는 대조 분석에 그친 실정이어서 학습자의 언어 특성을 알 수 없었으나 본고의 연구를 통해 일본인 고급 학습자의 언어 특성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일본인 학습자들의 화용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데 기여할 수 있다.;This is an interlanguage study of speech acts of gratitude used in daily life necessary to maintain good relationships through polite behaviour. This study focuses on expressions of thankfulness used by advanced Japanese Korean Learners(JKL) as a target group, and Korean Native Speaker(KNS) and Japanese Native Speaker(JNS) as reference groups. The composition of this dissertation is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nd previous studies on this subject are presented. Studies on speech acts of gratitude have been partly dealt with in Korean education but they are only focused on in contrastive studies. A study of speech acts of gratitude focusing on the learners is therefore required. Chapter Ⅱ examines the concept of speech acts of gratitude and strategies used in expressing thanks. Chapter Ⅲ describes the subjects, the research method and the frame of analysis. The subjects chosen were Japanese Korean Learners (JKL), Korean Native Speakers (KN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JNS). Twelve survey questions comprising situations using authentic expressions arising in daily life were written in the form of a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conducting piloting prior to the main experiments and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frame of 18 strategies. In chapter Ⅳ, an analysis utilizing data from the main experiment is presented on each group by situation and on each parameter by social distance and statu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gratitude speech acts, the social parameters of social distance, social status and situational perceptions had an influence on the choice of semantic strategies. Firstly, in situations where learners sensed a strong obligation to show gratitude, JKL used language transfer with expressions closely related to those used by JNS. Out of the three groups, JNS showed the strongest obligation to give thanks. These findings are supported by the knowledge that Japanese people use expressions of thanks more frequently than Koreans. JKL showed the least obligation to use expressions of thanks. This reduction of using expressions of gratitude was a result of JKLs’ overgeneralization that Koreans use expressions of thanks less than the Japanese. Secondly, JKL partially showed language transfer in close relationships and distant relationships, but on the whole used expressions of thanks more closely related to those used by KNS. JKL also used expressions of thanks closely related to those used by KNS when speaking with people of higher or equal status. However, when speaking with subjects of lower status, JKL used distinctive expressions not used by KNS or JNS. Thirdly, it was found that KNS have a tendency to offer to return favors and to praise objects of gratitude. JNS on the other hand generally have a tendency to use fixed phrases, and, in situations where they think they have caused trouble to someone, apologize as a way of giving thanks. It was found that JKL were in part influenced by KNS, but generally use expressions that are closer to those used by JNS. Althoug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dvanced learners (level 5 and 6 or above) the strategies of expressing gratitude amongst JKL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those used by JNS.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speech acts of gratitude education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last chapter a brief summary of this study is made. The contribution of this dissertat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greatly contribute to the building up of a baseline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e area of expressing one's gratitude. Practically, teachers could apply it in classroom lessons to help advanced level of Japanese Korean learners improve their fluency in speech acts of gratitu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2 Ⅱ. 감사 화행의 개념과 감사 표현 전략 = 5 A. 감사 화행의 개념 = 5 B. 감사 표현 전략 = 6 Ⅲ. 연구 방법 = 12 A. 상황 조사 = 12 1. 상황 조사 설문지 제작 = 12 2. 상황 조사 방법 및 결과 = 12 B. 예비 실험 = 13 1. 실험 대상 및 도구 = 13 2. 실험 결과 및 본 실험의 방향 = 14 C. 본 실험 = 14 1. 실험대상 = 14 2. 실험도구 = 15 3. 분석의 틀 = 16 Ⅳ. 연구 결과 = 18 A. 상황별 분석 = 18 1. 상황 1 = 18 2. 상황 2 = 20 3. 상황 3 = 22 4. 상황 4 = 24 5. 상황 5 = 26 6. 상황 6 = 28 7. 상황 7 = 30 8. 상황 8 = 32 9. 상황 9 = 34 10. 상황 10 = 36 11. 상황 11 = 38 12. 상황 12 = 40 B. 변인별 분석 = 42 1. 사회적 거리에 따른 분석 = 43 2. 상대적 지위에 따른 분석 = 49 C. 전체 비교 = 56 1. 각 집단의 감사의 의무감 비교 = 56 2. 각 집단의 반응 방식 전체 비교 = 57 3. 각 집단의 감사전략 전체 비교 = 58 Ⅴ. 결론 및 논의 = 60 참고 문헌 = 62 <부록 1> 상황 조사 설문지 예 = 65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12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감사 화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peech acts of gratitude of Japanese Korean Learners-
dc.creator.othernameHan, Hooyoung-
dc.format.pagevi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