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현정-
dc.contributor.author신혜영-
dc.creator신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18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90-
dc.description.abstractIn the information age, the form of communication is bringing about various changes as a result of technical development and new situation. With computer introduction, printing information age has turned into electronic information age and the analogue age has been replaced by the digital age. In addition, digital multimedia world where an single medium of sound and image is synthesized and transmitted has begun. These multi media are welcomed by youngsters accustomed to digital and network culture. They have grown up in the rich background freely and have been attracted by not auditory sense but visual image because of development of multi media. They value sensitivity above rationality. Also, they want to express own personality instead of restraining and participate in society actively, creating their own value. These youngsters, image generation enjoy cultural lives in which can acquire information and develop sensibility, creating digital media such as computer, TV, DVD, visual advertisement products and so on. Especially they listen to music a lot, as is caused by frequent contacts with music video connected by visual things. These days, music video which is begun as a record advertisement is being recognized by not a public art but a cultural industry and becomes youngster's exclusive possession because it is almost accepted by young generation. Music video itself is a compound of a work and goods as well as musical advertisement. The contents in music video must be things which can trigger public desire and interest and sometimes music video uses avant-garde technique in formality. Youngsters who are sensitive new sensations and experiences get used to western music video and enthuse about public singer's music video. As youths are neglected our traditional, we had a try for new visual form to call attention and make intimacy interchange with a traditional music-samunori. Youths take an interest in fast beat western music , so we've chosen Yeongnam Poong Mul Gut that is the most swing and quick rhythm, and tried to put it in the form of a music video. Specially to make visualization feelings that human feels to various sounds is based on individual artistry. However, in this research, this is survey of youth, we've researched feelings to sound of samulnori after exactly grasp of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samulnori. and represented direct image using result of that. Samulnori gets cheerful sound in cooperation with a small gong. a gong.a drum. a changgu. and each instrument sound is unique and in harmony. We've worked to draw upon represent images of Yeongnam Poong Mul Gut using result of research to the maximum. We could find out the sense that youths response to each instrument sound, and make an analysis reducing to its sound elements. we've made it outstanding representing into form and color of the basic ingredients of design. We had showed music video which actual yeong nam poong mul gut and to the youths and looked into how well-matched their sense and its expression and changing of cognition about samulnori and a good grasp to interest degree of relation between samulnori and music video and also we made a process which was able to check suitability with purpose of research . It means to make unvisual object to a figure using samulnori which is represented a image using formative elements that are abstracted to sense of the youth. Also it opens to offer varieties in music video categories showing samulnori through the most interesting media-music video. Finally we expect that we will succeed and develop to our precious traditional culture, no matter how the change of the time, if we make a good use intimac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chool or the Cultural Center by contact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mage at the multi-media period.;정보화 시대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는 기술발전과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각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컴퓨터가 도입되면서 인쇄 정보 시대에서 전자 정보 시대로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를 도모했고, 소리와 이미지의 단일한 매체가 복합적으로 만나서 합성되고 전송되는 디지털미디어는 멀티미디어 세상의 화려한 개막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는 디지털과 네트워크 문화에 익숙한 젊은 세대인 청소년에게는 반가운 세상일 것이다. 이들은 경제적으로 윤택한 환경에서 여유롭게 자라왔고,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청각보다는 시각에 먼저 매료가 되는 영상세대이다. 이들은 이성보다는 감성을 중시하고 자신을 절제하기보다는 자신의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싶어하며 자신만의 가치를 창조해 내면서 소비생활에 있어서도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이러한 영상세대인 청소년은 사회문화적으로 디지털 매체인 컴퓨터,TV, DVD, 시각적 광고 홍보물 등을 생활 속에서 접하면서 정보를 습득하고 감성을 키우는 문화 생활을 하고 있다. 특히 음악을 많이 듣는데 멀티미디어 시대에 맞게 시각적인 것에 연결되어 관심을 갖게 되면서 뮤직비디오를 자주 접하게 되었다. 오늘날 뮤직비디오는 실제 현실에서 끼치는 문화적 영향력이나 비중이 더욱 커져가고 뮤직비디오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우리 시대를 반영하는 하거나 영향을 끼칠 하나의 요소로써 작용한다. 음반 광고로 시작된 뮤직비디오는 대중예술로서가 아니라 문화산업으로 인식되고 대부분의 수용층이 청소년인 것으로 보아 그들의 문화로 보아야 할 것이다. 뮤직비디오는 자체가 작품이면서 상품인 동시에 음악 광고물인 복합적 존재이다. 뮤직비디오에 담기는 내용은 대중의 욕망을 불러내기 위한 대중의 관심을 사로잡는 것이어야 하고 형식에 있어서는 전위예술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새로운 감각과 경험에 민감한 청소년은 서양의 뮤직비디오에 익숙해져 있고 대중스타들의 뮤직비디오에 열광한다. 그러므로 우리 전통의 문화가 청소년에게 등한시 되고 있어 우리 전통 음악인 사물놀이를 환기시키고 친근한 교류를 갖기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시각형식에 도전해 보고자한다. 청소년들이 빠른 비트의 서양음악에 흥미를 느끼고 있기 때문에 사물놀이 중에서 가장 경쾌하고 빠른 박자의 영남풍물굿을 선정하여 뮤직비디오라는 형식에 담아 보고자한다. 특히 다양한 소리에 대해 인간이 느끼는 감정을 이미지로 시각화시키는 작업은 개인의 예술성에 바탕을 둔 표현이라 하겠다. 하지만 이 논문의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국악과 사물놀이에 대한 인식에 대해 파악을 한 후 사물놀이 소리에 대한 감성을 설문조사했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직접 이미지를 표현했다. 사물놀이는 꽹과리, 장고, 북, 징이 한데 어울려 신명나는 소리를 내는 것으로 각각의 악기 소리가 특이하면서 조화를 이룬다. 이러한 소리를 이미지로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를 최대한 활용하여 영남풍물굿 영상을 조형성을 바탕으로 표현했다. 각 악기별 소리의 감상을 통해 청소년들의 감성을 찾아낼 수 있었고, 음향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디자인의 기본적 요소인 색상과 형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면서 성격을 돋보이게 만들었다. 실제 제작된 영남풍물굿 뮤직비디오를 청소년을 대상으로 감상하게 하여 그들의 감성에 맞게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고, 사물놀이에 대한 인식변화가 생겼는지, 또 사물놀이와 뮤직비디오의 관계에서의 흥미도를 파악해 봄으로써 연구의 의도와 잘 맞았는지 검증해 보았다. 사물놀이를 청소년의 감성으로 추출된 조형요소를 이용하여 이미지로 표현한 것은 비가시적 대상을 형상화 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 사물놀이를 가장 흥미로운 미디어인 뮤직비디오로 보여준 것은 뮤직비디오 장르에 있어서의 다양성을 열어준 계기가 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멀티미디어 시대에 맞게 우리 국악과 영상의 만남으로 우리 전통음악에 대한 친숙함을 학교현장이나 문화센터 등에서 활용한다면 시대가 아무리 변화더라도 우리의 소중한 전통 문화는 계승 발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해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방법 및 범위 = 5 2. 사물놀이의 이해 = 8 2.1 사물놀이의개념 = 8 2.2 사물놀이의 연주곡 및 장단 분석 = 9 2.3 꽹과리, 장고, 북, 징의 특성 = 16 2.4 청소년의 사물놀이에 대한 이해에 관한 조사 = 20 3. 청소년과 뮤직비디오의 이해 = 26 3.1 청소년기 정의 및 특징 = 26 3.2 청소년의 가치관과 문화 = 27 3.3 뮤직비디오의 일반적인 성격 = 33 3.4 뮤직비디오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37 4. 사물놀이의 이미지 표현 = 44 4.1 청소년감성에 따른 분석적 표현 = 44 4.1.1 감성표현 형용사 및 색상과 형태를 이용한 설문조사 = 47 4.1.2 사물놀이에 따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이미지 표현 = 52 5. 영남풍물굿 뮤직비디오 제작 = 55 5.1 제작과정 = 55 5.1.1 곡(영남풍물굿)에 대한 연구 = 56 5.2 작품분석 = 59 5.2.1 사물놀이의 감성에 따른 음향요소 분석 = 59 5.2.2 악기별 소리에 따른 감성 색상 분석 = 62 5.2.3 악기별 소리에 따른 감성 형태 분석 = 64 5.2.4 영상이미지의 부분별 분석 = 65 5.3 영남풍물굿 뮤직비디오 감상 설문조사 = 74 6. 결론 = 76 참고문헌 = 80 부록: 설문지 = 82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754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청소년 감성에 따른 사물놀이 뮤직비디오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the Expression by Producing the "Samulnori" Music Video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Youth's Sensivility-
dc.creator.othernameShin, Hye Young-
dc.format.page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